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크로드문화순례◈/서안문화권 297

唐代 생활용기 - 중국 섬서성 넝쿨무늬은국자(花草紋銀則)

唐代 생활용기 - 중국 섬서성 넝쿨무늬은국자(花草紋銀則)<섬서성역사박물관 소장> 陝西省 柳林背陰村 出土 唐 618~907 손잡이가 가늘고 긴 은제국자이다. 구부러진 손잡이에 전체적으로 도금하고 넝쿨무늬와 물고기알부늬를 장식하였다. ▲넝쿨무늬은국자(花草紋銀則) ▲넝쿨무늬은..

唐代 생활용기 - 중국 서안 해당화모양접시(海棠花形碟)

唐代 생활용기 - 중국 서안 해당화모양접시(海棠花形碟) <섬서성역사박물관 소장> 西安 出土 唐 9세기 4곡(曲)의 해당화 모양이다. 정면 아래에 날개를 펴서 날아오르는 원앙 한 마리가 새겨져 있고 주위에는 권초(卷草)무늬, 연꽃무늬, 구슬무늬가 새겨져 있다. 가장자리에 꽃잎이 ..

唐代 생활용기 - 중국 서안 꽃새무늬은쟁반(花鳥紋大銀盤)

唐代 생활용기 - 중국 서안 꽃새무늬은쟁반(花鳥紋大銀盤) <섬서성역사박물관 소장> 西安 韓森寨 出土 唐 618~907 출토 당시 절반만 남아 있었다. 판 안쪽에 봉황 장식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는데 꼬리와 발만 보인다. 봉황의 발과 다리에 잔털과 깃털이 조각되어 있는 등 매우 세밀하..

唐代 생활용기 - 중국 섬서성 은접시(素面銀碟)

唐代 생활용기 - 중국 섬서성 은접시(素面銀碟)<섬서성역사박물관 소장> 西安 何家村 出土 唐 7~8세기 망치로 두드려 형태를 만들고 몸체는 도금하였다. 옆면이 둥글게 처리되었고 깊이는 얕다. 바닥 윗면에 구름사이를 나는 까치 세 마리가 새겨져 있다. ▲은접시(素面銀碟) &lt..

唐代 생활용기 - 중국 섬서성 은접시(素面銀碟)

唐代 생활용기 - 중국 섬서성 은접시(素面銀碟)<섬서성역사박물관 소장> 西安 何家村 出土 唐 7~8세기 현대적인 분위기를 풍기는 얇고 넓은 원반형의 은접시이다. 민무늬지만 물레로 돌려 제작하여 물레 자국이 선명히 보인다. ▲은접시(素面銀碟) ▲은접시(素面銀碟) <201..

唐代 생활용기 - 중국 섬서성 꽃잎모양은접시(花葉形素面銀碟)

唐代 생활용기 - 중국 섬서성 꽃잎모양은접시(花葉形素面銀碟)<섬서성역사박물관 소장> 陝西省 柳林背陰村 出土 唐 618~907 다섯 갈래의 꽃잎이 펼쳐진 모양으로 무늬가 없으며 바닥이 약간 솟아 있다. 망치로 두드려서 형태를 만들었다. ▲꽃잎모양은접시(花葉形素面銀碟) ▲..

唐代 생활용기 - 중국 서안 기러기무늬물그릇(鴻雁紋銀製匜)

唐代 생활용기 - 중국 서안 기러기무늬물그릇(鴻雁紋銀製匜) <섬서성역사박물관 소장> 西安 何家村 出土 唐 8세기 옆면을 한 쌍의 원앙과 기러기무늬로 장식하였고 그 사이에 식물무늬를 배치하였다. 원래는 큰기러기를 홍(鴻), 작은기러기를 안(雁)이라 했다. 기러기는 높이 날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