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순례◈/한양문화권

서울 한양도성 이간수문

蔥叟 2014. 3. 12. 03:06

서울 한양도성 이간수문

 

   이간수문(二間水門)은 조선초 서울 남산 기슭에서 청계천 본류 쪽으로 흐르는 지천인 남소문동천 위에 세워졌다가 20세기 초 철거된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시대 한양의 물길 통로인 이간수문의 석축 높이는 4m 남짓이며, 수문의 한칸의 너비는 3.3m 정도다. 이간수문과 함께 흥인지문에서 광희문까지 연결되는 265m 구간의 서울성곽도 있다. 도성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물을 빼기 위한 홍예 구조의 이간수문과 서울성곽에서 최초로 확인된 방어시설인 치성(雉城) 1개소가 포함됐다. 태조 세종 숙종 영조에 이르기까지 각기 다른 시기에 지어진 성곽이 섞여 있어 조선 전기부터 후기 시대적 상황과 역사성을 한눈에 볼 수 있게 된다.

 

▲이간수문

 

▲이간수문

 

▲이간수문

 

▲이간수문

 

▲이간수문

 

▲이간수문

 

▲이간수문

 

▲이간수문

 

▲이간수문

 

▲한양도성 성벽

 

 

 

<2014. 2.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