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수로왕과 허황후의 혼인길 - 김해 구지봉
원래는 거북의 머리 모양을 닮았다하여 구수봉(龜首峯)이라 불렀다. 현 수로왕비릉이 있는 위치가 거북의 몸체이고 서쪽으로 내민 것이 거북 머리의 모양이다. 이곳은 신라 유리왕 19년(42)에 하늘에서 황금알이 내려와 김수로왕이 탄생했다는 전설이 전해지는 곳이다.
천지가 개벽한 후로 이곳에는 아직 나라 이름도 없었고, 또한 군신의 칭호도 없었다. 이 때 아도간, 여도간, 피도간, 오도간, 유수간, 유천간, 신천간, 오천간, 신귀간등 아홉 간이 있었다. 이들 추장들이 백성들을 통솔했는데 모두 1백호로 7만5천명이었다. 이 사람들은 거의 산과 들에 모여서 살았으며, 우물을 파서 물을 마시고 밭을 갈아 먹었다.
후한의 세조 광무제 건무 18년 임인(A.C.42) 3월 계욕일(액땜을 하는 날로 목욕을 하고, 물가에서 술을 마심)에 그들이 살고 있는 북쪽 구지(龜旨 - 산봉우리의 이름)에서 이상한 기운이 일며, 수상한 소리가 들렸다. 마을 사람들 2, 3백명이 그 곳에 모였는데 사람 소리와 같기도 하지만 그모습은 보이지 않는데 소리만 들려왔다.
"이 곳에 누가 있는가?' 구간(九干)들이 대답했다.
"우리들이 여기 있습니다."
"내가 있는 이곳이 어디인가?"
"구지(龜旨)입니다." 이에 또 말했다.
"하늘이 나에게 명령하기를 이곳에 새로운 나라를 세우고 임금이 되라고 하므로, 이를 위하여 여기에 내려왔다. 너희들은 산꼭대기의 흙을 뿌리며
거북아 거북아
머리를 내 밀어라.
만약 내밀지 않으면
구워 먹겠다.
하고 노래를 부르고 뛰며 춤을 추어라. 그러면 곧 너희들은 대왕을 맞이하여 기뻐서 춤추게 될 것이다."
구간들은 이 말에 따라 마을 사람들과 함께 모두 기뻐하며 노래하고 춤추었다. 얼마후 하늘을 우러러 보니 한 줄기 자주색 빛이 하늘로부터 드리워져 땅에 닿는 것이었다. 줄끝을 찾아가 보니 붉은 보자기에 금합이 싸여 있었다. 열어 보니 해처럼 둥근 황금빛 알 여섯 개가 있었다. 여러 사람들은 모두 놀라고 기뻐하여 다 함께 수없이 절을 했다.
조금 있다가 다시 싸서 안고 아도간의 집으로 돌아와 걸상 위에 놓아두고 무리는 제각기 흩어졌다가 하루가 지나가고 그 이튿날 아침에 마을 사람들이 다시 모셔 그 합을 열자, 여섯 개의 알은 화하여 아기가 되어 있었는데 용모가 매우 깨끗했으며 이내 평상 위에 앉았다. 사람들은 모두 절하고 하례하면서 극진히 공경했다. 이들은 나날이 자라더니 10여일을 지나자 키가 9척으로 은나라 천을(天乙-은나라 탕왕)과 같고, 얼굴이 용안임은 하나라 고조와 같았다. 눈동자가 겹으로 된 것은 우나라 순임금과 같았다.
그 달 보름에 왕위에 올랐는데 세상에 처음 나타났다고 하여 이름을 수로라 하거나 혹은 수릉이라 했다. 나라를 대가락이라 하고, 또 가야국이라고도 했으니 곧 여섯 가야 중의 하나이다. 나머지 다섯 사람도 각기 가서 다섯 가야국의 임금이 되었다. 가야는 동쪽은 황산강, 서남쪽은 창해, 서북쪽은 지리산, 동북쪽은 가야산이며 남쪽은 나라의 끝이었다. 그는 임시로 대궐을 세우게 하고 거처하였는데, 질박하고 검소할 따름이니 집에 이은 이엉을 자르지 않았으며, 흙으로 만든 계단은 겨우 3척이었다.
