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종파 조동종 사찰 - 일본 대마도 엔쓰지 고려동종
엔쓰지 종루에는 조그마한 한국범종이 걸려 있다. 한국범종의 특징인 9개의 종유가 달려있다. 종의 높이는 108cm, 용뉴는 쌍용으로 되어있다. 종 하단에는 파도무늬의 팔괘가 보인다. 이 종은 엔쓰지 창건 당시에 조선에서 보낸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종의 정상부에는 하나의 몸체로 이어진 웅혼한 쌍용의 용뉴가 있으며 상대에는 복잡한 장식이 첨가된 연판문대가 주조되었다. 연복사종과 마찬가지로 종신의 중단쯤에 3줄로 융기선을 횡대로 두어 종신을 상하로 구분하였다. 하대 아래 주조된 두 줄의 융기선을 역시 횡대로 붙여 방형의 유곽을 사면에 부조하였고 유곽대에는 당초문을 유곽 안에는 연화좌 위에 연봉우리 형태로 돌기된 종유가 9개씩 배치되었다. 이러한 특징을 통해 이 범종은 우리나라에서 제작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유곽과 유곽 사이에는 연화좌 위에 앉아 있는 유려한 모습의 보살상을 사면에 부조하였다. 그 아래의 횡대 위로는 문양대를 두어 연당초문을 고부조로 시문하였다. 횡대 아래의 하단부에는 하나의 문양대를 두어 조금은 도식적이나 유연한 모습의 단초문을 시문하였다. 그 아래로는 자방과 연판문, 그리고 외연에 연주문의 원권을 두른 당좌를 4곳에 배치하였으며 당좌 사이의 여백면에는 복잡한 선묘로 처리된 사천왕상을 1구씩 사면에 부조하였다. 종구는 연복사종과 같은 8릉형으로 굴곡지게 처리하였더 그 상부에는 팔괘문이 있으며 당좌 아래로 문양대를 두어 파도문을 빽빽이 시문하였다. 연복사종 양식을 그대로 계승한 작품으로 더욱 장식성이 강화되고 당좌가 첨가되는 등 한국 전통형 범종 양식과의 혼합을 보여주어 대체로 조선 초기에 제작된 것으로 생각된다.
▲고려동종
▲고려동종
▲고려동종
▲고려동종
▲고려동종
<2016. 1. 14>
'◈극동문화순례◈ > 일본문화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대종파 조동종 사찰 - 일본 대마도 엔쓰지 보협인탑 (0) | 2016.01.31 |
---|---|
최대종파 조동종 사찰 - 일본 대마도 엔쓰지 통신사 이예 공적비 (0) | 2016.01.30 |
최대종파 조동종 사찰 - 일본 대마도 엔쓰지 (0) | 2016.01.29 |
일본 대마도 미우다 해수욕장 (0) | 2016.01.29 |
동북아 근대 역사의 언덕 - 일본 대마도 러일전쟁 전승기념비 (0) | 2016.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