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산 신상리 고분군(新上里古墳群)
경부고속도로 경산휴게소 서편 경산시 진량읍 신상리 1050 일대(1만2,132㎡), 목곽묘, 적석목곽묘, 석실묘 등 5~6세기 신라시대 고분군이 있다. 4-6세기의 신라시대의 무덤 양식인 적석목곽분이 경주 이외의 지방에서도 간혹 확인되지만, 경산 지역에 많은 군집(59기)을 이루면서 존재한다는 것은 드문 예이다. 경주에 기반을 둔 적석목곽묘 문화가 다른 지역으로 확산돼 가는 과정을 보여주는 고고학적 흔적이다.
조사 결과 이들 적석목곽묘는 대부분 소형에다가 덧널(곽ㆍ槨)을 하나만 쓴 단곽식(單槨式)이지만 일부는 부장 유물을 안치하기 위한 부곽을 갖춘 주부곽식(主副槨式)도 있다. 단곽식은 직사각형 모양으로 무덤 구덩이를 파고 그 안에다가 시신을 넣은 목곽을 설치한 후 목곽과 구덩이 사이에만 강돌 등을 채우거나 목곽 위에다가 1, 2겹 정도 돌무지를 얹기도 했다.
무덤 봉분 테두리 구역을 표시하는 호석(護石)은 뚜렷하게 확인되지 않았으나 봉분 주위를 둘러가며 판 일종의 도랑인 주구(周溝)는 일부에서 분명하게 확인됐으며 제사와 관련된 것으로 추정되는 토기도 다수 확인됐다.출토 유물은 토기류가 대부분이며 장신구와 철기는 상대적으로 빈약한 편이다.
▲신상리 고분군
▲신상리 고분군
▲신상리 고분군
▲신상리 고분군
▲신상리 고분군
▲신상리 고분군
▲신상리 고분군
▲신상리 고분군
▲신상리 고분군
▲신상리 고분군
▲신상리 고분군
▲신상리 고분군
▲신상리 고분군
▲신상리 고분군
▲신상리 고분군
▲신상리 고분군
<2008. 5. 18>
'◈한국문화순례◈ > 달구벌문화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구 욱수동 출토 굽다리쌍잔(雙壺) (0) | 2008.07.24 |
---|---|
대구 욱수동 출토 굽다리항아리(臺附把手壺) (0) | 2008.07.24 |
대구 석빙고비(石氷庫碑) (0) | 2008.07.22 |
대구 경북대학교 석조비로자나불좌상 (0) | 2008.07.22 |
대구 경북대학교 석조여래좌상 (0) | 2008.07.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