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투루판 분지
투르판(吐魯番) 분지는 지구상에서 두 번째로 고도가 낮은 곳이다. 표고 -30m로 해수면 아래다. 세계에서 제일 낮은 곳은 이스라엘의 사해(死海, 鹽海, The Dead Sea)다. 표고 -380m다. 투르판(吐魯番)의 한여름 낮 기온은 섭씨 40도에 육박한다. 7월의 평균 최고 기온이 섭씨 39도다. 평균 최저 기온은 섭씨 25도다. 사막 지대가 겨울에는 춥다. 1월 평균 최고기온이 섭씨 영하 4도며, 평균 최저기온은 섭씨 영하 16도다. 최근에 투르판의 최고기온 기록은 섭씨 55도다. 최저기온 기록은 섭씨 영하 38도다.
이곳은 연간 강수량이 22 mm 정도에 불과하다. 그러나 여기서 농사를 하고, 가축도 기른다. 일조량이 좋아서 과일맛이 일품이다. 포도와 하미과는 높은 당도로 명성이 높다. 사막지대지만 농경이 가능한 것은 조상을 잘 둔 까닭이다. 이 지역에서 살았던 선조들의 수고와 노력으로 2천 년 전부터 지하수로(칸얼징, Kanrjing, 坎兒井)가 개발이 되었고, 사막에서 물 공급이 가능했다. 지하수로 칸얼징은 지하를 수작업으로 굴착하여 물길 터널을 만들고, 거미줄같이 엮어놓은 물 공급 시스템이다.
여름 한낮의 불볕더위를 피하여 현지주민이 오침을 한다. 그 시간에 여행객도 쉬게 된다. 석양 무렵부터 다시 주민활동이 활발해진다. 투르판같은 사막 기후 조건에서도 사람들이 잘 견디며 산다. 투르판 현의 2003년 현재 인구는 57만이다. 민족 구성을 보면, 위그르(Uyghur) 족이 70%, 한족이 23%, 회족(回族, Hui)이 6.4%다.
5만㎢에 달하는 이 분지는 단층 지구(地溝)이며, 이 분지 뿐만 아니라 중국 전체에서 가장 낮은 지대인 아이딩 호[艾丁湖]는 해수면보다 154m 아래에 있다. 이에 비해 분지 주변지역인 타림 강[塔里木河]과 로프노르 호[羅市泊]의 고도는 해발 600~900m이다. 이 분지는 북쪽으로 봉우리의 높이가 5,445m에 이르는 보거둬 산맥[博格多山脈]과 남쪽으로는 그보다 약간 낮은 쿠루커타거 산맥[庫魯克塔格山脈] 북부지역과의 사이에 있다. 이 분지에 있는 또다른 단층인 줴러타거 산[覺羅塔格山]이 분지를 2부분으로 나눈다. 북쪽 지역은 보거둬 산맥의 남쪽 사면을 따라 놓여 있는 산의 기슭에 하나의 지대를 형성한다. 이 지역은 높이가 해발 150m 정도이며, 가파른 협곡 같은 계곡을 지나 더 낮은 남쪽 분지로 물을 흘려보낸다. 이 더 낮은 분지는 한때 호수가 있던 곳으로, 염수늪이 있는 남쪽으로 경사져 있다. 이 지역은 여름에는 완전히 마르는데, 늪에는 옛날 호수의 흔적이 그대로 남아 있다.
분지 전체가 관개가 가능하다. 북쪽에서는 지표수를 이용하며, 남쪽에서는 터널을 이용해 더 높은 지역에서 지하수를 끌어오는 페르시아 공법으로 관개할 수 있다. 1964년 이후에는 운하를 파 톈산 산맥[天山山脈]에서 녹아내리는 눈을 오아시스로 끌어오고 있다. 이 지역은 기후편차가 매우 심하다. 연평균 기온이 1월에는 -10℃이나 7월에는 32℃나 된다. 일교차도 극심해서, 여름에는 그늘의 기온이 보통 54℃에 이른다. 투루판에서 가장 더운 지역은 분지 중앙의 플레밍 산맥으로 땅 표면 온도가 81℃까지 올라가기도 한다. 연간 강우량은 16~30㎜밖에 되지 않는다. 가뭄과 모래섞인 바람은 주민들이 거주하는 데 주요한 문제로 되고 있다. 이 분지에서는 집약농경이 이루어지며, 특히 과일, 그중에서도 하미[哈密]의 멜론과 포도가 유명하다. 수박·사과·복숭아·살구·견과류와 밀을 비롯한 곡물과 목화도 생산된다. 양잠업도 이루어진다.
주민은 거의 전부가 이슬람교도로 위구르족이며, 1949년 공산당이 정권을 잡은 후 다른 지역보다 늦게 결성되었다. 분지의 북쪽 고지에는 간쑤[甘肅] 회랑지대로 알려진 교역로에서 뻗어나온 오래된 자연 통로가 있다. 하나는 북서쪽으로 놓여져 있어 포뤄커누 산맥[婆羅科努山脈]과 보거둬 산맥 사이의 우루무치[烏魯木齊]에서 협곡을 지나 북쪽의 준가얼[準噶爾] 지역으로 들어간다. 다른 한 통로는 투루판 분지의 서쪽 끝과 아하이촨 산구를 지나 남쪽으로 옌치[焉耆]와 타림 분지 북쪽 자락에 이른다. 이 지역에는 고대 도시의 유적이 여러 곳에 남아 있다. 오늘날 주민들의 생활 중심지는 분지 북쪽에 있는 투루판과 서쪽 끝의 퉈커쑨[托克遜]이다.
▲투루판 분지
▲투루판 분지
▲투루판 분지
▲투루판 분지
▲투루판 분지
▲투루판 분지
▲투루판 분지 석유시추
▲투루판 분지 석유시추
▲투루판 분지 석유시추
▲투루판 분지
▲투루판 분지
▲투루판 분지
▲투루판 분지
▲투루판 분지
▲투루판 분지를 달리는 도로
<2012. 8. 8>
'◈실크로드문화순례◈ > 천산남로문화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투루판 고창고성 가는 길 (0) | 2012.11.08 |
---|---|
오아시스 도시 - 중국 투루판(吐魯番, Tǔrfān) (0) | 2012.11.08 |
중국 선선 쿠무타크 사막(库木塔格, Kùmùtǎgē) (0) | 2012.11.07 |
누란(樓蘭)의 꿈 - 중국 선선(鄯善, Shànshàn) (0) | 2012.11.07 |
오아시스 도시 - 중국 선선역 (0) | 2012.1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