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애정, 신의 축복 - 카주라호 바라하 사원 인간의 애정, 신의 축복 - 카주라호 바라하 사원 VARAHA TEMPLE 드디어 카주라호 사원군에 도착하였다. 우리는 먼저 서군사원부터 돌아보기로 하였다. 설레는 마음으로 들어가니 처음으로 우리를 맞아주는 사원은 바라하사원이었다. 바라하사원은 단칸으로 이루어진 작은 사원이었다. 사원 .. ◈인도아대륙문화순례◈/인도문화권 2015.05.17
인도전통복식을 보다 - 카주라호 클락스 호텔 인도전통인형 인도전통복식을 보다 - 카주라호 클락스 호텔 인도전통인형 클락스 호텔의 로비에는 인도 전통복장을 한 남녀 인형 한쌍인 서 있다. 남녀 모두 긴 치마를 걸치고 남자는 머리에 관을 여자는 우리의 족두리를 닮은 장식을 하고 손에는 꽃을 들고 있다. ▲인도전통인형 ▲남성인형 ▲여성인.. ◈인도아대륙문화순례◈/인도문화권 2015.05.16
미투나상의 서막을 보다 - 카주라호 클락스 호텔의 미투나상 미투나상의 서막을 보다 - 카주라호 클락스 호텔의 미투나상 호텔 마당에 미투나상 한 기가 보인다. 오늘 카주라호 사원에서 실컷 보게될 것이지만 호텔에서 예고편을 본 듯하다. 미투나상은 남녀교합상을 말하는데 이 미투나상은 단독상이다. 몸에는 거의 옷을 입지않고 장신구만 두르.. ◈인도아대륙문화순례◈/인도문화권 2015.05.16
이슬 맺힌 꽃을 담다 - 카주라호 클락스 호텔의 꽃들 이슬 맺힌 꽃을 담다 - 카주라호 클락스 호텔의 꽃들 자는둥 마는둥 자리에서 일어난 일행은 아침식사를 하고 떠날 채비를 하였다. 카주라호 사원으로 떠나기 전 아직 버스가 대기하는 동안 호텔 여기저기를 둘러보았다. 맨 먼저 정원의 꽃들이었다. 아직 아침 이슬을 머금고 있는 꽃들이 .. ◈인도아대륙문화순례◈/인도문화권 2015.05.16
파키스탄 스와트 관음보살 파키스탄 스와트 관음보살 Avalokiteshvara Swat 7-8세기 하반신은 긴 도티dhoti를 두르고, 왼쪽 어깨에는 영양의 가죽을 걸치고 있다. 눈과 백호白毫는 은으로, 입술은 동으로 상감하여 표현했는데, 이러한 특징은 이후 카슈미르 불상에서도 발견된다. ▲관음보살 <2015. 1. 11> ◈인도아대륙문화순례◈/파키스탄문화권 2015.05.14
중국 티벳 문수보살 중국 티벳 문수보살 Manjushri 서티벳 14세기 밀교에서 문수보살은 완전한 깨달음을 얻은 지혜의 보살로 인식되며, 다양한 존재로 모습을 바꾸어 세상에 나타난다. 그 중 하나가 이 작품에 형상화된 아라빠짜나Arapachana이다. 이 명칭의 5음절은 불교의 5가지 기본 가르침에 해당하는 용어에서 .. ◈인도아대륙문화순례◈/히말라야문화권 2015.05.14
중국 티벳 부처 중국 티벳 부처 티벳 15세기 항마촉지인을 취한 모습으로, 우견편단으로 얇게 표현된 법의는 신체에 밀착되어 불신의 굴곡을 잘 보여주고 있다. 법의의 끝단은 구슬띠로 장식하였고, 왼쪽 어깨에 잡히는 주름을 형식화하여 표현하였다. 15세기 티벳의 전형적인 양식을 보여주는 예로, 균형.. ◈인도아대륙문화순례◈/히말라야문화권 2015.05.14
중국 티벳 마하싯다 비루파 중국 티벳 마하싯다 비루파 Mahasiddha Virupa 티벳 16세기 마하싯다는 특별한 재능이나 위력을 지닌 위대한 종교적 스승을 가리키는 말로, 이 상은 80명의 마하싯다를 열거하는 전통에서 비롯되었다. 비루파는 9세기 인도에 살았던 인물로 80 마하싯다 중 신통력이 가장 뛰어났던 인물이라 알려.. ◈인도아대륙문화순례◈/히말라야문화권 2015.05.14
중국 티벳 비로자나불 중국 티벳 비로자나불 서티벳 13세기 2007년 구입 비로자나불은 우주에 편재하는 법신을 상징하는 부처이다. 밀교에서는 아촉불, 아미타불과 함께 가장 중요한 부처로 인식되었으며, 보관을 쓰고 여러가지 색의 옷과 영락으로 장식한 보살의 모습으로 표현된다. 이 상은 같은 유형의 예 중.. ◈인도아대륙문화순례◈/히말라야문화권 2015.05.13
네팔 관음보살 네팔 관음보살 14세기 2008년 구입 네팔의 금동상은 동의 함량이 높아 청동 부분이 어두운 붉은 빛을 띠며, 표면에 금을 두껍게 입힌 것이 특징이다. 후대의 예에서는 이 작품처럼 준보석을 상감하여 장식하는 경우가 많다. 이 지역 불상의 특징인 넓은 얼굴과 매부리코를 지녔다. ▲관음보.. ◈인도아대륙문화순례◈/히말라야문화권 2015.0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