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순례◈/영동태백문화권

평창 오대산 월정사 팔각구층석탑

蔥叟 2011. 7. 16. 05:41

평창 오대산 월정사 팔각구층석탑

 

   월정사의 본당 적광전의 앞뜰 중앙으로 가면 연꽃무늬로 치장한 이층 기단과 균등하고 우아한 조형미를 갖춘 탑신, 그리고 금동장식으로 아름답게 꾸민 상륜부가 조화를 이룬 뛰어난 팔각구층석탑이 서있다. 평면이 팔각형이며 탑의 층수도 구층에 이르는 늘씬한 자태를 이루어 고려시대의 석탑양식을 따른 것으로 보고 있다. 이 탑 전체가 화강암으로 되어 있고 상륜부에 일부 금동장식을 더하였는데, 위로는 굄돌을 놓아 위층 기단을 정성스레 받들어 기단 전체가 마치 부처님의 연꽃 대좌처럼 장식 되었다. 몸돌 모서리마다 귀기둥이 새겨지고 끝은 밑면이 수평으로 위는 곡면 처리하여 추녀 끝이 살짝 위로 솟아 가뜬해 보인다. 추녀 끝마다 달린 풍탁이 바람의 향기에 산들거린다. 상륜부는 정연하여 흐트러짐 없어 보이며, 금동장식을 더하여 장엄한 분위기를 자아내 보는 이로 하여금 위압감을 느끼게 한다. 
   

▲팔각구층석탑

 

▲팔각구층석탑

 

   팔각구층석탑은 높이 15.2m로 우리나라의 팔각석탑으로는 가장 큰 팔각구층석탑은 고려시대의 가장 대표적인 석탑으로 국보 48호로 지정되어 있어 월정사의 자랑이다. 6·25전쟁 때 일어난 화재로 이 절의 건물과 함께 심하게 손상되었으나 현재 일부가 보수되었으며, 특히 상륜부가 완전한 형태로 남아 있다. 팔각형의 2층 기단 위에 9층의 탑신과 상륜부가 올려진 특이한 형식의 석탑이다. 기단부는 낮은 편으로 지대석 위에 놓여 있는데, 하층기단의 각 면에는 안상(眼象)이 2개씩 조각되었으며 그 위를 덮고 있는 갑석 윗면에는 복련(覆蓮)의 연꽃무늬가 조각되어 있다. 하층기단과 상층기단 사이에는 상층기단의 중석을 받치는 별석(別石)이 끼워져 있다. 상층기단의 각 면에는 우주(隅柱)가 새겨져 있고 그 위로 갑석과 탑신을 받치는 별개의 8각 받침돌이 차례로 얹혀 있다.

  

▲팔각구층석탑

  

▲팔각구층석탑

 

   탑신부는 옥개석과 옥신석의 크기에 따라 1개 또는 2, 3개의 돌로 구성되었으며, 각 층의 옥신에는 우주를 새겼는데 특히 1층 옥신에는 4면에 장방형의 감실(龕室)이 표현되어 있다. 옥개석은 전반적으로 수평을 이루고 있고, 밑에는 각형과 반원형의 받침돌이 있는 것이 특이하며 처마 끝에는 풍령(風鈴)이 달려 있다. 상륜부는 완전한 형태로 남아 있는데, 노반(露盤)·복발(覆鉢)·앙화(仰花)·보륜(寶輪)은 석재로 만들어진 반면에 보개(寶蓋)·수연(水煙)·용차(龍車)·보주(寶珠) 등은 금속제로 되어 있다. 이 석탑은 전체적으로 체감비율이 서서히 줄어들면서 2층 탑신부터는 거의 같은 폭으로 되어 안정감을 주며, 기단이나 탑신이 팔각형이고 여러 층으로 이루어진 점 등에서 고려시대에 유행한 다각다층(多角多層) 석탑의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1970년 해체·보수할 때 1층 옥신석에서는 동경·경문(經文)·향목 등의 사리장치가 나왔으며, 5층 옥개석에서는 은도금 불입상 1구가 발견되었다.

 

▲팔각구층석탑

 

▲상륜부

   

   통일신라시대를 지나 고려가 건국되면 탑파 양식에서 삼국시대의 특징이 되살아난다. 옛 고구려 지배 지역에서는 고구려 양식의 탑이 나타났다. 옛 백제 지역에서는 백제 특유의 탑이 부활했다. 오대산 월정사의 팔각구층석탑은 고구려의 탑파양식을 이어받은 고려시대의 탑이다. 그래서 팔각구층석탑은 지금까지 고려시대 서기 10세기경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했다. 하지만 탑 아래에서 12세기 중국 동전이 발견되면서 이보다 200여년 늦은 12세기 이후에 세워진 것으로 보인다.

 

▲풍탁

  

▲1층탑신부

 

    12세기 동전은 송나라 휘종 때인 1102년부터 1106년 사이에 주조해 사용했던 숭녕중보(崇寧重寶) 이다. 이 동전이 탑의 옛 지표면보다 아래에서 나왔다는 사실은 탑이 12세기 이후에 조성됐음을 뜻한다. 월정사탑 발굴 결과 층위 교란이 없어 탑이 동전보다 후대일 것으로 보인다. 12세기 전반에 청자와 기와 조각 등으로 터를 다지고 일부 건물을 지었으며 12세기 중반 경에 탑을 세우고 나서 조선 중기 이후에 다시 탑 주변에 흙을 다진 것으로 보인다. 조선 세종의 형인 양녕과 효령대군의 이름이 새겨진 기와도 출토됐다. 세조 때 월정사를 중창했다는 사실은 이미 확인됐지만 세종 때 양녕과 효령대군이 월정사 중창에 참여했다는 사실도 밝혀진 셈이다.

 

▲기단부

 

 

 

<2011. 7.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