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산 신흥사 사천왕도 양산 신흥사 사천왕도 대광전 서벽 하단에 그려진 벽화로 향우측에서부터 북방다문천왕(北方多聞天王)ㆍ동방지국천왕(東方持國天王)ㆍ남방증장천왕(南方增長天王)ㆍ서방광목천왕(西方廣目天王)이 배치되어 있다. 이들은 신체가 장대하고 갑옷을 입은 무장의 모습으로 북방다문천왕은 ..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13.05.05
양산 신흥사 아미타삼존도 양산 신흥사 아미타삼존도 서면의 벽화는 벽의 가로 부재인 중방과 상방이 있으나 이를 무시하고 상하 거의 삼등분(三等分)으로 구분한 화면에 그려져 있다. 제일 윗부분에는 앉은 자세의 아미타삼존도(阿彌陀三尊圖), 중간 부분에는 6구(軀)의 보살도(菩薩圖)를, 중방 아래인 제일 밑 부..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13.05.04
양산 신흥사 약사삼존도 양산 신흥사 약사삼존도 신흥사 대광전의 벽화는 건물 내·외벽과 포벽, 건물 내부의 대량과 고주에 그려진 벽화 등을 포함하여 50여 점에 이른다. 내부의 벽화는 동·서면(건물을 향하여 우와 좌측)의 벽체와 남·북면의 포벽과 내목도리 윗벽 그리고 후불벽 뒷면 등 빈 공간 없이 부처의..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13.05.04
양산 용화사 석조여래좌상 양산 용화사 석조여래좌상 용화사 석조여래좌상은 통일신라시대 말기의 석불이다. 불상높이 125cm, 대좌 높이 95cm, 광배 높이 150cm이다. 원래 김해 감로리 절터에 있던 것을 낙동강변으로 옮겨온 뒤 1947년 2월에 법당을 중창하고 그 안에 봉안했다고 전해지는데 원 소재지는 정확하지 않다. ..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13.05.03
양산 용화사 지장보살비 양산 용화사 지장보살비 나모디원본존디장보살 南無大願本尊地藏菩薩 용도가 무엇인지는 알 수 없으나 앞면에 '나모디원본존디장보살(南無大願本尊地藏菩薩)'이라는 글씨가 한글과 한문으로 나란히 세로로 새겨져 있다. 한문보다 고어로 씌여있는 한글에 더 눈길이 가는 비이다. ▲지..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13.05.02
양산 효충사 양산 효충사 신라시대 만고 충신 박제상의 생가터로 전해지는 곳에 세운 사당으로 사당 안에는 박제상공과 그의 아들 백결선생의 초상화가 모셔져 있다. 사당 앞에는 박제상의 업적을 적은 효충비가 세워져 있다. 박제상의 호는 관설당(觀雪堂)이며 신라 시조 박혁거세의 후손으로 눌지..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13.05.02
양산 신기리 고분군 양산 신기리 고분군 북정리 고분군과 얕은 계곡 하나를 사이에 두고 남쪽에 있는 무덤들이다. 높은 지역에는 늦은 시기에 만들어진 무덤들이 모여있어 북정리 무덤들과 같은 분포상태를 보여준다. 1990년에 모두 30여기의 무덤을 발굴 조사하였는데, 1호분만이 대형 무덤에 속하고 나머지..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13.05.01
양산 북정리 고분군 양산 북정리 고분군 오봉산 중심이 되는 산등성이 일대에 있는 무덤들이다. 대형무덤은 산의 윗 부분에 퍼져있고, 소형무덤은 비탈진 곳이나 산의 아래쪽에 자리잡고 있다. 또한 시기적인 차이에 따라 무덤의 위치가 달라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무덤들 가운데 부부총과 금조총..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13.05.01
양산 금조총 금목걸이 양산 금조총 금목걸이<양산유물전시관> 金製頸飾 古新羅 6세기 동아대학교 박물관 소장 ▲금목걸이 ▲금목걸이(부분) <2013. 4. 21>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13.04.30
양산 금조총 금팔찌 양산 금조총 금팔찌<양산유물전시관> 金製釧 古新羅 6세기 동아대학교 박물관 소장 ▲금팔찌 <2013. 4. 21>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13.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