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이거사터 폐삼층석탑
이곳이 「삼국사기」에 '성덕왕을 이거사 남쪽에 장사했다' 라고 한 이거사터이다. 본래 이거사로 부르다가 유덕사로 고쳤다고 한다. 사찰에 관한 기록은 삼국유사 탑상(塔像) 편에 '유덕사(有德寺)'라는 제목으로 수록된 이야기에 보인다.
신라의 대부(大夫)이자 각간(角干)인 최유덕(崔有德)이 자기집을 내놓아 절을 만들고 그 이름을 유덕사(有德寺)라 했다. 그의 먼 후손인 삼한공신(三韓功臣) 최언위가 유덕(有德)의 진영(眞影)을 여기에 걸어 모시고 또 비도 세웠다고 한다"고 했다.
<삼국유사 유덕사조>
▲이거사터 폐탑 하층기단
▲이거사터 폐탑 하층기단
▲이거사터 폐탑 옥개석
하층기단은 4개의 조각으로 이루어졌고 기단 밑으로 자연석이 양끝을 밭치고 있다. 하층기단의 길이는 187+195 (382) 이고, 우주와 탱주가 2개가 있다. 탑의 높이는 7.6m 정도로 추정된다.(기단 × 2) 기단의 옥신 괴임은 호형과 각형이고 호형의 모서리엔 얇게 우동이 표현되었다.
1층 옥개석으로 보이는 탑재는 기단의 남쪽으로 쓰러져 있는데 크기는 180×180 이고 5단의 층급받침이다. 우동은 날렵하지 않고 둥글다. 특이한 것은 옥개석의 밑에 길이 40Cm이고 깊이 16Cm의 사리공이었다. 1층 옥개석 밑면에 사리공이 있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1층 탑신으로 보이는 탑재의 한쪽면은 돌을 쪼개기 위한 톱날모양이 있었는데 두 개의 몸돌을 톱날모양으로 붙였을까? 아마도 후대에 누군가가 그 돌을 이용하려고 쪼갠 건 아닐까? 탑이 만들어진 시기는 성덕왕(702∼737)과의 관계와 사리공의 위치로 보아 8세기 초에서 8세기 중엽으로 추정된다.
▲이거사터 폐탑 옥개석
▲이거사터 폐탑 옥개석
▲이거사터 폐탑 옥개석
남아있는 옥개석의 모양이나 조각솜씨도 상당한 수준의 탑임을 알 수 있다. 이런 훌륭한 수준의 탑이 아직도 복원되지 못하고 방치되고 있어 안타깝고, 특히 이 탑의 옥개석은 구정동 불국사역 앞 삼거리에 남산의 염불사터의 탑재와 합쳐 균형도 안 맞는 하나의 탑을 이루고 있었다. 지난 연말에 염불사터 석탑은 제자리로 옮겨 복원되었고 이거사터 1층 옥개석은 염불사터로 옮겨 보관되고 있다. 이거사터 석탑이 복원되면 제자리로 돌아와야 할 것이다.
▲이거사터 폐탑 탑신석
▲이거사터 폐탑 1층 옥개석(염불사터)
<2009. 1. 3>
'◈한국문화순례◈ > 서라벌문화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주 남산 삼릉계 부부바위ㆍ거북바위 (0) | 2009.01.20 |
---|---|
경주 이거사터 비로자나불좌상 (0) | 2009.01.19 |
경주 숭복사터 삼층석탑 (0) | 2009.01.17 |
경주 원원사터 부도 (0) | 2009.01.16 |
경주 남산 전양피사터 삼층석탑 (0) | 2009.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