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함양 단의용(短衣俑) 중국 함양 단의용(短衣俑) <함양박물관> ▲단의용(短衣俑) 짧은 옷 입은 토용 西汉(BC206~AD25년) 杨家湾汉墓出土 <2009. 8. 6> ◈실크로드문화순례◈/서안문화권 2009.09.26
중국 함양 포복장군용(袍服將军俑) 중국 함양 포복장군용(袍服將军俑) <함양박물관> ▲포복장군용(袍服將军俑) 두루마리 입은 장군토용 西汉(BC206~AD25년) 杨家湾汉墓出土 <2009. 8. 6> ◈실크로드문화순례◈/서안문화권 2009.09.26
중국 함양 양가만한묘 병마용(兵马俑) 중국 함양 양가만한묘 병마용(兵马俑) <함양박물관> 함양박물관은 함양시(咸阳市) 중심가인 중산가(中山街)의 옛 공자문묘(孔子文廟)에 자리잡고 있다. 서안에서 28km 떨어진 함양시에 위치한 함양시박물관은 과거 명나라 때 공자문묘가 있던 자리에 위치해 있다. 3천8백55평방미터의 규모에 7개의 .. ◈실크로드문화순례◈/서안문화권 2009.09.26
중국 당대머리형(唐代 HAIRSTYLE) 중국 당대머리형(唐代 HAIRSTYLE) <소릉박물관> ▲쌍라계(双螺髻, 쌍소라상투) ▲회심계(回心髻, 중심돌림상투) ▲경곡계(驚鵠髻, 고니놀람상투) ▲말용평두계(抹額平头髻, 이마가림평머리상투) ▲추계(椎髻, 묶음상투) <2009. 8. 5> ◈실크로드문화순례◈/서안문화권 2009.09.25
중국 함양 채유장군용(彩釉將军俑) 중국 함양 채유장군용(彩釉將军俑) <소릉박물관> ▲채유장군용(彩釉將军俑) 광택칠한장군용 唐(618~907) 長乐公主墓出土 <2009. 8. 5> ◈실크로드문화순례◈/서안문화권 2009.09.25
중국 함양 남기마악용(男骑马乐俑) 중국 함양 남기마악용(男骑马乐俑) <소릉박물관> ▲남기마악용(男骑马乐俑) ▲남기마악용(男骑马乐俑) ▲남기마악용(男骑马乐俑) 노래하는말탄남자용 唐(618~907) 鄭仁泰墓出土 <2009. 8. 5> ◈실크로드문화순례◈/서안문화권 2009.09.25
중국 함양 홍채남입용(红彩男立俑) 중국 함양 홍채남입용(红彩男立俑) <소릉박물관> ▲홍채남입용(红彩男立俑) 붉은칠한서있는남자용 唐(618~907) 鄭仁泰墓出土 <2009. 8. 5> ◈실크로드문화순례◈/서안문화권 2009.09.25
중국 함양 녹유남입용(绿釉男立俑) 중국 함양 녹유남입용(绿釉男立俑) <소릉박물관> ▲녹유남입용(绿釉男立俑) 녹색칠한서있는남자용 唐(618~907년) 李貞墓 출토 <2009. 8. 5> ◈실크로드문화순례◈/서안문화권 2009.09.25
중국 함양 문리용(文吏俑) 중국 함양 문리용(文吏俑) <소릉박물관> ▲문리용(文吏俑) 唐(618~907년) 杨溫墓出土 <2009. 8. 5> ◈실크로드문화순례◈/서안문화권 2009.09.25
중국 함양 이적장군묘(李勣將军墓) 중국 함양 이적장군묘(李勣將军墓) 당태종 소릉의 배장묘 가운데 이적장군묘가 있다. 이적장군묘는 소릉박물관으로 꾸며져 있다. 묘지에는 석비, 묘지석, 명기(明器) 등이 있다. 이적(李勣 ?~669 )은 산동성[山東省] 차오저우[曹州] 출생으로, 본성이 서씨(徐氏)였으나 당고조(唐高祖) 이연(李淵)에게 이씨.. ◈실크로드문화순례◈/서안문화권 2009.09.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