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의 관 - 일본 군마현 금관총 금동관(金銅冠) 백제의 관 - 일본 군마현 금관총 금동관(金銅冠) <국립공주박물관 특별전, 복원품> 고분시대(6세기 후반) 일본 군마현(群馬縣) 금관총 동경국립박물관 소장 ▲금동관(金銅冠) <2010. 10. 17> ◈극동문화순례◈/일본문화권 2010.11.18
백제의 관 - 일본 구마모토현 에다후나야마 고분 금동관(金銅冠) 백제의 관 - 일본 구마모토현 에다후나야마 고분 금동관(金銅冠) <국립공주박물관 특별전, 복원품> 고분시대(5세기 후반) 일본 구마모토현(熊本縣) 에다후나야마 고분 동경국립박물관 소장 ▲금동관(金銅冠) ▲금동관(金銅冠) <2010. 10. 17> ◈극동문화순례◈/일본문화권 2010.11.18
백제의 관 - 일본 후쿠이현 주젠노모리 고분 금동관(金銅冠) 백제의 관 - 일본 후쿠이현 주젠노모리 고분 금동관(金銅冠) <국립공주박물관 특별전, 복원품> 고분시대(5세기 후반) 일본 후쿠이현(福井縣) 주젠노모리 고분 후쿠이현립역사박물관 소장 ▲금동관(金銅冠) <2010. 10. 17> ◈극동문화순례◈/일본문화권 2010.11.18
백제의 관 - 중국 당염립본왕회도(唐閻立本王會圖) 백제의 관 - 중국 당염립본왕회도(唐閻立本王會圖) <국립공주박물관 복제품> 대만국립박물원 소장 唐 7세기 당염립본왕회도(唐閻立本王會圖)는 양나라의 원제(元帝) 소역(蕭繹, 508~554, 江蘇武進人)이 양에 조공 온 외국인 사절의 모습을 그린 양직공도(梁職貢圖)의 모사본이다. 직공도(職貢圖)란 중.. ◈극동문화순례◈/중화문화권 2010.11.12
국립청주박물관 훼룡무늬거울(虺龍文鏡) 국립청주박물관 훼룡무늬거울(虺龍文鏡) <국립청주박물관> 중국 거울로 내곽에는 전설의 동물인 훼룡(이무기)과 용, 새무늬 등이 도안화되어 배치되었다. 중앙에는 하나의 꼭지가 있으며 도금부분의 바락이 심하다. ▲훼룡무늬거울(虺龍文鏡, 중국 황수영 기증품) <2009. 12. 25> ◈극동문화순례◈/중화문화권 2010.01.15
몽골의 암각화 - 탐가(Tamga) 몽골의 암각화 - 탐가(Tamga) <국립대구박물관 특별전> 사냥이 많이 되길 염원하는 의미를 담아 동물의 발자국 모양을 상징화한 것이 탐가(Tamga)이다. 탐가는 도상화된 동물상으로 발전하여 8세기에 세워진 '퀼 테긴' 비나 '티라이트' 비에는 종족의 상징 무늬로 나타나기도 한다. ▲탐가(31.5×33.5cm) <.. ◈극동문화순례◈/몽골문화권 2008.08.25
몽골의 암각화 - 호랑이 몽골의 암각화 - 호랑이 <국립대구박물관 특별전> 호랑이는 긴 몸체에 줄무늬가 표현되어 있는 도상이다. ▲호랑이(29×48cm) <2008. 7. 26> ◈극동문화순례◈/몽골문화권 2008.08.25
몽골의 암각화 - 낙타 몽골의 암각화 - 낙타 <국립대구박물관 특별전> 낙타는 대개 솟은 혹이 두 개식 표현되어 있다. 사실적인 표현보다는 혹을 중심으로 늘어진 목과 네 다리를 간략하게 나타낸 것이 많다. ▲낙타(34.3×63.3cm) <2008. 7. 26> ◈극동문화순례◈/몽골문화권 2008.08.25
몽골의 암각화 - 말과 새, 늑대 몽골의 암각화 - 말과 새, 늑대 <국립대구박물관 특별전> 늑대(또는 개)는 산양이나 말 등 다른 동물과 함께 나타낸 것이 많다. 귀를 쫑긋 세운 채, 작지만 날렵한 다리에 긴 고리가 표현되어 있다. ▲말과 새, 늑대(90.5×91cm) <2008. 7. 26> ◈극동문화순례◈/몽골문화권 2008.08.25
몽골의 암각화 - 산양과 사냥꾼 몽골의 암각화 - 산양과 사냥꾼 <국립대구박물관 특별전> ▲산양과 사냥꾼(55×94.5cm) <2008. 7. 26> ◈극동문화순례◈/몽골문화권 2008.08.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