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천을 만나다 - 중국 항저우 혜인고려사 화엄경각
윤정전 뒷편에는 화엄경각이란 편액이 붙은 2층 전각이 있다. 화엄경각은 대각국사 의천이 고려에서 금으로 된 화엄경 3부를 보내왔기 때문에 붙인 이름이라고 한다. 뿐만 아니라 이때 교종 관련 자료 600점 또한 함께 전해졌다 한다. 이는 화엄교 중흥 이후 교종 전적의 보고라는 평을 받고 있다. 화엄경각 안에는 대각국사 의천의 진영이 봉안되어 있고 대방광불화엄경의 주석서인 화엄경소가 전시되어 있다.
대방광불화엄경은 줄여서 ‘화엄경’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부처와 중생이 둘이 아니라 하나라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화엄종의 근본경전으로 법화경과 함께 한국 불교사상 확립에 크게 영향을 끼친 불교경전 가운데 하나이다. 이 책은 實叉難陀 譯의 80권본인 화엄경 주본에 대한 주석서로 120권이다. 원래 판본은 고려시대 대각국사 의천과 친교가 있던 송나라 淨源스님이 주석한 것으로 송나라에서 선종4년(1087) 송상인 서전(徐戩)등을 통해 보내온 목판에서 찍어낸 것인데 지금은 겨우 몇 권만 남아있다. 이들 판본은 송나라에서 고려로, 고려에서 다시 일본으로 전파되어 동양 3국의 불교문화교류에 큰 역할을 한 귀중한 자료이다. 이 화엄경소는 현재 통도사에 소장되어 있는 다시 판각한 목판으로 찍은 것으로 권의 첫머리에는 본문의 내용을 요약하여 그림 화엄경 변상도가 있다.
▲화엄경각
▲화엄경각
▲화엄경각
▲화엄경각 편액
▲대각국사 의천 진영
▲대각국사 의천 진영
▲대각국사 의천 진영
▲대각국사 의천 진영
▲화엄경소
▲화엄경소
▲화엄경소
▲화엄경소
<2017. 1. 18>
'◈극동문화순례◈ > 항주문화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천을 만나다 - 중국 항저우 혜인고려사 학자여귀전 (0) | 2017.02.04 |
---|---|
의천을 만나다 - 중국 항저우 혜인고려사 대각전 (0) | 2017.02.04 |
의천을 만나다 - 중국 항저우 혜인고려사 윤장전 (0) | 2017.02.03 |
의천을 만나다 - 중국 항저우 혜인고려사 종루 (0) | 2017.02.02 |
의천을 만나다 - 중국 항저우 혜인고려사 (0) | 2017.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