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동문화순례◈/항주문화권

水乡, 江南의 六大古鎭 - 오진 서책풍경구 운하

蔥叟 2017. 5. 13. 09:07

水乡, 江南의 六大古鎭 - 오진 서책풍경구 운하

 

꿈결 같은 운하도시, 중국에서 가장 로맨틱한 야경이 있는 곳, 중국 사람들이 가장 가고 싶어하는 10대 관광지, 양자강 이남(강남) 6대 수향 중 가장 깨끗하고 아름다운 도시, 바로 우전이다. 우전(烏鎭)은 1300여년의 마을 건설역사를 가진 오랜 마을이다. 마을은 십자형으로 가로 지르는 큰 운하로 동서남북 4개의 큰 구역으로 나뉜다. 이 마을 사람들은 이 구역을' 책(栅)'이라 부르는데 각각의 책(栅)은 또 거미줄처럼 흐르는 작은 운하들로 구성된 독특한 공간들을 형성한다.

 

우전(烏鎭)은 현재 동책(东栅)와 서책(西栅) 지역이 관광지로 개발되어 개방되고 있다. 서책풍경구는 그 규모가 동책 풍경구에 비해 10배 가량 크고, 호텔과 민박집이 잘 정비되어 있다. 풍경구를 돌아보려면 서책 풍경구의 민박집에서 1박하면서 아침과 저녁 풍경을 구경하기를 권한다. 특히 가을 새벽, 운하 뒷 골목골목의 석판소로(石板小路)에 피어 오르는 물안개와 저녁 무렵 황혼을 끼고 붉게 물드는 운하를 오가는 수 많은 배들의 풍경을 구경하는 것이 백미이다.

 

관광단지 내에 3만여 평방미터의 정교하고 아름다운 명청시대 건축물을 보존하고 있으며 이러한 고건물 들과 함께 도시 한가운데를 흐르는 운하의 수려한 풍광이 더해져 신비로운 정취를 느낄 수 있다. 동서를 가로지르는 서책 옛길은 1.8Km에 이르며 운하를 마주하는 양안(兩岸) 역시 함께 길게 이어져 있다. 관광지 안의 종횡을 교차하는 수로는 약 10Km이며 72개의 오래된 돌다리들이 있다. 관광지 북쪽은 5만여 평방미터의 천연습지로 이루어져있다.

 

우전은 강남 수향의 전형적인 특징으로 완전하게 보전된 청나라 말기, 민국초기시대의 가옥들, 운하로 이루어진 길, 운하를 가로지르는 수많은 다리들, 운하를 따라 세워진 건물들과 건물들의 뒤편으로 나 있는 석판소로 골목들로 자연과 사람이 함께 어우러진다. 운하들은 주요 교통로로 마을 내에서 종횡으로 교차하여 작은 공간들을 나누고, 이 공간들은 운하 위의 아름다운 석교 들로 서로 하나가 된다. 운하의 물은 공간을 나누지만 결국 운하는 곧 길이고 공간을 이어주는 통로이다. 운하를 따라 배가 다니고 이 운하는 마을의 사방으로 뻗어나가 경항대운하와 태호(太湖)로 그리고 인근의 마을들로 바깥 세상과 소통하게 만든다

 

태호와 오진의 크고 작은 연못, 우물들은 농업과 음용수, 배수, 관상, 운수, 교통 등 마을의 모든 문제를 해결해 주었다. 유교문화와 운하의 상업 문화는 풍수지리와 어울려 자칫 사방으로 어지러울 수 있는 물길을 사방 종횡의 반듯 정연하고 크고 작은 서열을 가지는 운하망의 건설과 크기와 높낮이가 서로 다른 마을 가옥 건축과 배치에 영향을 주었다.

 

우전(烏鎭)은 6대 고진 중에서도 가장 운하밀도가 높은 마을이다. 운하 밀도가 높은 만큼 돌다리들도 많다고 한다. 마을의 돌다리들은 수향마을의 불가결한 요소였다. 자료에 따르면 우쩐의 석교는 120여개에 달했다고 한다. 돌다리들은 남송시기부터 건설되었지만 현존하는 30여개의 석교들은 대부분 명청시기에 중건 혹은 재건된 것 들이다. 일부 큰 석교에는 '桥联'이 새겨져 있어 그 역사 문화적인 운치를 더하기도 한다.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운하

 

 

 

  <2017. 1.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