양동마을 산책 - 경주 이향정
이향정(二香亭)은 조선 숙종 21년(1695)년경에 세워졌다. 이향정이라는 이름은 온양군수를 지낸 이향정 이범중의 호를 따서 붙인 이름이다. ㄱ자 모양의 안채, 一자 모양의 사랑채가 튼ㅁ자 모양을 이루고 있다. 안채는 꺾인 곳에 부엌을 두고 왼쪽으로 고방 2칸과 아랫방 1칸을, 앞쪽으로는 안방 2칸 안대청 2칸과 건넌방 1칸을 배치하였다. 사랑채는 큰방 뒤로 부엌과 툇마루가 있는 서실(書室)을 꾸며 기능상의 변화를 주고 있다.
건넌방의 앞면과 옆면의 마루는 넓게 확장하여 난간을 돌리고 있어 누마루의 정취를 보이고 있다. 사랑채 오른쪽 끝에 중문을 내어 안채로 드나들게 하고, 튼ㅁ자를 이룬 건물들 사이공간에는 담을 쌓아 은폐된 안채 공간을 만들고 있다. 마당을 사이에 두고 안채와 사랑채를 대각으로 배치한 점은 중부지방의 큰집들이 지니는 특징이다.
마을 동구 초입에 위치하면서 산길을 따라 원형으로 둘러쌓여진 담장이 인상적이다. 사랑채는 남향, 안채는 서향으로 서로 직각으로 놓였다. 온양군수를 지낸 이범중의 고택이라 하지만, 안마당이 넓고 안채 바로 앞에 방아채가 놓이는 등 전제적으로 부농층을 위한 기능들이 고려되었다. 사랑채는 앞산과 너무 가까워서 답답한 느낌을 준다. 사랑 전면에 툇마루를 개방한 것은 사랑마당의 공간감을 조금이라도 넓히려는 의도이며, 남서쪽 머릿방의 툇마루만 더 돌출시킨 것은 서쪽으로 터진 전망으로 유인하기 위한 장치다. 사랑채에는 만취정(晩翠亭)이란 초서체 편액이 걸려 있다. 만취(晩翠)의 뜻은 늦겨울에도 변하지않는 소나무, 대나무의 푸르름처럼 늙어서도 지조를 바꾸지 아니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라 한다.
▲이향정
▲이향정
▲이향정
▲이향정
▲이향정
▲이향정
▲사랑채
▲사랑채
▲사랑채 편액
▲안채
▲안채
▲방아채
<2009. 6. 13>
'◈한국문화순례◈ > 서라벌문화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동마을 산책 - 경주 정순이 초옥 (0) | 2009.06.17 |
---|---|
양동마을 산책 - 경주 대성헌 (0) | 2009.06.16 |
양동마을 산책 - 경주 수운정 (0) | 2009.06.14 |
양동마을 산책 - 경주 심수정 (0) | 2009.06.13 |
양동마을 산책 - 경주 강학당 (0) | 2009.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