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창녕 관룡사 약사전 삼층석탑

蔥叟 2018. 1. 17. 21:57

창녕 관룡사 약사전 삼층석탑

 

높이 2m.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1호. 지대석(地臺石)이 모두 지상에 드러나 있는데, 현상으로 보아 자연암반을 활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즉, 상면과 측면은 평평하고 반듯하게 다듬었지만, 하면은 울퉁불퉁한 면을 그대로 사용하였다. 밑에는 크고 작은 석재를 받쳐 수평을 유지하고 있다. 하층기단은 2매의 석재로 구성되었는데, 각각의 석재에는 갑석(甲石)까지 표현하고 있다. 면석에는 각면 2구씩의 안상(眼象)이 모각되었고, 갑석의 상면에는 낮고 넓은 각형 1단의 받침을 조출하여 상층기단을 받고 있다. 상층기단의 각 면에는 두 우주(隅柱 : 모서리기둥)와 한 개의 탱주(撑柱 : 받침기둥)를 새겼는데, 상면에는 1매의 판석으로 된 상층기단 갑석을 놓았다. 갑석의 하면에는 낮은 각형 1단의 부연(副椽 : 갑석 하부에 두른 쇠시리)이 있고, 상면에는 높고 낮은 각형 2단의 받침을 조출하여 초층탑신을 받고 있다.


탑신부는 기단부에 비해 파손이 심한데, 탑신석과 옥개석은 각각 하나의 석재로 구성되어 있다. 탑신석에는 두 우주만이 모각되었는데, 1층탑신은 2층과 3층탑신에 비해 3배 정도 높게 조성되었다. 옥개석은 전체적으로 전각부(轉角部)에서 심하게 파손되어 본래의 모습을 파악하기가 어렵다. 옥개받침은 각층 3단으로 동일한데, 낙수면의 경사가 급하고 처마가 두껍게 조성되어 있다. 이런 현상으로 보아 전각의 반전(反轉)은 둔중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석탑은 이층기단을 구성하고 있고, 지대석으로 자연암반을 활용하였으며, 하층기단 각 면에 2구씩의 안상을 모각한 점은 대체로 통일신라 말기 석탑의 양식을 따르고 있다. 그러나 석탑의 규모가 축소되고, 각 부의 양식이 간략해지고 섬약해진 점으로 보아 약사전의 석불과 같은 시기인 고려시대 중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삼층석탑

 

▲삼층석탑

 

▲삼층석탑

 

 

 

<2017. 11.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