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교학의 중심지 - 날란다 대학 불교 교학의 중심지 - 날란다 대학 현재 발굴되어 있는 날란다 대학 유적지는 남북으로 500m, 동서로 250m의 크기인데 모두 14ha(4만2천평)의 전체유적의 약 1/10정도라고 한다. 현재 발굴된 유적은 사리뿟따가 부처님의 머리카락과 손톱을 모신 것이라고 전해지는 사리탑, 벽돌로 징은 봉헌탑, .. ◈인도아대륙문화순례◈/인도문화권 2015.07.20
불교 교학의 중심지 - 날란다 대학 입구의 숲 불교 교학의 중심지 - 날란다 대학 입구의 숲 불교교학의 중심지로 유명한 날란다 대학으로 간다. 불교문학의 산실이자 훙륭한 논사와 학승을 배출한 불교대학인 날란다, 붓다께서 생전에 자주 다녔던 곳이고, 사리뿟따 존자와 목갈라나 존자의 고향이며, 자이나교의 교주인 마하비라가 .. ◈인도아대륙문화순례◈/인도문화권 2015.07.19
라즈기르 온천정사 힌두교 신상 라즈기르 온천정사 힌두교 신상 힌두교에서는 이곳을 無熱惱池라고 하는데 열기와 번뇌가 더 이상 일어나지 않는 연못이라는 의미이다. 더운 땅 인도인에게 열기로 인한 번뇌가 없다는 그야말로 지상낙원이며, 그래서 그곳 천국의 물이 이곳이 성지가 될 수 밖에 없다고 여긴다. ▲힌두.. ◈인도아대륙문화순례◈/인도문화권 2015.07.19
라즈기르 온천정사 라즈기르 온천정사 TAPODA NADI(溫泉) 붓다 당시 온천정사의 유적지로 추정되는 곳으로, 이곳 온천에 대해 현장은 "산 서남쪽 벼랑 북쪽에 옛날에는 500개의 온천이 있었다. 지금은 수십 개 뿐인데, 그것도 또한 냉천도 있고 온천도 있어 모두 온천이 ㄴ것은 아니다"라고 대당서역기에 기록을 .. ◈인도아대륙문화순례◈/인도문화권 2015.07.19
경전 결집지 - 라즈기르 영축산 칠엽굴 경전 결집지 - 라즈기르 영축산 칠엽굴 SAPTAPARNI-GUHA 붓다께서 열반에 든 뒤에 마하가섭 존자는 자신을 따르던 늦깎이 수밧다 라는 비구가 '더 이상 부처님의 간섭을 받지 않게 되어 홀가분하게 되었다'는 이야기를 하는 것을 듣게 되었다. 이에 가섭 존자가 부처님의 가르침이 없어지기 전.. ◈인도아대륙문화순례◈/인도문화권 2015.07.18
최초의 사원 - 라즈기르 죽림정사 까란다 연못 최초의 사원 - 라즈기르 죽림정사 까란다 연못 KARANDA KANIVAPA 죽림정사 안에 있는 연못이다. 원래 이 땅의 소유자였던 까란다 장자가 자신의 이름으로 연못을 공양올렸다고 한다. 당나라 현장은 대당서역기에서 "물이 맑고 시원했으나 부처님이 열반을 하시자 연못의 물리 말랐다"고 기록하.. ◈인도아대륙문화순례◈/인도문화권 2015.07.18
최초의 사원 - 라즈기르 죽림정사 최초의 사원 - 라즈기르 죽림정사 VELUVANA 수행자 시절의 약속을 지키기 위하여 라즈기르를 방문한 붓다를 위하여 빔비사라왕이 승가에 공양 올린 최초의 불교사원이지만 현재 남아있는 유적은 없다. 주변에 5 개의 언덕으로 둘러싸인 좋은 조건을 갖춘 왕사성은 부처님 당대의 강국이었던.. ◈인도아대륙문화순례◈/인도문화권 2015.07.18
라즈기르 거리 라즈기르 거리 자동차들 사이로 마차가 아직도 다니는 라즈기르 거리이다. 영축산에 올라 내려와서 호텔로 가는 길에 우리도 마차를 탔다. 지금은 작은 도시로 변해버린 라즈기르 곳곳에 붓다의 모습이 배어있는 듯하다. ▲라즈기르 거리 ▲라즈기르 거리 ▲라즈기르 거리 ▲라즈기르 거.. ◈인도아대륙문화순례◈/인도문화권 2015.07.18
라즈기르 왕사성 빔비사라왕 감옥터 라즈기르 왕사성 빔비사라왕 감옥터 감옥의 외벽만 남은 이 유적은 빔비사라왕이 아들 아자따삿뚜에게 왕위를 빼앗기고 갇혀있던 곳이다. 여러 번의 발굴을 거쳤지만 족쇄를 비롯한 몇 가지 유물만 발견되었다고 한다. ▲빔비사라왕 감옥터 ▲빔비사라왕 감옥터 ▲빔비사라왕 감옥터 .. ◈인도아대륙문화순례◈/인도문화권 2015.07.17
라즈기르 왕사성 빔비사라왕 마찻길 라즈기르 왕사성 빔비사라왕 마찻길 고대 마차가 다니던 흔적이 남아 있어 눈길을 끈다. 단단한 바위 위에 약 1.5m 정도 너비로 마차가 지나간 자국이 깊이 15cm 정도로 패여 있다. 마차가 다니던 당시에는 이곳이 진흙길이었는지 아니면 마차가 워낙 많이 다녀서 바위가 깎여 나간 흔적인지.. ◈인도아대륙문화순례◈/인도문화권 2015.07.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