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크로드문화순례◈/서안문화권 297

唐代 생활용기 - 중국 서안 은제단지(銀製罐)

唐代 생활용기 - 중국 서안 은제단지(銀製罐)<섬서성역사박물관 소장> 西安 何家村 出土 唐 8세기 손잡이와 뚜껑이 있고 바탕은 민무늬이다. 뚜겅 안쪽에 '구량(九兩)'이라는 글자가 있다. 양쪽 어깨에 고리를 달아 손잡이와 연결했다. 한쪽 연결 부분에 19마디로 된 쇠사슬 고리가 있다..

唐代 생활용기 - 중국 섬서성 원앙무늬은잔(鴛鴦紋銀製耳杯)

唐代 생활용기 - 중국 섬서성 원앙무늬은잔(鴛鴦紋銀製耳杯)<섬서성역사박물관 소장> 西安 何家村 出土 唐 8세기 네모난 형태의 귀가 한 쌍 달려 있다. 잔 전체에 꽃무늬가 새겨져 있는데 그릇 바닥은 여러 겹의 꽃무늬로 되어 있다. 안족의 정지화(折枝花) 무늬는 꽃과 잎이 무성하다...

唐代 생활용기 - 중국 유림배음촌 은그릇뚜껑(銀製碗蓋)

唐代 생활용기 - 중국 유림배음촌 은그릇뚜껑(銀製碗蓋) <섬서성역사박물관 소장> 陝西省 柳林背陰村 出土 唐 8세기 손잡이가 달린 그릇의 뚜껑이다. 밧불무늬가 이 뚜겅을 4개 부분으로 나누고 있다. 각 부분마다 나뭇가지와 꽃이 장식되어 있고 전체 뚜껑 테두리는 꽃잎무늬를 둘러 ..

唐代 생활용기 - 중국 서안 백자네귀항아리(白瓷四系罐)

唐代 생활용기 - 중국 서안 백자네귀항아리(白瓷四系罐) <섬서성역사박물관 소장> 西安 出土 唐 8~9세기 입구가 밖으로 벌어지고 목은 직선이며 어깨가 넉넉하다. 옆면은 둥글게 만들어졌다. 바닥은 평평하고 어깨에 네 귀가 붙어 있으며 몸체는 백유(白釉)를 발라 매끄럽고 윤이 난다...

唐代 생활용기 - 중국 서안 꽃무늬은그릇(團花紋銀製碗)

唐代 생활용기 - 중국 서안 꽃무늬은그릇(團花紋銀製碗) <섬서성역사박물관 소장> 出土地 未詳 唐 8세기 아가리가 밖으로 벌어져 있고 배 부분이 부풀어 있으며 얕은 굽이 달려 있다. 구연과 굽 부분을 기하학적인 무늬로 장식하였고 그릇 표면에는 절지화(折枝花)무늬를 새겼다. ▲꽃..

唐代 생활용기 - 중국 섬서성 춘추인물고사무늬단지(春秋人物故事紋三足罐) 

중국 섬서성 춘추인물고사무늬단지(春秋人物故事紋三足罐)<섬서성역사박물관 소장> 陝西省 柳林背陰村 出土 唐 9세기 항아리 표면을 세 부분으로 나누어 여러 인물이 함께 모여있는 옛 이야기를 표현하였다. 옆에 적힌 작은 글씨로 보아 춘추시대 학자인 자로(子路)를 비롯하여, 영..

唐代 생활용기 - 중국 서안 백자손잡이항아리(白瓷壺)

唐代 생활용기 - 중국 서안 백자손잡이항아리(白瓷壺) <섬서성역사박물관 소장> 西安 韓森寨 出土 唐 8~9세기 윗쪽의 아가리는 밖으로 벌어졌으며 목이 길고 부둥이가 짧다. 바닥은 평평하며 귀 모양의 손잡이가 달려 있다. 몸체에 유약을 발라 표면은 매끈하다. 이러한 기형은 서역의 ..

唐代 생활용기 - 중국 서안 삼채단지(三彩罐)

唐代 생활용기 - 중국 서안 삼채단지(三彩罐) <섬서성역사박물관 소장> 西安 小土門村 出 土 唐 8세기 채색이 아름답고 화려하면서도 깔끔하게 처리되었다. 굽는 과정에서 다양한 색의 금속안료를 이용하였으며 윤기가 나면서도 다양하게 변화하는 유약 층의 특징을 살렸다. 점 또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