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순례◈/영산강문화권

고창 무장읍성 진무루

蔥叟 2016. 5. 12. 01:55

고창 무장읍성 진무루

 

고려시대까지 무송(茂松)과 장사(長沙)의 두 고을이었던 것을 효과적인 왜구의 방비를 위하여 1417(태종 17) 합하여 두 고을 첫자를 떼어 무장이라 하고 성과 관아를 새로 마련하였다전라도의 여러 고을에서 장정과 승려 2만수천명이 동원되어 둘레 1,470(), 높이 7척의 성벽을 쌓고, 성 위에 높이 1척짜리 여장(女墻 : 성위에 낮게 쌓은 담) 471개를 만들고, 옹성(甕城)을 갖춘 남문과 동·북문을 세웠다.

 

성벽 밖으로는 둘레 2,127척의 해자(垓字 : 성 밖으로 둘러 판 못)를 파서 견고히 하고, 병마사가 현감을 겸직하는 진()을 베풀었던 곳이다. 이후 성은 더욱 넓혀 축조되었던 듯하니 신증동국여지승람에서는 둘레가 2,639척이라 하였다. 성안에는 뱀의 두 눈처럼 생긴 지형에 두 곳의 샘을 마련하였다고 한다현재의 읍성은 사두봉(蛇頭峰)이라 부르는, 남북으로 기다란 구릉을 중심으로 하여 평원을 마름모꼴에 가깝게 네모지게 성벽이 감싸고 있다. 둘레가 대략 1.2km이고 성벽은 바깥의 돌이 흙 속에 묻힌 채 높이 12m로 확연하게 남아 있다. 해자는 너비 4m, 길이 574m가 남아 있다. 진무루는 무장읍성 남문의 문루이다. <!--[endif]--> 


▲무장읍성

 

▲무장읍성

 

▲무장읍성

 

▲무장읍성

 

▲무장읍성

 

▲무장읍성

 

▲무장읍성

 

▲무장읍성

 

▲무장읍성 진무루

 

▲무장읍성 진무루

 

▲무장읍성 고목

 

▲무장읍성 고목

 

 

 

<2016. 4.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