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석탑 순례 - 부여 장하리 삼층석탑
고려시대 초기의 탑이다. 고려시대에 한산사寒山寺라는 절이 있던 곳이다. 백제의 옛 땅이었던 충청·전라도에는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국보 제9호)의 양식을 모방한 백제계 석탑이 몇 개 전하고 있는데 이 탑 역시 그런 계열에 속하는 탑이다. 이 탑을 비롯하여 서천 비인오층석탑, 정읍 은선리삼층석탑, 강진 월남사터삼층석탑 등 충청도와 전라도 지방에는 정림사지오층석탑과 비슷한 양식을 보여주는 백제양식을 이어받은 탑들이 여러 개 있다.
땅 위에 자연석에 가까운 바닥돌을 깔고 그 위에 같은 돌로 너비를 좁히면서 3단의 기단(基壇)을 만들었다. 탑신(塔身)은 네 귀퉁이에 위로 오를수록 좁아지는 형태의 기둥 모양을 새겼고, 그 사이에 긴 판돌을 세워 면을 이루게 하였다. 동서남북 사면에 감실모양이 있는데, 우주와 면석의 약화된 모습으로 보는 경우도 있다. 감실은 목탑에 많이 나타나던 것으로 불상을 모시는 방을 의미한다. 석탑에서는 대부분 이를 형상화하는데 그쳐 모양만을 새기는 정도이다 지붕돌(옥개석)에는 구멍을 내어 청아한 소리를 내는 풍탁(풍경)을 단 흔적이 있다.
전체적으로 탑신의 몸돌이 높고 지붕돌은 지나치게 넓어 안정감이 없어 보인다. 정림사지오층석탑을 모방하였다고는 하지만 조형감각이나 수법에서 훨씬 떨어지는 작품이다. 세련된 정림사지오층석탑과 달리 오히려 자연스럽고 편안한 느낌을 준다. 1931년에 탑신 1층의 몸돌에서 상아불상, 목제탑, 다라니경 조각 등이 발견되었으며, 1962년 해체 수리시에는 2층에서 지름 7㎝, 깊이 12㎝로 사리를 두는 공간이 둥근 형태로 발견되었는데, 그 안에 41개의 사리가 들어있었다. 이 유물들은 모두 국립부여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이 탑에서 가장 특징적인 것은 3층몸돌의 면석있다. 1층과 2층의 몸돌은 네 귀퉁이에 긴 기둥을 세우고 기둥과 기둥 사이의 벽면에 해당하는 면석 또한 기둥만큼이나 세장하게 설정하여 그 경쾌함과 상승감이 살아나고 있다. 그런데 3층에 이르러서는 이와 같은 구성을 포기하고 면석을 위쪽으로 반만 깎아놓았다. 만일 1,2층과 마찬가지로 면석을 모두 깊이 파놓앗다면 길쭉하기만 하고조형적인 긴장감을 느낄 수 없었을 터이지만 아래로 반만 깎아냄으로서 새로운 질서를 얻어낸 것이다.
▲장하리 삼층석탑
▲장하리 삼층석탑
▲장하리 삼층석탑
▲장하리 삼층석탑
▲장하리 삼층석탑
▲장하리 삼층석탑
▲장하리 삼층석탑
▲장하리 삼층석탑
▲장하리 삼층석탑
▲장하리 삼층석탑
▲장하리 삼층석탑
▲장하리 삼층석탑
▲3층 탑신부
▲3층 탑신부
▲초층 옥개석
▲초층 탑신
<2014. 4. 5>
'◈한국문화순례◈ > 금강문화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사시대의 부여 - 부여 송국리 유적 (0) | 2014.07.25 |
---|---|
부안 채석강 (0) | 2014.04.22 |
백제를 찾아서 - 부여 궁남지 (0) | 2014.04.20 |
조선기와 - 익산 미륵사터 봉황문수막새 (0) | 2014.02.23 |
조선기와 - 익산 미륵사터 용문암막새 (0) | 2014.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