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화경 설법지 - 라즈기르 영축산 빔비사라왕의 길 법화경 설법지 - 라즈기르 영축산 빔비사라왕의 길 빔비사라왕이 붓다를 뵙기 위해 올라갔던 길이다. 여래향실을 가기 위한 산길을 오르면 중간에 작은 다리가 잇다. 여기서부터 여래향실까지의 길을 빔비사라왕의 길이라고 한다. 왕이 부처님에 대한 존경심으로 이곳에서부터 신하를 거.. ◈인도아대륙문화순례◈/인도문화권 2015.07.23
법화경 설법지 - 라즈기르 영축산 스투파 터 법화경 설법지 - 라즈기르 영축산 스투파 터 이곳은 빔비사라왕이 그리드라쿠트 언덕에 계시는 붓다를 방문했을 때 자신을 따라온 군중들을 돌려보낸 장소에 건립한 탑이 있던 곳이다. 발굴결과 중세의 불교유물이 출토되었다. ▲스투파 터 ▲스투파 터 <2015. 1. 23> ◈인도아대륙문화순례◈/인도문화권 2015.07.23
법화경 설법지 - 라즈기르 영축산 설법전 법화경 설법지 - 라즈기르 영축산 설법전 영축산의 정상부에는 1903 년에 복원된 설법좌 즉 여래향실의 기단부만이 남아 있고 이곳 정상부에서 출토된 부처님 설법상 및 과거 7불, 미륵보살상, 연꽃봉우리의 형상과 기타 유적들은 나란다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고 한다. 이곳으로 올라오.. ◈인도아대륙문화순례◈/인도문화권 2015.07.22
법화경 설법지 - 라즈기르 영축산 일본사원 법화경 설법지 - 라즈기르 영축산 일본사원 영축산 정상 가까이에 일본 사원이 있다. 산치대탑의 형상을 모방하여 지은 스투파가 솟아 있다. 저녁노을을 받아 황금빛이 감도는 모습이 아름다웠다. ▲영축산의 일본사원 ▲영축산의 일본사원 ▲영축산의 일본사원 ▲영축산의 일본사원 ▲.. ◈인도아대륙문화순례◈/인도문화권 2015.07.22
법화경 설법지 - 라즈기르 영축산 법화경 설법지 - 라즈기르 영축산 죽림정사에서 여름안거를 보낸 부처님께서는 왕사성 남동쪽에 위치한 영축산에서 또다시 우기 석달을 보내시면서 수많은 경전을 설하셨다. 쿠시나가르를 향해 열반의 길을 떠나시기전에 영축산에서 사리불과 목련존자의 열반을 지켜보기도 하셨다. 영.. ◈인도아대륙문화순례◈/인도문화권 2015.07.22
불교 교학의 중심지 - 날란다 대학 스투파 불교 교학의 중심지 - 날란다 대학 스투파 사원유적의 동편에 거대한 스투파가 있다. 벽돌로 쌓은 스투파이지만 이름을 알 수가 없어 안타까웠다. 스투파 앞에는 현재도 발굴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스투파 ▲스투파 ▲스투파 ▲스투파 ▲스투파 ▲스투파 ▲스투파 ▲스투파 ▲스투파 .. ◈인도아대륙문화순례◈/인도문화권 2015.07.21
불교 교학의 중심지 - 날란다 대학 사원유적 부조상 불교 교학의 중심지 - 날란다 대학 사원유적 부조상 사원유적의 기단부에 무수히 많은 조각상들이 보인다. 대승경전에 등장하는 호법신중들과 전설적인 얘기에 등장하는 상징적인 동물상들이다. 음악을 연주하는 동물상, 가릉빈가 등을 만날 수 있다. ▲사원유적 부조상 ▲사원유적 부조.. ◈인도아대륙문화순례◈/인도문화권 2015.07.21
불교 교학의 중심지 - 날란다 대학 사원유적 불교 교학의 중심지 - 날란다 대학 사원유적 승원의 서쪽에는 비슷한 크기와 형태의 사원유적들이 있다. 사원유적에는 많은 봉헌탑들이 있는데 여러 가지 수인의 불상이 새겨진 것이 눈에 띈다. ▲사원유적 ▲사원유적 ▲사원유적 ▲사원유적 ▲사원유적 ▲사원유적 ▲사원유적 ▲사원.. ◈인도아대륙문화순례◈/인도문화권 2015.07.21
불교 교학의 중심지 - 날란다 대학 붓다 사리탑 불교 교학의 중심지 - 날란다 대학 붓다 사리탑 사리뿟따 존자가 부처님의 머리카락과 손톱을 모신 탑이라고 전해지며, 아소카 황제가 증축한 것을 포함하여, 모두 7차례에 걸친 증축이 있었던 것으로 전해진다. 1860년 발굴 조사 때 날란다 대학의 공인 문장이 찍힌 ‘성스러운 날라나 마.. ◈인도아대륙문화순례◈/인도문화권 2015.07.20
불교 교학의 중심지 - 날란다 대학 승원유적 불교 교학의 중심지 - 날란다 대학 승원유적 승원은 하나의 건물에 한 개의 출입문을 통하여 들어가며 승방과 불전 마당 등으로 구성되었으며 대부분 우물이 있다. 승원의 벽은 여름에는 시원하고 겨울에는 따뜻하게 하기 위하여 벽돌로 두껍게 지었으며, 방은 2인1실을 기준으로 되어있.. ◈인도아대륙문화순례◈/인도문화권 2015.07.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