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의 부여 - 부여 홍산관아 동헌
집홍루를 통과하면 안으로 너른 마당이 나타나고 마당 제일 안쪽에 동헌 건물이 자리하고 있다. 홍산현의 관아 건물로서 수령이 정사를 보던 집무실이다. 흥선대원군이 정권을 잡은 후 관청의 위엄을 세우기 위하여 전국에 걸쳐 관청 건물을 지어 정비하였는데, 그 일환으로 1871년(고종 8) 정기와 군수가 건립하였다. 해방 후 홍산 지서로 사용하다가 1984년 부터 부여군에서 현재의 모습으로 보수하였다. 가운데에 대청마루를 두고 좌우에 각각 크기가 다른 온돌방을 설치하였다. 편액에는 '제금당'이라는 이름이 붙어있고, 제금당 현판 옆으로 '동헌'이라는 현판이 두 개가 붙어 있다. 동헌 건물은 정면 7칸의 'ㅡ자형' 으로 지어진 건물이다. 그 중에서 네 칸을 대청으로 두었고 세 칸을 온돌로 두었으며 지붕은 팔작지붕이다. 모든 관아 건물이 그러하듯이 흥선대원군 집권연간에 전국적으로 한 차례 대대적인 중건이 이루어진다. 현재의 제금당 건물도 1871년 당시 군수였던 정몽화가 새롭게 건립한 건물이다. 일제 강점기를 거치는 동안 허물어진 관아 건물이 많은데 비해 홍산 관아는 그 원형을 잘 유지하고 있다.
▲홍산동헌
▲홍산동헌
▲홍산동헌
▲홍산동헌
▲홍산동헌
▲홍산동헌
▲홍산동헌
▲홍산동헌
▲제금당 편액
▲동헌 편액
<2014. 7. 20>
'◈한국문화순례◈ > 금강문화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시대의 부여 - 부여 홍산관아 만덕교비 (0) | 2014.08.24 |
---|---|
조선시대의 부여 - 부여 홍산관아 형방청 (0) | 2014.08.23 |
조선시대의 부여 - 부여 홍산관아 집홍루 (0) | 2014.08.21 |
고려시대의 부여 - 부여 화성리 오층석탑 (0) | 2014.08.20 |
조선시대의 부여 - 부여 만수산 무량사 매월당 초상화 (0) | 2014.08.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