즉위한 2년 계묘(A.B. 43)정월에 왕이 말하기를, "내가 도읍을 정하려 한다."
하고는 이내 임시 궁궐인 남쪽 신답평에 나가서 사방의 산악을 두루 바라보다가 신하들을 돌아보고 말했다.
"이 땅은 여뀌 잎처럼 협소하기는 하지만 수려하고 기이하여 가히 16나한이 살만한 곳이다. 더구나 1에서 3을 이루고 3에서 7을 이루므로 칠성(七聖, 성이란 진리를 깨친 사람이라는 뜻)이 살 곳으로도 가장 적합하다. 여기에 근거하여 강토를 개척하여 마침내 좋은 곳을 만듦이 어떻겠느냐?"
이에 1500보 둘레의 외성과 궁궐과 전당 및 여러 관청의 청사와 무기고, 창고를 지을 터를 마련한 뒤에 궁궐로 돌아왔다. 널리 나라 안의 장정과 인부, 공장들을 불러 모아서 그 달 20일에 성곽을 쌓기 시작하여 3월 10일에 공사를 끝냈다. 궁궐과 옥사(屋舍) 만은 농한기를 이용하여 지었으므로 그해 10월에 비로소 시작하여 갑진(44) 2월에 이르러서야 완성되었다. 좋은 날을 가려 새 궁으로 옮겨가서 모든 정사를 다스리며 서무에도 부지런하였다.
<삼국유사 가락국기(駕洛國記)>
하늘에서 내려온 알에서 태어난 수로왕이 나라를 세웠다는 이야기는 하늘에서 내려온 천손신화를 가진 이주민과 난생신화를 가진 토착집단의 결합에 의해 성립되었음을 이야기하는 것이라고 해석한다. 구지봉 정상에 있는 고인돌은 전형적인 남방식 고인돌로 규모는 작지만 특이하게 구릉의 정상부에 자리하고 있다. 아직 정식 발굴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정확한 축조시기 등을 알 수 없지만 주변에서 조사된 청동기시대의 마을유적 등의 사례로 보아 기원전 3~4세기 경 이 마을을 다스리던 추장의 무덤으로 추정된다. 고인돌의 상석에 새겨진 '龜旨峯石'이라는 글씨는 조선시대의 명필 한석봉이 썼다고 전해진다.
▲구지봉
▲구지봉
▲구지봉
▲구지봉
▲구지봉
▲구지봉 고인돌
▲구지봉 고인돌
계욕일은 음력 3월 上巳日을 의미한다. 몸을 씻는 禊祭를 올리는 날이다. 계욕은 물가에 모여 목욕함으로써 더러움 없애는 풍습이다. 즉 상서롭지 못한 것을 없애는 袯祭不詳의 제의이고 辟邪進慶이다. 수로가 하늘에서 강림한 날은 계욕일이었다. 부족장들인 구간들을 비롯한 백성들이 발제불상, 벽사진경의 예를 갖추던 날 수로는 부족연맹체의 수장으로서 나아가 국왕으로서 강림했다. 단군과 주몽은 환웅과 웅녀, 해모수와 유화처럼 강림한 아버지와 통과의례를 통해 거듭난 어머니 사이에서 탄생하였다. 그러나 수로나 혁거세는 부모가 밝혀지지 않은 상태에서 강림해 곧바로 건국을 했다. 단군과 주몽이 혈통으로서 신성성이 보장되어 별도의 예비적 의례가 필요 없었다. 하지만 수로는 부모가 밝혀지지 않은 상태에서 발제불상과 벽사진경의 예를 갖춘 뒤에야 건국시조로서 강림한다.
