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경주 고선사터 삼층석탑

蔥叟 2005. 10. 19. 08:26

경주 고선사터 삼층석탑

<국립경주박물관>

 

   이 석탑은 원래 경주 암곡동의 고선사터에 있었는데 덕동댐의 건설로 물에 잠기게 되어 1975년 박물관으로 옮겨온 것이다. 고선사는 7세기 후반인 통일신라 초기에 창건된 절로서 원효대사가 주지로 있었던 이름난 절이다.

 

   옥개석과 탑신석은 여러개의 부재를 짜 맞추어 놓았으나 3층 탑신석만은 하나의 돌로 된 것이 특징이다. 이것은 사리를 넣기 위한 사리구멍(舍利孔)을 마련하려는 배려였음을 옮겨올 때 알게 되었다. 이 탑을 감은사터의 동서 삼층석탑과 비교해 보면 티 탑에는 1층 탑신 네 면에 문비형(門扉形)이 있으나 감은사 석탑에는 없는 점이 다를 뿐 거의 같은 시기, 크기, 양식의 것으로소 감은사 탑과 함께 통일신라 초기의 대표적인 석탑이다.

 

 <고선사터 삼층석탑>

 

 <고선사터 삼층석탑>

 

*고선사터 삼층석탑

 

*고선사터 삼층석탑

 

*고선사터 삼층석탑 

 

 <석탑 기단부>

 

 <상층기단>

 

  <1층몸돌의 문비>

 

 <장식 구멍>

 

 <탑신부>

 

 <상륜부>

 

 <귀부>

 

 <귀부 죄측면>

 

 <귀부 우측면>

 

 <귀부 앞면>

 

 <귀부 뒷면>

 

 <귀갑문>

 

 <발가락>

 

 <석등 하대석>

 

 <고선사터 출토 석물들>

 

<주춧돌>

 

 <주춧돌>

 

 <계단 소맷돌>

 

<十자형 주춧돌>

 

 <十자문>

 

 

<고선사금당터>

 

<금당터>

 

 

 

<2005. 10.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