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크로드문화순례◈/서안문화권 297

唐代 실크로드 - 중국 서안 짐승모양백옥진(異獸形白玉鎭)

唐代 실크로드 - 중국 서안 짐승모양백옥진(異獸形白玉鎭) <섬서성역사박물관 소장> 西安 航空學院 出土 唐 618~907 손잡이 부분은 바닥에 웅크린 자세에 사나운 두 눈을 하고 있는 짐승을 형상화하였다. 사냥한 동물을 양발로 누른 채 입으로 물고 있는데 마치 물어뜯는 듯한 보습이 생..

唐代 실크로드 - 중국 서안 팔각금잔(八綾金杯)

唐과 실크로드 - 중국 서안 팔각금잔(八綾金杯) <섬서성역사박물관 소장> 西安 何家村 出土 唐 8세기 옆 부분이 여덟 개의 면으로 되어 있고 그 중 한 면에는 구슬무늬로 이어진 둥근 손잡이가 달려 있다. 손잡이의 위쪽에 호인(胡人) 얼굴을 덧붙였다. 각 면은 손에 악기를 든 악사로 ..

唐代 실크로드 - 중국 섬서성 마카라무늬은잔(摩羯紋銀杯)

唐代 실크로드 - 중국 섬서성 마카라무늬은잔(摩羯紋銀杯)<섬서성역사박물관 소장> 出土地 未詳 唐 618~907 길고 구불구불하게 곡(曲)이 있는 형태는 페르시아식 은그릇을 모방한 것이다. 고대 인도의 전통적인 무고기 무늬인 마카라(摩갈)무늬를 망치로 두드려 양쪽에 새겨 넣었으..

唐代 銅鏡 - 중국 서안 새식물무늬동경(四鳥折枝花紋銅鏡)

唐代 銅鏡 - 중국 서안 새식물무늬동경(四鳥折枝花紋銅鏡) <섬서성역사박물관 소장> 西安市 出土 唐 8세기 전체적으로 해바라기 모양이며 아놎게는 4마리의 새를 장식했다. 새 앞쪽에 꽃을 하나씩 두었고 바깥쪽의 8개 꽃잎에는 화초와 날벌레를 번갈아가며 하나씩 배치하였다. ▲..

唐代 銅鏡 - 중국 서안 해수포도무늬동경(海獸葡萄紋銅鏡)

唐代 銅鏡 - 중국 서안 해수포도무늬동경(海獸葡萄紋銅鏡) <섬서성역사박물관 소장> 出土地 未詳 唐 8세기 거울 뒷면 가운데에 엎드린 모양의 짐승모양 고리가 있다. 각기 다른 모양의 서수(瑞獸) 여섯 마리가 포도덩굴 사이에서 고리를 둘러싸고 있는 모습이 생동감이 넘친다. 그 바..

唐代 銅鏡 - 중국 서안 사신십이지무늬동경(四神十二支紋銅鏡)

唐代 銅鏡 - 중국 서안 사신십이지무늬동경(四神十二支紋銅鏡) <섬서성역사박물관 소장> 出土地 未詳 唐 7세기 가운데에 꼭지가 달렸으며 두 줄의 볼록 선으로 처리된 동심원이 거울을 세 부분으로 나누고 있다. 중심 부분에는 청룡(靑龍), 백호(白虎), 주작(주작(朱雀)), 현무(玄武)의 ..

唐代 銅鏡 - 중국 서안 금은평탈경(金銀平脫鏡)

唐代 銅鏡 - 중국 서안 금은평탈경(金銀平脫鏡) <섬서성역사박물관 소장> 出土地 未詳 唐 8세기 거울 뒷면에 넝쿨무늬로 바닥을 덮고 난새(鸞鳥) 두 마리와 천마(天馬)가 하늘을 날고 있다. 그 사이에는 날짐승 네 마리가 날고 있다. 풀잎의 가운데 부분을 금점(金點)으로 장식했다. 금..

唐代 銅鏡 - 중국 서안 쌍조형수무늬동경(雙鳥衡綏紋銅鏡)

唐代 銅鏡 - 중국 서안 쌍조형수무늬동경(雙鳥衡綏紋銅鏡) <섬서성역사박물관 소장> 새 두마리와 식물무늬 동경 出土地 未詳 唐 9세기 거울 안쪽에 좌우로 날개를 펼친 난새(鸞鳥) 두 마리가 입에 끈을 물고 있다. 발 밑에는 절지화가 놓여있고, 위와 아래에는 연꽃 가지를 두었다. 바..

唐代 銅鏡 - 중국 경양 서수십이지무늬동경(瑞獸十二支紋銅鏡)

唐代 銅鏡 - 중국 경양 서수십이지무늬동경(瑞獸十二支紋銅鏡) <섬서성역사박물관 소장> 陝西省 涇陽縣 出土 唐 8세기 거울 뒷면에 볼록한 선을 둘러 안쪽과 바깥쪽을 나누고 있다. 안족은 상서로운 동물 네 마리가 내달리는 모양으로 장식했고, 바깥쪽은 12칸으로 분할되어 칸마다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