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의 암각화 - 산양 몽골의 암각화 - 산양 <국립대구박물관 특별전> 몽골의 암각화에는 산양이 가장 많다. 산양은 한 마리씩 새겨진 것도 있으나 마주보는 것도 있고, 무리지어 잇는 모습도 있다. 대개 옆모습이 형상화되어 있는데, 크고 둥근 뿔이 특징적이다. ▲산양(123×84.5cm) ▲산양(88.5×62.5cm) ▲산양 ▲산양 ▲산.. ◈극동문화순례◈/몽골문화권 2008.08.23
몽골의 암각화 - 사람과 말, 사슴 몽골의 암각화 - 사람과 말, 사슴 <국립대구박물관 특별전> ▲사람과 말, 사슴(74×47.6cm) <2008. 7. 26> ◈극동문화순례◈/몽골문화권 2008.08.23
몽골의 암각화 - 사슴 몽골의 암각화 - 사슴 <국립대구박물관 특별전> 사슴은 가지가 뻗은 뿔을 크게 표현하고 주둥이와 눈을 나타낸 것이 많다. 가슴과 뒷다리가 발달한 모습이며 생식기가 과장되게 표현한 것도 있다. 양식화된 사슴은 사슴돌에 새겨진 것과 유사한 점이 많아서 사슴돌과의 연관성을 보여준다. ▲사슴(.. ◈극동문화순례◈/몽골문화권 2008.08.22
몽골의 암각화 - 마차 몽골의 암각화 - 마차 <국립대구박물관 특별전> 넓은 바위 면에 마차를 위에서 내려다본 듯이 새겼다. T자형 끌채에 둥근 멍에가 네 개 있으며 굴대는 바퀴 밖으로 튀어나왔다. 수레의 바퀴 쪽은 수레축, 수레, 바퀴를 깊이를 달리 해서 새겼다. ▲마차(53.5×53cm) <2008. 7. 26> ◈극동문화순례◈/몽골문화권 2008.08.22
몽골의 암각화 - 산양 무리 몽골의 암각화 - 산양 무리 <국립대구박물관 특별전> 몽골의 암각화에는 산양이 가장 많다. 산양은 한 마리씩 새겨진 것도 잇으나 마주보는 것도 있고, 무리지어 있는 모습도 있다. 대개 옆모습이 양식화되어 있는데, 크고 둥근 뿔이 특징적이다. ▲산양 무리(49×91cm) <2008. 7. 26> ◈극동문화순례◈/몽골문화권 2008.08.22
몽골의 암각화 - 모자를 쓴 사냥꾼 몽골의 암각화 - 모자를 쓴 사냥꾼 <국립대구박물관 특별전> ▲모자를 쓴 사냥꾼(24.7×26cm) <2008. 6. 26> ◈극동문화순례◈/몽골문화권 2008.08.22
몽골의 암각화 - 세 사람 몽골의 암각화 - 세 사람 <국립대구박물관 특별전> 암각화는 선사인들이 바위나 암벽에 사람이나 동물, 또는 추상적인 형상을 갖가지 기법으로 새겨서 표현한 그림으로, 선사인들의 생활과 문화를 이해 할 수 있는 중요한 유적이다. 테브시 울(Tevsh Uul)은 몽골 남부 우부르항가이 아이막(Uvurhangai aima.. ◈극동문화순례◈/몽골문화권 2008.08.22
몽골의 암각화 - 어른과 아이 몽골의 암각화 - 어른과 아이 <국립대구박물관 특별전> 몽골은 암각화의 세계적인 분포지이다. 구석기시대에서 초기철기시대에 걸쳐 이룩된 이들 선사유적은 몽골이 자랑하는 문화재일 뿐만 아니라 인류 공동의 소중한 문화유산이기도 하다. 이 몽골의 암각화는 울주 반구대를 비롯해 우리나라 .. ◈극동문화순례◈/몽골문화권 2008.08.22
신안 해저 출토 백자소주자 신안 해저 출토 백자소주자 <목포해양유물전시관> ▲백자소주자(白瓷小注子, 중국) <2008. 5. 5> ◈극동문화순례◈/중화문화권 2008.08.13
신안 해저 출토 청백자철반문표형주자 신안 해저 출토 청백자철반문표형주자 <목포해양유물전시관> ▲청백자철반문표형주자(靑白瓷鐵班文瓢形注子, 중국) <2008. 5. 5> ◈극동문화순례◈/중화문화권 2008.08.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