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위 지보사 삼층석탑
지보사 삼층석탑은 상륜부가 유실되었을 뿐 거의 완전한 3층석탑이다. 통일신라 하대부터 나타나던 장식성이 풍부한 석탑 계열을 충실히 계승한 이 석탑은 아담하면서도 화려한 면모를 잘 나타내고 있다. 즉 지대석 위에 놓인 2층 기단은 신라하대의 전형적인 구성수법을 보여주고 있는데, 하층기단 면석에는 탱주 하나를 세웠고 그 사이 면석에 사자상으로 보이는 동물상을 묘사했으며, 상층기단 역시 탱주 하나와 각면석에 팔부신중을 새겼다. 이런 특징은 신라말 내지 고려초의 장식적인 석탑 기단부와 흡사한 것인데, 이 점은 탑신부에도 그대로 나타나고 있다.
같은 탑인데도 시선의 높이와 방향, 배경에 따라 탑이 주는 느낌은 달라지는 듯하다. 멀리서 보면 규모가 작아서 다소 서글퍼 보이는데 정작 오래 바라보고 있으면 나름의 단아한 기품이 새록새록 느껴지는 탑이다. 탑이 대웅전 앞뜰에서 조금 비켜난 담장 앞에 서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물론 중창된 건 탑이 아니라 대웅전이다. 삼층석탑은 아래에 있는 주차장에서 올라가면서 보면 왼편에 있다. 탑의 높이는 4.2미터. 2단의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아담한 모습이다. 기단은 통일신라 후기의 전형적인 구성 수법을 보여주고 있다.
기단을 이루고 있는 돌들이 모두 높아서 다소 우뚝해 보인다. 기단 윗면에는 연꽃무늬를 새긴 별도의 판돌을 삽입하여 윗돌을 괴도록 하였다. 탑신은 1층 몸돌에 문짝 모양을 새겨두어 부처님을 모시는 방(감실)을 표현하였다. 지붕돌은 별도의 돌을 얹어 구성한 것으로, 밑면에 새겨둔 4단의 받침이 두꺼워 보인다. 상륜부(相輪部)에는 노반(露盤:불탑의 맨 꼭대기 지붕 바로 위에 놓여 상륜부를 받치는 부재)과 복발(覆鉢:불탑의 노반 위에 있는 장식으로 바리때를 엎어놓은 모습)이 남아 있다. 조각수법이 화려하면서도 아담하여 통일신라시대의 석탑 양식을 따르고 있으나 탑의 장식 특징 등으로 보아 고려시대의 석탑으로도 추정된다.
▲지보사 삼층석탑
▲지보사 삼층석탑
▲지보사 삼층석탑
▲지보사 삼층석탑
▲지보사 삼층석탑
▲지보사 삼층석탑
▲탑신부
▲기단부
▲탑신부
▲기단부
▲기단부
▲1층탑신부와 받침돌
▲탑구
▲팔부신중상
▲팔부신중상
▲팔부신중상
▲팔부신중상
▲건달바
▲아수라
▲아수라
▲아수라
▲동물상
▲동물상
<2008. 8. 9>
'◈한국문화순례◈ > 영가문화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봉화 서동리 삼층석탑 출토 토제소탑 (0) | 2009.02.28 |
---|---|
청송 주왕산 절골의 가을빛 (0) | 2008.11.02 |
군위 선방산 지보사(船放山持寶寺) (0) | 2008.10.03 |
의성 금성산 고분군(金城山古墳群) (0) | 2008.10.02 |
안동 영호루(映湖樓) (0) | 2008.1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