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열도의 백제문화 - 일본 나라 도다이지 중문(中門) 일본열도의 백제문화 - 일본 나라 도다이지 중문(中門) 왜가 도다이지(東大寺)를 창건한 가장 중요한 이유 중 하나는 한민족과 완전히 결별하고, 동아시아 신질서에 진입했다는 것을 선언하기 위한 것이었다. 663년 백제의 광복운동이 실패로 끝나자, 백제 유민들은 일본 열도로 밀려들었.. ◈극동문화순례◈/일본문화권 2012.05.20
일본열도의 백제문화 - 일본 나라 도다이지 남대문(南大門) 일본열도의 백제문화 - 일본 나라 도다이지 남대문(南大門) 도다이지의 정문인 남대문은 규모가 큭 호화로운 구조로 되어 있으며 높이가 25.5m에 이른다. 중국대륙에서 전해진 대불 건축 양식이 그대로 남아 있는 귀중한 건축물이다. 남대문 안으로 들어가니 금강역사상이 나타난다. 1203년.. ◈극동문화순례◈/일본문화권 2012.05.20
일본열도의 백제문화 - 일본 나라 호류지 고목나무 일본열도의 백제문화 - 일본 나라 호류지 고목나무 ▲고목나무 ▲고목나무 ▲고목나무 <2012. 4. 14> ◈극동문화순례◈/일본문화권 2012.05.19
일본열도의 백제문화 - 일본 나라 호류지 성덕태자 어영(御影) 일본열도의 백제문화 - 일본 나라 호류지 성덕태자 어영(御影) <모사도> ▲성덕태자 어영 ▲성덕태자 어영 상호 <2012. 4. 14> ◈극동문화순례◈/일본문화권 2012.05.19
일본열도의 백제문화 - 일본 나라 호류지 구세관음 일본열도의 백제문화 - 일본 나라 호류지 구세관음 오랜 역사의 비밀을 찾아 진실을 밝혀낸다는 것은 흩어진 조각을 맞추는 퍼즐 게임과도 같다. 각지에 흩어져 있는 역사의 파편들을 모아 하나로 모으다보면 어느새 아득한 옛 이야기들이 파노라마처럼 우리 곁에 펼쳐진다. 그러나 남아.. ◈극동문화순례◈/일본문화권 2012.05.19
일본열도의 백제문화 - 일본 나라 호류지 백제관음 일본열도의 백제문화 - 일본 나라 호류지 백제관음 대보장원(大寶藏院)으로 가면 ‘백제관음상’을 비롯한 일본 국보급 문화재들이 보관돼 있다. 표지판에는 ‘대보장원’이라는 글씨 아래 ‘백제관음당’이라고 써 있다. ‘구다라칸논도(百濟觀音堂)’라고 읽는다. 일본에서는 백제(百.. ◈극동문화순례◈/일본문화권 2012.05.19
일본열도의 백제문화 - 일본 나라 호류지 약사삼존상 일본열도의 백제문화 - 일본 나라 호류지 약사삼존상 호류지의 대강당에는 금동 약사삼존상이 모셔져 있다. 가운데 약사여래상을 중심으로 좌우에 이광보살과 월광보살이 각각 모셔져 있다. ▲약사삼존상 ▲본존 약사여래상 <2012. 4. 14> ◈극동문화순례◈/일본문화권 2012.05.18
일본열도의 백제문화 - 일본 나라 호류지 대강당(大講堂)ㆍ경당(經堂)ㆍ종각(鐘閣) 일본 나라 호류지 대강당(大講堂)ㆍ경당(經堂)ㆍ종각(鐘閣) 대강당, 종각 : 헤이안시대(평안시대, 8세기말~12세기말) 경당 : 나라시대(奈良시대, 8세기초~8세기말) 중문의 북쪽에 위치한 팔작지붕건축양식의 중후한 구조를 보이는 대강당은 헤이안 후기인 990년에 재건된 건물이다. 대강당은 .. ◈극동문화순례◈/일본문화권 2012.05.18
일본열도의 백제문화 - 일본 나라 호류지 금당 아미타정토도 일본열도의 백제문화 - 일본 나라 호류지 금당 아미타정토도 금당 사방 벽과 천장에는 다양한 형태의 벽화가 그려져 있다. 담징을 포함한 고구려 창작집단의 작품으로, 고구려 고분 벽화에서 보는 낯익은 그림들이다. 실물은 1947년에 불타 없어졌고, 1968년에 모사한 것만이 남아있다. 그것.. ◈극동문화순례◈/일본문화권 2012.05.18
일본열도의 백제문화 - 일본 나라 호류지 금당 금동석가여래삼존상 일본열도의 백제문화 - 일본 나라 호류지 금당 금동석가여래삼존상 623년 3월에 쇼토쿠 태자의 명복을 빌기 위해 시바노구라쓰쿠리노오비토 도리(司馬鞍首止利)가 완성하여 공양한 이 삼존상은방형의 이중대좌 위에 연변형(蓮弁形)의 대광배를 지니는 일광삼존상 형식으로 본존은 오른손.. ◈극동문화순례◈/일본문화권 2012.0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