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 부원동 원통모양그릇받침(圓筒形器臺) 김해 부원동 원통모양그릇받침(圓筒形器臺) <국립김해박물관> ▲원통모양그릇받침(圓筒形器臺, 가야시대) <2010. 1. 3>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10.03.04
김해 단지ㆍ그릇받침(廣口小壺ㆍ器臺) 김해 단지ㆍ그릇받침(廣口小壺ㆍ器臺) <국립김해박물관> ▲단지ㆍ그릇받침(廣口小壺ㆍ器臺, 가야시대) ▲단지ㆍ그릇받침(廣口小壺ㆍ器臺, 가야시대) <2010. 1. 3>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10.03.04
김해 구지로 화로모양토기(火爐形土器) 김해 구지로 화로모양토기(火爐形土器) <국립김해박물관> ▲화로모양토기(火爐形土器, 가야시대) <2010. 1. 3>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10.03.04
김해 대성동 원통모양그릇받침(圓筒形器臺) 김해 대성동 원통모양그릇받침(圓筒形器臺) <국립김해박물관> ▲원통모양그릇받침(圓筒形器臺, 가야시대) ▲세부 <2010. 1. 3>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10.03.03
김해 대성동 그릇받침(器臺) 김해 대성동 그릇받침(器臺) <국립김해박물관> ▲그릇받침(器臺, 가야시대) <2010. 1. 3>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10.03.03
김해 대성동 항아리(有蓋臺附把手壺) 김해 대성동 항아리(有蓋臺附把手壺) <국립김해박물관> ▲항아리(有蓋臺附把手壺, 가야시대) ▲항아리(有蓋臺附把手壺, 가야시대) <2010. 1. 3>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10.03.03
김해 대성동 목항아리ㆍ그릇받침(長頸壺ㆍ器臺) 김해 대성동 목항아리ㆍ그릇받침(有蓋長頸壺ㆍ器臺) <국립김해박물관> ▲목항아리ㆍ그릇받침(有蓋長頸壺ㆍ器臺, 가야시대) ▲목항아리(有蓋長頸壺, 가야시대) <2010. 1. 3>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10.03.03
김해 대성동 화로모양토기(火爐形土器) 김해 대성동 화로모양토기(火爐形土器) <국립김해박물관> ▲화로모양토기(火爐形土器, 가야시대) ▲세부문양 <2010. 1. 3>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10.03.03
김해 대성동 굽다리접시(有蓋臺杯) 김해 대성동 굽다리접시(有蓋臺杯) <국립김해박물관> ▲굽다리접시(有蓋臺杯, 가야시대) ▲굽다리접시(有蓋臺杯, 가야시대) <2010. 1. 3>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10.03.03
김해 양동리 수정목걸이(水晶頸飾) 김해 양동리 수정목걸이(水晶頸飾) <국립김해박물관> 삼한의 풍속을 기록한 문헌에는 삼한들이 금은보다 구슬을 재보로 여겼다고 전한다. 이 기록과 같이 삼한의 무덤과 집터에서는 금은제품이 거의 보이지 않는 반면, 벽옥·수정·활석·유리·마노 등 다양한 종류의 구슬이 출토된다. 특히 수..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10.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