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예천 남본동 개심사터 오층석탑

蔥叟 2017. 9. 5. 07:28

예천 남본동 개심사터 오층석탑

 

2층 기단 위에 5층의 탑신부를 형성하고 그 정상에 상륜을 올려놓은 일반형 석탑으로, 원위치에 원형을 잘 간직하고 있다. 그러나 상·하층의 기단에 조식이 있고 탑신부를 받는 굄대도 연화대로 이루어져 일반형 탑과는 다른 특이한 면을 보이고 있으며, 또한 명문이 있어 건조연대를 알 수 있어 주목된다. 하층기단 면석은 각 면에 3구씩의 안상(眼象)을 조각하고 그 안에 십이지상을 1구씩 돋을새김하였다. 그 형태는 수수인신(獸首人身: 머리는 짐승모양이고 몸은 사람모양)으로 법의를 걸치고 합장하였다. 배치는 남면 동쪽부터 오상(午像)이 시작되어 미상(未像)·신상(申像)이 계속되고, 서면·북면·동면의 차례로 되어 있다. 갑석 상면은 약간의 경사가 표현되었으며, 활모양과 각형의 굄으로 상층기단 면석을 받치고 있다.

 

상층기단 면석은 각 면 1매씩 모두 4매 판석으로 조립하여 양 우주를 모각하였으며, 탱주(撑柱: 받침기둥)로 양분하고 각 구내에 1구씩의 8부중상(八部衆像)을 돋을새김하였다. 갑석은 1매 판석으로 이루어졌으며, 상면 중앙에 탑신부를 받치기 위한 앙련석(仰蓮石) 1매를 끼워 굄대로 삼고 있는데, 이와 같은 굄 판석의 삽입은 고려시대 수법의 특징으로 여러 유례를 볼 수 있다. 탑신부는 옥신과 옥개부가 별석(別石)으로 조성되었고 각층 탑신석에는 양 우주가 정연하게 모각되었으나, 초층 옥신석에만은 남면에 호형(戶形)이 조각되고 그 좌우에 인왕상(仁王像)을 배치하였다.

 

옥개석은 하면의 받침이 4단씩이고 전각부(轉角部)가 두툼한데, 반전이 경쾌하여 둔중감은 면하고 있다. 낙수면은 평박하고 합각선도 예리한데, 네 귀퉁이의 전각에는 양쪽에 풍경을 달았던 작은 구멍이 있다. 상륜부는 현재 노반(露盤) 위에 복발(覆鉢: 바리때를 엎어 놓은 형상의 한 부분)이 놓여 있을 뿐인데, 노반에는 각 면에 안상이 1구씩 있으며, 복발에는 4면에 화형(花形)이 조식되고 이들을 연결하는 굵직한 횡대(橫帶)가 있다. 상층기단 갑석의 뒷면에 새겨진 석탑기에 의하면, 이 탑은 1010년(현종 1)에 개심사에서 건립된 것임을 알 수 있어 석탑 자체의 양식과도 부합된다는 점에서 주목되는 작품이다.

 

명문

상대갑석(上臺甲石) 처마

上元甲子四十七統和二十七庚戌年二月一日正骨開心寺」

到石析三月三日光軍弎六隊車十八牛一千以十間入矣僧」

俗娘合一萬人了入

상원(上元) 갑자(甲子) 이후 47년 후인 통화(統和) 27년 경술년(庚戌年 : 1010, 현종1) 3월 3일 광군(光軍) 46대(隊), 수레[車] 18대, 소 1000과 10간(間)이 들어갔다.

승려·속인·선랑[僧俗娘] 모두 1만인이었다.

