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순례◈/한양문화권

조선 정원의 백미 - 서울 창덕궁 후원 부용정

蔥叟 2018. 1. 4. 17:57

조선 정원의 백미 - 서울 창덕궁 후원 부용정

 

낙선재에서 중희당 터를 지나 북쪽으로 고개길을 넘어가면 부용지 일곽을 중심으로 드넓은 창덕궁 후원이 펼쳐진다. 현재 부용지 입구는 그 창덕궁 후원의 초입에 해당한다. 이곳에서부터 창덕궁 후원이 시작되며 후원의 곳곳에는 수많은 정자각들이 곳곳에 자리하고 있다. 부용(芙蓉)’은 ‘연꽃’을 뜻하는데, 창덕궁 후원의 대표적인 방지(方池)이다. 동서 길이가 34.5m, 남북 길이가 29.4m에 이르는 네모 반듯한 연못으로, 연못 중앙에 소나무를 심은 작은 섬이 하나 떠 있다. 네모난 연못과 둥근 섬은 ‘하늘은 둥글고 땅은 네모나다’는 천원지방(天圓地方) 사상을 반영한 것이다. 연못은 장대석으로 쌓아올렸고, 남쪽 모서리에는 물고기 조각이 하나 있다. 잉어 한 마리가 물 위로 튀어오르는 모습을 새겼는데, 이것은 왕과 신하의 관계를 물과 물고기에 빗댄 것이다.

 

부용정은 창덕궁 후원 초입에 천원지방의 조형원리에 따라 조성한 대표적 연못인 부용지에 지은 마루식 정자로 연못에 인접하여 자연의 선경을 인공적으로 만들어, 풍류를 통해 수양을 하는 한국 정자건축의 대표적 작품이다. 열십(十)자 모양의 독특한 평면 형태, 공간구성, 건물의 장식 등이 뛰어난 비례와 대비로 건물의 아름다움의 극치를 보여주고 있는 건물로 역사적, 예술적, 건축적으로 보존가치가 높다. 연못 남쪽에 위에서 봤을 때 열 십(十)자 모양을 이루는 정자가 있는데, 초석 2개가 연못에 들어가 있다. 이 정자는 원래 숙종 33년(1707)에 ‘택수재(澤水齋)’를 지었다가 정조 16년(1792)에 부용지를 고치면서 ‘부용정(芙蓉亭)’이라 불렀다.

 

부용정은 궁궐지에 따르면 조선 숙종 33년(1707)에 이곳에 택수재(澤水齋)를 지었는데, 정조 때에 이를 고쳐 짓고 이름을 ‘부용정(芙蓉亭)’이라 바꾸었다고 한다.『동국여지비고』에는 “주합루 남쪽 연못가에 있다. 연못 안에 채색하고 비단 돛을 단 배가 있어, 정조 임금께서 꽃을 감상하고 고기를 낚던 곳이다”라고 하여 이곳에서 왕이 과거에 급제한 이들에게 주연을 베풀고 축하해 주기도 했으며, 신하들과 어울려 꽃을 즐기고 시를 읊기도 하였는데, 1795년 수원 화성을 다녀온 정조가 신하들과 낚시를 즐겼다고 전한다. 기둥에는 이곳의 풍광을 읊은 시를 적은 주련(柱聯)10개가 걸려 있다.

 

부용정의 평면은 정면 5칸, 측면 4칸, 배면 3칸의 누각으로 연못 남쪽 위에서 봤을 때 열 십(十)자 모양을 기본으로 구성되었으며, 남동과 남서쪽에 반칸을 덧대서 소통을 원활히 하였다. 남북 중심축을 기준으로 할 때 동쪽과 서쪽이 좌우대칭이다. 연못 안에 2개의 팔각 석주를 세운 다음 그 위에 가느다란 원기둥을 세우고 건물의 비례에 맞게 앙증맞은 2익공(二翼工)공포를 짜 올렸다. 정자안은 네 개의 방을 배치했는데, 배면의 방이 다른 방들보다 한 단계 높다. 지붕은 겹처마 팔작지붕의 단층이다.

 

외관을 보면 북쪽은 간결하고 남쪽은 화려한 형식을 취하고 있어 보는 위치에 따라 다양한 형태가 나타나며, 풍부한 형태미를 강조하기 위해서 난간과 창호도 위치에 따라 다양한 형식을 취하고 있다. 난간은 평난간과 계자난간(鷄子欄干)을 두었는데, 특히 북쪽 연못 부분의 난간은 다른 곳보다 한단 높게 하여 변화를 주었다. 창호를 보면 외부 창은 연못으로 내민 부분에만 亞자살문을 달고, 그 밖의 다른 곳은 모두 띠살문로 하였으며, 들쇠에 매달면 사방으로 트이게 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내부에는 정자살문과 팔각형 교살창을 낸 불발기창을 두어 안팎 공간의 구분을 분명하게 하였다.

 

<궁궐지>에 의하면 규장각은 정조 즉위년(1776)에 이곳에 세워져 처음엔 어진을 봉안했다고 하며, 주합루는 규장각의 위층에 있고 주합루 현판은 정조의 어필이라고 적고 있다. 현재 부용지를 내려다 보며 웅장하게 지어져 있는 2층 건물에는 주합루라는 현판이 걸려 있다. 따라서 엄밀히 말하면 주합루는 이층 누마루를 가르키는 것이고 1층은 규장각이다. 규장각은 정조가 탕평책을 추진하던 무렵 세운 기구이다. 숙종 때 왕실 족보 등을 보관하는 작은 건물이었으나 정조 때 이르러 그 규모도 커지고 기능과 역할이 확대된 것이다. 즉 규장각은 정조 당시 국내외 도서들을 모아 왕립 도서관의 역할은 물론, 인재를 등용해 국가정책 연구와 왕의 비서실 역할까지를 담당했던 기구로 발전시킨 것이다.

 

궁궐의 후원은 단지 휴식기능만 갖춘 것이 아니라 국정업무수행을 위한 생산적인 공간으로 활용되기도 했던 것이다. 그러나 일제시기에 이곳은 이토 히로부미가 연회장으로 활용하는 등 왜곡과 수난을 겪기도 했다. 이곳 규장각 소장 도서는 일제시기 경성제국대학으로 이전되었으나, 다행히 일본으로 반출되지 않고 현재 서울대학교 부속기관인 규장각에 보관되어 있다. 주합루, 규장각에 오르기 위해서는 어수문을 지나야 한다. 어수문은 일주문 형태로 화려한 단청이 돋보인다. 신하들은 어수문 옆 작은 협문을 통해 들어갔으며, 왕은 이곳 어수문을 통해 규장각에 들어갔다.

 

▲부용지

 

▲부용정

 

▲부용정

 

▲부용정

 

▲부용정

 

▲사정기비각

 

▲사정기비각

 

▲영화당

 

▲영화당

 

▲영화당

 

▲영화당

 

▲어수문

 

▲주합루

 

▲주합루

 

▲주합루

 

▲주합루

 

▲주합루

 

▲주합루

 

▲취병

 

▲취병

 

 

 

<2017. 10.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