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천군동 출토 '乾寧二年'銘 묘지석
<국립경주박물관>
묘지석(墓誌石)은 방형(方形)의 소석판(小石版)이나 도판(陶版)등에 피장자의 성명, 직함, 가족세계, 생사행적 등을 써서 무덤 가운데 남기는 기록물이다. 묘지석(墓誌石)은 중국 동한(東漢)시기에 기원하여 위진시대 이후 성행하였는데, 이러한 풍습이 한국에도 유입된 것이라 하겠다. 한국에서 묘지석이 흔하게 발견되기는 고려시대에 들어서면서 부터이다. 고려시대에는 오석(烏石), 혹은 점판암계의 장방형(長方形)석판을 물갈이해서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조선시대가 되면, 오석이나 점판암과 함께 자기로 된 도판이 많이 쓰이게 되었다. 특히 흰색 바탕에 청색으로 글씨를 쓴 청화백자(靑畵白磁)계 묘지석이 많이 쓰인다. 고려시대의 묘지석이 중국 묘지석의 체제를 그대로 따랐다고 하다면, 조선시대의 묘지석은 재료, 형태, 내용 등에서 고려시대의 것보다 훨씬 자유롭다. 소판형의 기본틀에서 조선시대의 묘지석은 묘비모양, 단지모양, 원통형, 표주형(標柱形) 등 다양하다.
乾寧二年乙卯年
前城山令裵零崇
건녕2년(895) 을묘년에 (죽은) 전 성산현령 배영숭
▲묘지(통일신라 895년)
<2009. 1. 24>
'◈한국문화순례◈ > 서라벌문화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주 흥륜사터 출토 연화문수막새 (0) | 2009.02.15 |
---|---|
경주 월지 출토 명활산성작성비 (0) | 2009.02.14 |
경주 전민애왕릉 출토 '元和十年'銘 뼈항아리 (0) | 2009.02.13 |
경주 월성 출토 '在城'銘 수막새 (0) | 2009.02.13 |
경주 남산 천관사터 출토 팔부신중상 (0) | 2009.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