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경주 황룡사터 출토 와전

蔥叟 2006. 10. 29. 08:25

경주 황룡사터 출토 와전(瓦塼)

<국립경주박물관>

 

   황룡사에서는 삼국시대부터 고려시대에 걸쳐 제작 사용된 약 3만 여점에 이르는 기와와 각종 전, 망새가 출토되었다. 기와는 네모진 사래기와와 각종 도깨비기와, 연꽃무늬, 보상화무늬 등의 꽃무늬와 길상문이 새겨진 수막새, 각종 식물무늬와 동물무늬가 새겨진 암막새 등인데, 특히 수막새에는 다른 유적에서 나온 것과는 달리 큰 것이 많다.

 

   기와와 함께 출토된 장식무늬 전 가운데 용과 보상화무늬가 새겨진 전은 황룡사의 독특한 것이며, 이밖에도 드물게 발견되는 녹유전도 있다.

 

 *연꽃무늬서까래기와(蓮花文椽木瓦, 고려시대)

 

*연꽃무늬서까래기와(蓮花文椽木瓦, 고려시대)

 

*연꽃무늬서까래기와(蓮花文椽木瓦, 고려시대)

 

*연꽃무늬서까래기와(蓮花文椽木瓦, 고려시대)

 

*구름무늬서까래기와(雲文椽木瓦, 고려시대)

 

*구름무늬서까래기와(雲文椽木瓦, 고려시대)

 

*귀면무늬암막새(鬼面文平瓦當, 고려시대)

 

*귀면무늬암막새(鬼面文平瓦當, 고려시대)

 

*쌍봉무늬암막새(雙鳳文平瓦當, 통일신라 9세기)

  

*쌍봉무늬암막새(雙鳳文平瓦當, 통일신라 9세기)

 

*당초무늬암막새(唐草文平瓦當, 고려시대)

 

*당초무늬암막새(唐草文平瓦當, 고려시대)

 

*당초무늬암막새(唐草文平瓦當, 통일신라 8세기)

 

*당초무늬암막새(唐草文平瓦當, 통일신라 8세기)

 

*귀면무늬기와(鬼面瓦, 통일신라 8세기)

 

*귀면무늬기와(鬼面瓦, 통일신라 8세기)

 

 *연꽃무늬사래기와(蓮花文望板瓦, 통일신라 6~7세기)

 

*연꽃무늬사래기와(蓮花文望板瓦, 통일신라 6~7세기)

 

*사자무늬마루수막새(獅子文望瓦, 통일신라 8~9세기)

 

*사자무늬마루수막새(獅子文望瓦, 통일신라 8~9세기)

 

*연꽃무늬마루수막새(蓮花文望瓦, 통일신라 8~9세기)

 

*연꽃무늬마루수막새(蓮花文望瓦, 통일신라 8~9세기)

 

*당초무늬암막새(唐草文平瓦當, 통일신라 8세기)

 

*당초무늬암막새(唐草文平瓦當, 통일신라 8세기)

 

*귀목무늬모서리암막새(鬼目文隅瓦, 고려시대)

 

*귀목무늬모서리암막새(鬼目文隅瓦, 고려시대)

 

*보상화무늬전돌(寶相華文塼, 통일신라 7~8세기)

 

*보상화무늬전돌(寶相華文塼, 통일신라 7~8세기)

 

*보상화무늬전돌(寶相華文塼, 통일신라 7~8세기)

 

 

 

<2006. 10.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