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괴산 충민사

蔥叟 2013. 3. 3. 00:01

괴산 충민사

 

   임진왜란 당시 3대첩(三大捷) 중 하나인 진주싸움을 승리로 이끈 김시민 장군과 그의 숙부이자 충숙공 김제갑(1525∼1592)의 위패를 모신 사당이다. 외삼문, 내삼문, 사당으로 되어 있다. 외삼문은 평삼문이고 내삼문은 솟을삼문이며, 사당은 앞면 3칸, 옆면 2칸의 팔작지붕집이다. 김시민 장군의 본관은 안동. 자는 면오(勉吾). 아버지는 지평 충갑(忠甲)이다. 1578년(선조 11) 무과에 급제하여 군기시(軍器寺)에 들어갔다. 1583년 귀화한 여진인 니탕개(尼湯介)가 회령(會寧)지방에서 난을 일으키자 정언신(鄭彦信)의 부장으로 출정하여 공을 세웠다. 1591년 진주판관에 임명되었고, 이듬해 임진왜란이 일어난 뒤 목사 이경(李璥)이 병사하자 그 직을 대리하면서, 민심을 안정시키고 성을 수축하고 무기와 기재를 정비하는 한편, 군사를 편성하였다.

 

   이때 일본군이 사천(泗川)에 집결하여 진주로 향하려 하자, 곤양군수 이광악(李光岳), 의병장 이달(李達)·곽재우(郭再祐) 등과 합세하여 적을 격파하고 고성·창원 등을 회복했다. 이어 의병장 김면(金沔)과 함께 거창 사랑암(沙郞巖)에서 일본군을 크게 무찔렀다. 그뒤 여러 차례 전공을 세워 이해 8월 진주목사로 승진되었다. 9월에는 진해에서 적을 물리치고 적장을 사로잡아 행재소(行在所)로 보냈다. 이해 10월 적 2만여 명이 진주성을 포위하자, 성 안의 노약자와 부녀자까지 남장을 하게 하여 군사의 위용을 보이게 하는 등, 불과 3,800여 명의 병력으로 7일간의 치열한 공방전을 벌여 적을 물리쳤으나 이 싸움에서 이마에 적탄을 맞고 며칠 뒤 죽었다. 1604년 선무공신(宣武功臣) 2등에 추록되고, 그뒤 영의정에 추증되고 상락부원군(上洛府院君)에 추봉되었다. 진주의 충민사(忠愍祠)·산성정충당(山城旌忠堂)에 제향되었다. 시호는 충무(忠武)이다.

 

▲충민사 정경

 

▲충민사 정경

 

▲효충문(效忠門)

 

▲보무문(寶武門)

  

▲충민사

 

▲충민사

 

▲충민사

 

▲김시민 장군 영정

 

▲묘소

 

▲봉분

 

▲석인상

 

▲석인상

 

▲석인상

 

▲석인상

 

 

 

<2013. 2.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