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석탈해 탄강유허비
이유허는 신라 4대왕인 석탈해왕이 탄생한 곳으로 전한다. 삼국유사 탈해왕조에 의하면 계림 동쪽의 하서지촌 아진포라 하였다.
남해왕 때에 가락국 바다 한가운데 웬 배가 정박하였으므로 그 나라의 수로왕이 신하와 백성들과 함께 북을 울리면서 맞아서 머물도록 하려 하였더니 배는 그만 나는 듯이 달아나서 계림 동쪽의 하서지촌(下西知村) 아진포(阿珍浦)에 닿았다. 이때에 갯가에는 한 노파가 있었는데 이름이 아진의선(阿珍義先)이라 하니 곧 혁거세왕의 배꾼의 어머니(海尺)였다.
그녀는 바다를 바라보고 말하기를, “이 바다에는 원래 바윗돌이 없는데 어인 까닭으로 까치들이 몰려서 울꼬?” 하고는 배를 저어가서 찾아보니 웬 배 한 척 위에 까치들이 몰려 있었다. 배 한가운데에는 궤짝이 한 개 있는데 길이가 20척이요 너비가 13척이었다.
그녀는 배를 끌어다가 어떤 나무숲 아래 가져다주고 좋은 일인지 언짢은 일인지 알 수가 없어 하늘을 향하여 맹세를 하고 난 뒤 궤짝을 열어보니 단정하게 생긴 웬 사내아이가 들어 있고 겸하여 가지각색의 보물(七寶)과 노비들이 가득 실려 있었다. 그녀가 이레 동안 그 아이의 바라지를 하였더니 그제야 말하기를, “나는 본래 용성국(龍城國) 사람이다. 우리 나라에는 일찍부터 28용왕이 있어 사람들의 태로부터 나서 다섯 살, 여섯 살적부터 왕위를 계승하여 만백성들에게 천품을 닦도록 교화하였으며 8품의 성골(姓骨)이 있으나 차별을 두지 않고 모두가 임금자리에 오르게 되었다. 당시 나의 부왕인 함달파(含達婆)가 적녀국(積女國) 왕녀에게 장가를 들어 왕비를 삼았는데 오랫동안 아들이 없어서 자식 낳기를 기도하였더니 7년 후에 커다란 알 한 개를 낳았다. 이에 부왕은 여러 신하들을 모으고 묻기를, ‘사람으로서 알을 낳는다는 것은 고금에 없는 일이니 아마도 좋은 일이 아닌가 보다’ 하고 곧 궤짝을 만들어 나를 넣고 겸하여 가지각색의 보물과 노비들을 배에 싣고 바다에 띄우면서 빌기를, ‘인연 닿는 땅에 네 마음대로 닿아 나라를 세우고 가문을 만들라’ 하였다. 때마침 붉은 용이 있어 배를 호위하면서 이곳까지 왔노라”고 하였다.
<중략>
노례왕이 죽자 광무제 중원(中元) 2년 정사(57) 6월에 탈해가 바로 왕위에 올랐다. 그가 “이것이 옛날(昔) 우리 집이고” 하면서 남의 집을 빼앗았다고 하여 성을 옛 석(昔)자로 하였다. 혹은 까치 때문에 궤짝을 열었으므로 까치 작(鵲) 자에서 새 조(鳥)를 떼어버리고 석씨로 하였다기도 하며 궤짝을 풀고(解) 알을 벗고(脫) 나왔으므로 이름을 탈해(脫解) 하였다고도 한다. 임금 자리에 있은 지가 23년이요 건초(建初) 4년 기묘(79)에 죽어서 소천(疏川) 둔덕 가운데 장사하였다.
<삼국유사 제4대탈해왕(第四代脫解王)조>
그런데 1845년 당시 석씨일족들에 의해 현위치가 지정될 때 무엇을 근거로 하였는지는 정확하지 않다. 오히려 삼국사기 신라본기와 삼국유사에서 동일하게 기록되어 있는 하서지촌(下西知村) 아진포(阿珍浦)의 기록을 근거로 하였다면, 신라시대 이래로 한번도 지명이 변경되지 않은 경주시 양남면 하서리일대의 진리(津里) 또는 하서천(下西川)일대로 비정하기 쉬웠을 것이다. 그러나 이들은 하서지촌에서 북쪽으로 10리 이상 덜어진 나아천 하구의 현위치에다 시조의 탄강지로 위치를 정한 것이다.
당시 촌(村)이라는 단위집단의 범위가 10리 이상의 규모를 의미한다고 보기는 어렵기 때문에 석탈해의 도래지는 하서리 일대일 가능성이 높다고 여겨진다. 당시 동해안 일대의 대표적인 촌은 내아촌(乃兒村), 상서지촌(上西知村), 하서지촌(下西知村)등 이었기 때문에 당연히 석탈해의 도래지는 나아리가 분명한 내아촌의 아진포라고 기록되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내아촌과 하서지촌 사이에는 상서지촌이 존재하고 있었으므로 하서지촌 아진포는 내아촌과 바로 연결될 수 없다. 따라서 하서지 일대에 도착한 석탈해 집단은 북으로 이동하여 양남면 나아리 일대에서 세력을 키운 후 경주지역으로 이동했을 가능성이 크다. 그래서 최초의 도착지점은 중요시되지 않고 세력을 키운 나아리 일대가 기억에 남게된 것 같다.
*석탈해 탄강유허비각 전경
*석탈해 탄강유허비각 근경
*석탈해 탄강유허비각 근경
*석탈해 탄강유허비각 뒷모습
*석탈해 탄강유허비
*석탈해 탄강유허비각
*석탈해 탄강유허비 제액
*근래에 세운 표시석
*표시석
*하마비
<2006. 5. 10>
'◈한국문화순례◈ > 서라벌문화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주 안강 성산서당 (0) | 2006.05.18 |
---|---|
경주 마동 삼층석탑 (0) | 2006.05.18 |
경주 감은사터 삼층석탑 (0) | 2006.05.06 |
경주 감은사터 (0) | 2006.05.05 |
경주 원원사터 삼층석탑 (0) | 2006.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