수로는 구간들에게 구지봉 정상의 흙을 파서 한 줌 쥐며 歌舞하라고 명했다. 신이자 왕을 모시는 자리에서 행하는 가무는 우리의 제천의례에서 익히 보아왔던 광경이다. 부여의 영고, 고구려의 동맹, 예의 무천 등 제의의 중심이 음주가무였던 것이다. 가무는 즐기고 노는 연향의 의미가 아니라 제의의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 흙을 한 줌 파서 쥐라는 의미는 우선 이 행위가 농사짓는 것을 모사한 것이라 볼 수 있다. 구지가는 노동요의 성격을 띠고 있다. 구지봉 정상에 한 알의 곡식을 파종하는 행위이다. 전 국토의 풍요를 보장하는 상징적 행위가 되는 셈이다. 한편 이는 거북이의 산란 또는 지모신의 잉태에 대한 모사라고 볼 수 있다. 거북이가 땅을 파고 산란하는 장소를 마련하는 것을 모의적으로 재현하는 행위이며 곧 지모신의 잉태와도 연관된다. 또한 구지봉의 흙을 한 줌 쥐는 것을 가락국 영토에 대한 소유와 지배에 대한 상징적 행위로 볼 수도 있다. 한 줌의 흙은 가락국이라는 국가 건립 이전의 모든 권한을 상징하며 나아가 가락국 건국 이후의 모든 권한을 상징하는 것이다.
거북아 거북아 / 머리를 내밀어라 / 내밀지 않으면 / 구워서 먹으리
주술적인 노래인 주사의 특징을 온전히 지니고 있다. 명령법, 조건절, 주술적 동식물의 등장 등이 바로 그러하다. 4행에 주사의 특징 전체가 압축되어 있어 주사의 전형이라 불리는 노래이다. 거북이는 가락국의 토템으로 볼 수 있다. 또한 건국시조가 거북이에서 탄생한다는 인식은 거북이가 풍요를 상징하는 동물이었기에 가능했다. 머리를 내밀라고 하는 것은 그들의 우두머리인 수장을 어서 출산하라는 의미가 된다. 불에 구워 먹겠다는 대목은 지모신의 위상을 지닌 거북이를 협박하는 것이데, 신과 인간의 관계에서 이런 위하적 표현은 극한 상황에 처한 인간이 자신의 강렬한 열망을 드러낼 때 종종 등장한다. 협박하는 듯한 표현은 건국시조의 탄생을 갈망하는 마음에서 나온 것이다.
수로는 황천의 명에 따라 강림했다. 황천은 단군신화의 환인, 주몽신화의 천제와 같은 일반적인 하느님이다. 수로신화는 단군신화나 주몽신화와 달리 황천, 상제 천의 자손이라는 언급이 없다. 단지 명을 받았다고 하여 신성성이 약화된 듯 느껴지기도 한다. 그러나 수로는 붉은 줄 끝에 매달린 붉은 보자기에 싸인 금빛 상자에 담겨 강림했다. 더욱이 황금빛 알의 모양이 해와 같다고 묘사된다. 이는 수로가 주몽과 마찬가지로 태양의 아들임을 알리는 징표이다. 붉은 색은 주몽 탄생시의 빛이나 혁거세 탄생시의 전과와 같은 계열이다. 이 붉은색은 천상과 지상을 잇는 매개체인 것이다. 이 매개체는 신화주인공에게 신성성을 부여하는 기능을 한다. 수로는 별도의 탄생의례를 거친다. 알들을 왕이 앉는 의자인 탑 위에 올려놓았고 그런 연후에 동자로 변한 수로를 맞이했다. 수로는 이런 단계를 거친 후에야 비로소 완전한 모습으로 거듭나고 있는 것이다. 수로의 신성성은 그가 태양의 아들로서 붉은색의 신성함을 지니고 알의 형태로 강림한 후 탄생의례를 거치면서 더욱 증폭된 셈이다.
▲구지봉 고인돌
▲구지봉 고인돌
▲구지봉 고인돌
▲구지봉 고인돌
▲구지봉 고인돌
▲구지봉 고인돌
<2015. 12. 20>
'◈한국문화순례◈ > 낙남문화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수로왕과 허황후의 혼인길 - 김해 파사석탑 (0) | 2015.12.31 |
---|---|
김수로왕과 허황후의 혼인길 - 김해 허황후릉 (0) | 2015.12.30 |
의령 오운마을 옛담장 (0) | 2015.04.05 |
의령 세간리 현고수 (0) | 2015.04.05 |
의령 서동리 빗방울자국 (0) | 2015.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