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황룡사 구층목탑을 재현한 중도타워

蔥叟 2016. 1. 13. 07:35

황룡사 구층목탑을 재현한 중도타워

 

중도타워는 동국제강이 황룡사 9층 목탑을 양각으로 재현해 건축한 철탑이다. 목탑이 아닌 철탑으로 세워졌으나 마치 황룡사구층목탑을 보는 느낌이라 신선하게 다가왔다. 규모는 지하 1층, 지상 12층 규모로 황룡사탑의 실제 높이와 같은 탑신부 64m, 상륜부 15m, 기단부 1m 등 총 81m이다. 철골조와 외벽은 목재와 컬러강판으로 만들어지고, 지붕은 동(銅)기와를 얹었다. 더군다가 엑스포공원의 음각탑인 경주타워와 도로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게 지어져 음양의 조화를 상징하고 있다. 더군다나 두 탑은 한 쌍의 부부로 연을 맺었다. 경주 세계문화엑스포 '실크로드 경주 2015' 행사 가운데 하나로 중도타워와 경주타워가 신랑과 신부로 만나 전통혼례를 올렸다. 두 탑의 혼인식은 '천 년의 꿈, 두 탑의 결혼'이라는 주제로 신라 전통혼례방식으로 치러졌다. 지난 2015년 10월 16일. ‘Love Festival in Gyeongju’ - 천년의 꿈, 두 탑의 혼인으로 삼국통일의 염원을 담은 황룡사 9층 목탑의 정신을 이어 새로운 천년을 이어갈 부부의 연을 맺었다.

 

▲재현된 황룡사구층목탑

 

▲재현된 황룡사구층목탑

 

▲재현된 황룡사구층목탑

 

지금은 초석과 심초석만이 남아있는 황룡사 구층목탑은 선덕여왕이 당나라에서 유학하고 돌아온 고승 자장의 권유로 건립하게 되는데 당시의 사정이 삼국유사에 잘 전하고 있다.

 

제27대 선덕여왕 즉위 5년 정관 10년 병신(636)에 자장법사가 서방으로 유학하였는데 바로 오대산에서 감응하여 문수보살로부터 불교 이치를 전수하였다. 문수보살이 말하기를, “너희 나라 왕은 바로 천축의 찰리종왕(刹利種王)인데 일찍이 불기(佛記)를 받았으므로 별달리 인연이 있으며 동쪽 오랑캐나 공공(共工)의 족속과는 같지 않다. 그러나 산천이 험준하므로 사람들의 성질이 조잡하여 많이들 사도를 믿어 때로는 하늘이 재앙을 내리기도 하나 무릇 고명한 중들이 국내에 있기 때문에 임금과 신하들이 평안하고 모든 백성들이 화평할 것이다” 하고는 말을 마치자 사라지니 자장은 이것이 바로 보살의 화신임을 알고 감격하면서 물러 나왔다.

 

그가 중국의 태화지(泰和池) 둑을 지나는데 홀연 신령한 사람이 나와서 묻기를, “어찌하여 이곳까지 왔는가?” 하였다. 자장이 대답하여 “불교를 체득하러 왔소이다” 하니 신령한 사람이 절을 하면서 다시 묻기를, “너희 나라에서 살기 어려운 일이 무엇인가?” 하였다. 자장이 말하기를, “우리 나라는 북으로 말갈, 남으로 왜국과 인접하였으며 고구려, 백제 두 나라가 번갈아 국경을 침범하고 이웃 나라 적들이 횡행하고 있으니 이것이 바로 백성들의 고통이오” 하니 신령한 사람이 일러서, “지금 너희 나라는 여자로써 임금을 삼았기 때문에 덕은 있으나 위엄이 없으므로 이웃 나라들이 모해코자 하니 빨리 본국으로 돌아가야 한다” 고 하였다.

 

자장이 묻기를, “고국으로 돌아가 무엇을 하면 이익이 되겠소” 하니 “황룡사의 호법룡(護法龍 : 불교를 옹호하는 용)은 바로 나의 맏아들이다. 범왕(梵王)이 명령을 받고 가서 그 절을 호위하고 있으니 본국으로 돌아가 절 가운데 9층탑을 세우면 이웃 나라들이 항복을 하고 구한(九韓)이 와서 조공할 것이며 왕위가 길이 편안하리라. 탑을 세운 후에는 팔관회(八關會)를 배설하고 죄인들을 석방하면 외국의 적들이 헤칠 수 없을 것이다. 그리고 나를 위하여는 경기 지방의 남쪽 해안에 조그마한 절 한 채를 지어 나의 복을 빌면 나 역시 은덕을 갚을 것이다” 하고 말을 마치자 옥(玉)을 바치고는 홀연히 간 곳이 없어졌다.

