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관음전
관음전은 통도사의 중로전에 있는 3개의 법당 중 하나로 가장 앞쪽에서 남향하고 있으며 그 뒤로 용화전과 대적광전이 있다. 조선 영조 원년(1749) 용암대사가 지었고 그 뒤 여러 번 보수를 해서 오늘에 이르고 있다. 앞면 3칸·옆면 3칸의 규모로 지붕은 옆모습이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한 공포는 기둥과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양식이다. 내부는 관세음보살상을 모셨으며 벽에는 석가모니의 일생을 그린 벽화가 있다. 또한 따로 기둥을 세우지 않아 공간을 넓게 꾸몄다. 전체적으로 조선 후기의 건축양식을 잘 갖추고 있는 문화재이다.
관음전 앞에는 사각석등이 놓여 있다. 등불을 밝혀두는 화사석(火舍石)을 중심으로 아래에는 8각의 받침돌을 3단으로 쌓고 위로는 지붕돌과 머리장식을 얹었다. 아래받침돌의 옆면에는 안상(眼象)을 얕게 새겼고 윗면에는 엎어놓은 연꽃무늬를 조각했다. 가운데기둥은 중앙에 3줄의 테를 둘렀다. 윗받침돌에는 위로 솟은 연꽃무늬를 장식하였다. 4각의 화사석은 각 면에 네모난 창을 크게 뚫어 불빛이 퍼져나오돌고 하였다. 지붕돌은 귀퉁이마다 꽃장식을 달았다. 꼭대기에는 노반(露盤:머리장식받침)과 보주(寶珠:꽃봉오리 모양의 장식)가 놓여 머리장식을 하고있다. 통일신라의 석등양식을 따르고 있으나 꽃장식이 세밀하지 못한 점으로 보아 고려시대의 작품으로 짐작된다.
▲관음전
▲사각석등
▲사각석등
▲사각석등 화사석
▲사각석등 간주석
▲사각석등 하대석
<2010. 5. 1>
'◈한국문화순례◈ > 낙남문화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개산조당ㆍ해장보각 (0) | 2010.06.07 |
---|---|
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봉발대 (0) | 2010.06.07 |
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용화전 (0) | 2010.06.06 |
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대광명전 (0) | 2010.06.06 |
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불이문 (0) | 2010.06.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