 

弥肋香徒上秤神廉長長司正順行典福宣金由」

工達孝順位剛香德貞」

喦等卅六人椎香徒秩京成仙郞(光叶金叶)阿志大舍香式金哀位奉楊(能廉寸等)」

(隊正邦祐)其豆昕京位剛儡平(矣典)次衣等

五十人

미륵향도(弥肋香徒)에서는 상평(上秤)에 신렴장(神廉長), 장사(長司)에 정순(正順), 행전(行典)에 복선(福宣)·김유(金由)·공달(工達)·효순(孝順), 위강(位剛)에 향덕(香德)·정암(貞喦) 등 36명,

치향도(椎香徒)에서는 상평(上秤)에 경성(京成), 선랑(仙郞)에 <광습(光叶)·금습(金叶)> 아지(阿志), 대사(大舍)에 향식(香式)·김애(金哀)·위봉(位奉)·양촌(楊寸)·능렴(能廉) 등 40인,

<대정(隊正) 방우(邦祐)>, 기두(其豆)·흔경(昕京), 위강(位剛)에 첩평(儡平)·의전(矣典)·차의(次衣) 등 50명,

 

상대중석(上臺中石 ) 동면(東面)

棟梁戶長陪戎校尉林長崔祐母主副棟梁▨▨邦祐」

罒弘爲身心上報之佛恩爲國正功德普及於一切」

    辛亥四月八日立」

동량(棟梁)은 호장(戶長) 배융교위(陪戎校尉) 임장(林長), 최우(崔祐), 모주(母主)

부동량(副棟梁)은 ▨▨·방우(邦祐)이다.

사방으로 널리 몸과 마음을 위하여,[四弘爲身心]

위로 부처님의 은혜에 보답하기 위하여[上報之佛恩]

국가를 위하고 공덕을 바르게 하기 위하여[爲國正功德]

일체의 만물에 퍼지게 하기 위하여[普及於一切]

신해년(辛亥年 : 1011, 현종 2) 4월 8일 세웠다.

 

▲오층석탑

 

▲오층석탑

 

▲오층석탑

 

▲오층석탑

 

▲오층석탑

 

▲오층석탑 탑신부

 

▲오층석탑 탑신부

 

▲오층석탑 상륜부

 

▲오층석탑 기단부

 

▲오층석탑 기단부

 

▲오층석탑 상대갑석 명문

 

▲오층석탑 상대갑석 명문

 

▲오층석탑 상대갑석 명문

 

▲오층석탑 1층몸돌 인왕상

 

▲오층석탑 1층몸돌 자물쇠

 

▲오층석탑 1층몸돌 인왕상

 

▲오층석탑 1층몸돌 인왕상

 

▲오층석탑 상층기단 팔부신중상

 

▲오층석탑 상층기단 팔부신중상

 

▲오층석탑 상층기단 팔부신중상

 

▲오층석탑 상층기단 팔부신중상

 

▲오층석탑 상층기단 팔부신중상

 

▲오층석탑 상층기단 팔부신중상

 

▲오층석탑 상층기단 팔부신중상

 

▲오층석탑 상층기단 팔부신중상

 

▲오층석탑 하층기단 십이지신상(쥐)

 

▲오층석탑 하층기단 십이지신상(소)

 

▲오층석탑 하층기단 십이지신상(호랑이)

 

▲오층석탑 하층기단 십이지신상(토끼)

 

▲오층석탑 하층기단 십이지신상(용)

 

▲오층석탑 하층기단 십이지신상(뱀)

 

▲오층석탑 하층기단 십이지신상(말)

 

▲오층석탑 하층기단 십이지신상(양)

 

▲오층석탑 하층기단 십이지신상(원숭이)

 

▲오층석탑 하층기단 십이지신상(닭)

 

▲오층석탑 하층기단 십이지신상(개)

 

▲오층석탑 하층기단 십이지신상(돼지)

 

▲오층석탑 하층기단 십이지신상(쥐)

 

▲오층석탑 하층기단 십이지신상(소)

 

▲오층석탑 하층기단 십이지신상(호랑이)

 

▲오층석탑 하층기단 십이지신상(토끼)

 

▲오층석탑 하층기단 십이지신상(용)

 

▲오층석탑 하층기단 십이지신상(뱀)

 

▲오층석탑 하층기단 십이지신상(말)

 

▲오층석탑 하층기단 십이지신상(양)

 

▲오층석탑 하층기단 십이지신상(원숭이)

 

▲오층석탑 하층기단 십이지신상(닭)

 

▲오층석탑 하층기단 십이지신상(개)

 

▲오층석탑 하층기단 십이지신상(돼지)

 

 

 

<2017. 8.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