 

정관 17년 계묘(643) 16일에 자장은 당나라 황제가 준 불경과 불상, 가사와 폐백들을 가지고 귀국하여 국왕에게 탑 세울 사연을 아뢰니 선덕여왕이 여러 신하들과 의논하였다. 여러 신하들이 말하기를, “백제로부터 장인(匠人)을 청한 뒤에야 비로소 가능할 것이외다” 하였다. 이리하여 보물과 폐백을 가지고 백제로 가서 장인을 초청하였다. 아비지(阿非知)라는 장인이 명령을 받고 와서 공사를 경영하는데 이간(伊干) 용춘(龍春)이 일을 주관하여 수하 장인 200명을 인솔하였다. 처음에 절 기둥을 세우는 날 그 장인의 꿈에 백제가 멸망하는 꼴을 보고 그는 의심이 나서 공사를 정지하였더니 홀연 대지가 진동하면서 컴컴한 속에서 웬 늙은 중과 장사 한 명이 금전문(金殿門)에서 나와 그 기둥을 세우고 중과 장사는 함께 간 곳이 없어졌다. 장인은 이에 뉘우치고 그 탑을 완성하였다.

 

<삼국유사 황룡사 구층탑(皇龍寺九層塔)조>

 

▲재현된 황룡사구층목탑

 

▲재현된 황룡사구층목탑

 

▲재현된 황룡사구층목탑

 

구층목탑은 완성된 지 50년 뒤인 698년(효소왕 7년)에 벼락을 맞고 불에 탄이래 다섯 차례의 중수를 거듭하였다. 48대 경문왕 때에는 51대 진성여왕의 삼촌이자 남편이었던 각간 위홍이 탑을 헐고 새로 세웠는데 이때 그 내용을 찰주본기에 적어 사리외함(舍利外函)에 넣었다. 이 사리외함이 1964년 도굴꾼에게 도굴되었다가 황수영 박사의 손에 까지 들어와 수리한 배경을 알 수 있게 되었다. 이에 의하면 신라 문성왕 때 이르러 이 대탑이 동북으로 기울어지므로 제목을 모은 지 30여년이 지나도록 고치지 못하였는데 경문왕 11년에 이르러 탑을 헐고 새롭게 만들도록 하였으며, 철반 위에는 무구정경(無垢淨經)에 따라 소석탑(小石塔) 22기를 안치하였으며 그 소탑마다 사리 1과와 다라니 4종을 넣고 다시 경전과 사리 1구를 함께 봉안하였다고 한다.

 

그후 경애왕 4년(927) 탑이 북쪽으로 기울어졌으며 고려 광종 5년(954)에 재앙을 입어 현종 3년(1012)에 경주의 조유궁을 헐어 그 재료로 탑을 수리하였다. 그 이후에도 3차에 걸친 중수를 하였으나 몽고군의 침입으로 황룡사가 불탈 때 운명을 같이 하였다. 그러나 1238년(고려 고종 25년)에 몽고군의 침입으로 가람 전체가 불타버린 참화를 겪은 뒤에는 중수되지 못하였다. 이 탑은 목조 건축물로서 593년간 한자리에 서서 위용을 자랑하여 세계 건축사에 유래가 없는 실로 위대한 건축물이었다. 현재 구층목탑은 조계종에서 복원문제를 논의하고 있으나 두 가지 문제에서 추진이 보류되고 있는 실정이다. 첫째는 기술의 부족이다. 70m에 달하는 나무로 된 찰주를 현재의 기술로는 세울 수가 없다는 것이다.

 

둘째는 탑의 내부 구조가 개방형이냐 폐쇄형이냐 하는 문제이다. 고려사 열전 이의민(李義旼)조에는 『이의민은 경주 사람인 바 그의 부친 이선(李善)은 소금과 체를 파는 것이 직업이었고 모친은 연일현(延日縣) 옥령사(玉靈寺)의 여종이었다. 이의민이 어렸을 때 이선의 꿈에 이의민이 청의(靑衣)를 입고 황룡사(黃龍寺) 구층탑(九層塔)에 올라갔으므로 그는 이 아이가 반드시 큰 귀인이 되리라고 생각하였다.』는 기록이 나오는데 황룡사 구층탑에 올라갔다는 것은 이 탑이 개방형이었다는 것을 말해주는 것이다. 황룡사구층목탑은 역시 황룡사의 금당에 있던 장륙삼존불 그리고 진평왕의 천사옥대(天賜玉帶)와 함께 신라 삼보(三寶)의 하나에 속한다.

 

▲재현된 황룡사구층목탑

 

 

 

<2015. 12.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