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주 화달리 삼층석탑 상주 화달리 삼층석탑 사벌국(沙伐國)의 왕릉이라고 전해지는 곳의 서쪽에 있는 탑으로, 통일신라시대의 작품이며 1층의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형태이다. 탑신(塔身)의 몸돌과 지붕돌은 각각 한 돌로 되어 있는데, 1층 몸돌은 유난히 넓고 커서 기단보다도 높다. 각 층의 몸돌을 덮는 .. ◈한국문화순례◈/낙서문화권 2008.02.21
상주 전사벌왕릉(傳沙伐王陵) 상주 전사벌왕릉(傳沙伐王陵) 상주시 사벌면 화달리 둔진산 남쪽 기슭에 거대한 고분으로 유존하고 있는 전사벌왕릉은 동국여지승람 고적조에 <옛 사벌국의 성이 병성산에 있고 이 성의 곁에 있는 언덕에 우뚝하게 솟은 고분이 있어 사벌왕릉이라 전해오고 있다.> 라 기록되어 있고 상주군읍지 고.. ◈한국문화순례◈/낙서문화권 2008.02.19
상주 복룡동 당간지주 상주 복룡동 당간지주 당간지주는 사찰 입구에 설치해 두는 것으로, 절에 행사나 의식이 있을 경우 이곳에 당이라는 깃발을 달아두는데, 이 깃발을 매달아두는 길쭉한 장대를 당간이라 하고, 이를 양쪽에서 지탱해 주는 두 돌기둥을 당간지주라 한다. 보통 당은 없고 드물게 당간이 있으나 대부분은 두.. ◈한국문화순례◈/낙서문화권 2008.02.18
상주 복룡동 석불좌상 상주 복룡동 석불좌상 화강암으로 조성된 석불좌상으로 머리에는 큼직한 나발(螺髮)이 표현되었고 둥글고 풍만한 얼굴에 내려 뜬 눈, 작고 두툼한 입 등에서 적정(寂靜)한 분위기를 느끼게 한다. 양쪽 무릎과 오른손, 양어깨와 머리부분은 파손이 심하고 광배와 대좌는 없어졌다. 불의(佛衣)는 양어깨.. ◈한국문화순례◈/낙서문화권 2008.02.18
상주 운곡리 서낭당(城隍堂) 상주 운곡리 서낭당(城隍堂) 서낭당은 마을의 수호신인 서낭을 모신 신당(神堂)을 일컫는다. 서낭당의 명칭은 지방에 따라 선왕당·천왕당·국수당·국시당 등으로 불리며 한자로 표기하여 성황당(城隍堂)이라고도 한다. 서낭당은 보통 마을 어귀나 고개마루에 원뿔 모양으로 쌓은 돌무더기와 마을에.. ◈한국문화순례◈/낙서문화권 2008.02.17
상주 양진당(養眞堂) 상주 양진당(養眞堂) 양진당(養眞堂)은 상주시 낙동면 승곡리에 있으며, 임진왜란 때 상주땅에서 가장 먼저 뜻을 모아 의병을 일으켰던 검간 조정(黔澗 趙靖, 1555-1636)이 지은 살림집의 안채이다. 다락집 형태로 1626년(인조 4)에 건립되었으며 1807년(순조 7)에 중수하였고, 1981년 7월 전면 해체하여 복원했.. ◈한국문화순례◈/낙서문화권 2008.02.16
상주 오작당(悟昨堂) 상주 오작당(悟昨堂)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약했던 후에 이조참판에 추증된 검간 조정(趙靖, 1555∼1636) 선생이 지은 집이다. 선조 34년(1601)에 처음 지었다가 현종 2년(1661)에 지금 자리로 옮겨 지었다. 원래는 내사(內舍)와 외사(外舍)를 합하여 모두 40여 칸 건물이었으나, 정조 5년(1781) 공사 때 부분.. ◈한국문화순례◈/낙서문화권 2008.02.15
상주 석각천인상(石刻天人像) 상주 석각천인상(石刻天人像) <상주박물관> 석각천인상은 연화대석(蓮花臺石)과 석탑재(石塔材) 등과 함께 상주시 남성동 용화전 안에 있던 것을 1982년 10월 남산공원으로 옮겼다가 2007년 상주박물관전시실로 옮긴 것이다. 석각천인상은 대체로 석탑의 상층기단부에 쓰였던 것으로 짐.. ◈한국문화순례◈/낙서문화권 2008.02.14
성주 서진산 선석사(棲鎭山禪石寺) 성주 서진산 선석사(棲鎭山禪石寺) 선석사는 신라 효소왕 원년(692)에 의상대사가 현 사찰의 서편에 처음 창건하여 신광사(神光寺)라 이름하였던 것을 고려 공민왕 10년(1361)에 나옹대사가 지금의 자리로 옮겨 지은 절이다. 절터를 옮기기 위해 새로 절터를 정하고 터를 닦을 때 큰 바위가 나와 사람으로 .. ◈한국문화순례◈/낙서문화권 2007.12.20
성주 세종대왕 왕자 태실 성주 세종대왕 왕자 태실 태실(胎室)이란 태를 묻는 곳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태봉(胎封), 태묘(胎墓) 등으로 불려지기도 하는데, 태를 민가에서보다는 왕실에서 더 중요시하고 소중하게 다루었다. 왕실에서 더 중요시하고 소중하게 다루었다. 이렇게 태를 처리하는 데 정성을 다하는 것은 사람이 나는 .. ◈한국문화순례◈/낙서문화권 2007.1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