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서변동 출토 빗살무늬토기(櫛文土器)
<국립대구박물관>
남부지방의 빗살무늬토기는 그릇의 형태와 무늬의 구성면에서는 중서부지방의 것과 비슷한 점이 많으나 중서부지방에 비하여 무늬의 선이 굵으며 빗금무늬(短斜線文)보다는 구획된 선안에 빗금을 채워 넣은 집선문(集線文)이 주류를 이룬다.
무늬구성에 있어서의 시기적 변천도 중서부지방과 유사하나 초기에는 아가리부분에만 무늬가 베풀어지다가 차츰 아가리, 몸통, 바닥 등에 서로 다른 무늬가 베풀어지며 중기에는 아가리에 세모사다리꼴, 마름모꼴, 사다리꼴 등의 집선문이 나타나고 후기에는 몸통 아래의 무늬가 생략되면서 아가리에만 빗금무늬, 집선문, 문살무늬(格子文) 등이 베풀어진다. 말기에는 무늬의 퇴화가 뚜렷해져 아가리에 1, 2줄의 빗점줄무늬(斜點列文)만이 남아 있으며 겹아가리토기(二重口緣)도 나타난다.
한편 일본 죠몽토기 조각도 간혹 출토되고 있어 당시에 일본과 문화교류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빗살무늬토기유적은 대부분 바닷가나 큰 강가에 분포하고 있으나 최근 김천, 청도 등 내륙지방에서도 발견되고 있다.
*빗살무늬토기1-1
*빗살무늬토기1-2
*빗살무늬토기2-1
*빗살무늬토기2-2
<2007. 1. 5>
'◈한국문화순례◈ > 달구벌문화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산 임당동 출토 그릇받침(筒形器臺)과 항아리(短頸壺) (0) | 2007.01.10 |
---|---|
달성 현풍 출토 그릇받침(筒形器臺) (0) | 2007.01.10 |
칠곡 정도사터(淨兜寺址) 오층석탑 (0) | 2007.01.06 |
대구 팔공산 동화사 염불암 (0) | 2006.12.01 |
대구 팔공산 동화사 부도암 (0) | 2006.1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