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본으로 보는 신라 원숭이 - 경주 원성왕릉 십이지 원숭이상
두향은 좌향이며 몸은 정면을 향하여 한쪽 발에 몸의 중심을 두고 왼족으로 옆구리를 내미는 삼굴자세를 취하였다. 옷은 무복으로 목에는 경당을 두르고 가슴에는 흉갑을 둘러 양쪽 어깨에서 띠를 내려 고정시켰다. 경당의 여밈 부분 바로 아래에 둥근 주문이 있고, 잘룩한 허리 양 옆에는 복갑이 보인다. 그 아래에는 요갑을 둘렀으며 아랫단에 길이가 짧은 수직의 주름장식이 있다. 요갑 위에는 U형 곡선을 그리는 띠 자락이 있고, 테두리가 있는 네모난 모양의 전당이 대의 중앙에 걸쳐져 있다. 허리 양쪽 옆에는 대 위로 올려진 띠 자락이 반전하여 내려져 양쪽 다리 옆으로 물결지게 흘러내려 좌우대칭으로 나선형을 이룬다. 어깨에는 견갑이 있고 팔꿈치 위에는 반수자락이 보인다. 양 팔에는 여러 겹의 주름이 있는 소맷자락을 걸쳐서 내려뜨렸으며 두텁게 표현되었다. 무릎 아래에는 경당을 둘렀으며, 두 발은 양 옆으로 벌려 뒤꿈치가 마주보게 섰다. 양 다리 사이에는 매듭 장식이 흘러내려며, 발목 부분에 주름장식을 덧댄 신발을 신었다.
오른손은 팔을 아래로 내려 지물을 잡았는데 칼끝이 위로 향하도록 하여 손잡이 부분을 잡았다. 지물의 형태는 손끝이 끝 부분이 둥근 모양으로 장식의 여부 확인이 어려우며 칼날의 끝이 뾰족한 직도로서 길이는 길지 않다. 소맷자락을 걸친 왼팔을 안쪽으로 굽혀 겨드랑이 앞에서 주먹을 쥐었다. 면석의 테두리 선에서 약간 밖으로 벗어난 표현으로, 마치 팔꿈치로 옆을 칠 것 같은 자세이다. 크고 움푹 들어간 눈, 당당한 표정으로 측면을 향해 약간 아래를 내려다 보는 모습이다. 상의 머리부분이 면석과 맞닿으며 잘룩한 허리에 가슴이 빈약하게 표현되어 큰 머리가 더욱 강조되어 보인다. 엉덩이와 허벅지를 강조하여 하체가 튼튼하고 힘있는 모습이다. 무복의 표현은 깔끔하고 단순하며, 남아있는 상태 역시 양호하다. 면석의 상단좌측과 우측 모서리 부분 그리고 상의 코끝에 괴상박리가 있다. 면석 전체가 지의류에 의해 생물피해를 입었으나 다른 상에 비해 적으로 면석 곳곳에 엽상박리가 있다.
▲원성왕릉 원숭이상
▲원성왕릉 원숭이상
▲원성왕릉 원숭이상
▲원성왕릉 원숭이상
▲원성왕릉 원숭이상
▲원성왕릉 원숭이상
▲원성왕릉 원숭이상
▲원성왕릉 원숭이상
▲원성왕릉 원숭이상
<2016. 2. 26>
'◈한국문화순례◈ > 서라벌문화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탑본으로 보는 신라 원숭이 - 경주 흥덕왕릉 십이지 원숭이상 (0) | 2016.03.28 |
---|---|
탑본으로 보는 신라 원숭이 - 경주 전경덕왕릉 십이지 원숭이상 (0) | 2016.03.27 |
탑본으로 보는 신라 원숭이 - 경주 전김유신묘 십이지 원숭이상 (0) | 2016.03.25 |
탑본으로 보는 신라 원숭이 - 경주 성덕왕릉 십이지 원숭이상 (0) | 2016.03.24 |
경주 능지탑 출토 토제사방불편 (0) | 2016.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