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의 부여 - 부여 대조사 석조보살입상
고려시대에 유행한 거대한 석조불상 하나로 미래세계에 나타나 중생을 구제한다는 미륵보살을 형상화한 것이며 높이가 10m에 이르는 거대한 불상이다. 전체적으로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과 쌍벽을 이루는 작품이며 동일한 지방양식을 보여주는 보살상으로 높이 평가되고 있다. 머리 위에는 높은 원통형의 관 위에 네모난 보개가 2중으로 얹혀 있으며 보개의 네 모서리에는 작은 풍경이 달려있다. 관 밑으로는 머리카락이 짧게 내려져 있는데 이와 같은 머리모양은 관촉사 석조미륵보살도 마찬가지이다. 얼굴은 4각형으로 넓적하며, 양쪽 귀와 눈은 크나 코와 입이 작아서 다소 기이한 느낌을 주기도 하지만 관촉사 보살보다는 덜하다. 눈은 수평적이고 양쪽 귀는 어깨까지 내려와 있으며 이마에는 백호가 있다.
불신은 굴곡이 전혀 표현되지 않은 직4각형의 석주 형태를 하고 있어 원래 돌의 윤곽이 그대로 남아 있는 것으로 생각될 정도이다. 법의는 통견에 가깝고 양어깨를 감싼 옷은 두껍고 무거워 보이는데 매우 투박한 모습이다. 오른쪽 어깨부분을 둥글게 덮고 있는 옷자락선이 보이며 앞가슴이 벌어져서 속에 있는 띠매듭이 보인다. 옷주름선은 양팔에 걸친 긴 소맷자락에만 보이는데 매우 도식적인 평행선으로 처리되어 있다. 팔의 윤곽은 몸통에 붙여 옷자락으로 겨우 표현되었고, 손도 간신히 나타냈는데 오른손은 가슴에 대고 왼손은 배에 대어 연꽃가지를 잡고 있는데 괴체화된 몸에 비해 작고 평면적으로 조각되어 있다. 가슴에는 화려한 목걸이를 하고 있다. 그러나 신라불상에 비하여 양감이 줄어들고 가슴의 목걸이나 승각기, 띠매듭 등의 표현에서 섬세함이 떨어지고 도식화된 점이 보이며 전체적으로 모서리를 죽인 직육면체의 형태를 띠고 있어 관촉사의 보살상에 비해 입체적인 효과가 훨씬 감소되어 있다. 조성연대는 논산 은진미륵보다 시대적으로 약간 뒤떨어지는 고려초기의 작품으로 보인다. 논산 은진미륵은 3조각의 돌로 조성되어 있으나 대조사미륵불은 보관을 제외하고 하나의 통돌로 조성되어 있어 크기에서는 관촉사은진미륵보다 조금 작은 편이다.
사실 이 석불상은 연꽃을 쥐고 있는 두 손 모양으로 미루어 미륵상이 아니라 관음보살상이라고 불러야 할 것이다. ‘황금새가 이곳 바위에 앉았고, 곧이어 빛과 함께 관음보살상이 나타났다’는 창건 설화도 이를 뒷받침한다. 하지만 언젠가부터 이곳 사람들은 미륵불상이라고 불렀고, 문화재청도 석조미륵보살입상으로 표기했다. 아마도 미륵불이 내려와 이 고단하고 힘든 사바세계를 구제해 주기를 바라는 염원으로 미륵불로 불렀던 것이 아닐까? 신라가 멸망하고 고려가 후삼국을 통일할 때 민간에 크게 영향을 미쳤던 미륵불 신앙을 대표하는 불상으로 세련되고 정밀한 조각수법을 자랑하는 통일신라의 석불과는 달리 투박하면서도 힘이 넘치는 토속적인 불상의 모습을 잘 보여주는 불상이다. 그러나 양손에 연꽃줄기를 들고 있는 것을 보아서 관음보살로 보아야 하는 것이 더욱 타당할 듯하다.
고려초기에는 지방 세력의 힘을 자랑하는 토후들이 자기의 세를 과시하기 위하여 많은 석불들을 자비로 조성하는데 이 불상도 그런 범류에 속하는 것으로 보인다. 보살상 앞에는 공양을 드리기 위하여 판석으로 배례대를 마련해 놓았다. 미륵석불의 앞 오른쪽 바위면에는 '제석'과 '천룡'의 신위를 선각으로 새겨놓았다. 다른 곳에서는 볼 수 없는 특이한 것으로 이곳이 민간신앙의 기도처였음을 알 수 있게 해준다. 미륵석불 위로 커다란 용비늘 소나무 한 그루가 마치 우산을 씌워주듯 서 있다. 이 소나무는 높이 15m에 수령이 350년이나 된 고목으로 바위틈에 뿌리를 내려, 꿈틀꿈틀 용틀임하듯이 몸을 비틀며 억센 모습으로 서 있다. 부여군에서는 보호수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미륵석불 앞에 세운 용화보전에는 따로 불상을 모시지 않았다. 미륵석불을 바라보는 벽에 유리창을 내었는데, 그 유리창을 통해 미륵석불의 얼굴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석조보살입상
▲석조보살입상
▲석조보살입상
▲석조보살입상
▲석조보살입상
▲석조보살입상
▲석조보살입상
▲석조보살입상
▲석조보살입상
▲석조보살입상
▲석조보살입상
▲석조보살입상
▲석조보살입상
▲석조보살입상
▲석조보살입상
▲석조보살입상
▲석조보살입상
▲석조보살입상
▲석조보살입상
▲석조보살입상
▲석조보살입상
▲석조보살입상
▲석조보살입상
▲석조보살입상
▲석조보살입상
▲석조보살입상
<2014. 7. 20>
'◈한국문화순례◈ > 금강문화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려시대의 부여 - 부여 만수산 무량사 (0) | 2014.08.16 |
---|---|
고려시대의 부여 - 부여 대조사 불유정 (0) | 2014.08.15 |
고려시대의 부여 - 부여 대조사 삼층석탑 (0) | 2014.08.13 |
고려시대의 부여 - 부여 장하리 삼층석탑 (0) | 2014.08.12 |
백제시대의 부여 - 부여 군수리 절터 (0) | 2014.08.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