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불탑의 전형 - 산치 대탑 탑문 부조 인도 불탑의 전형 - 산치 대탑 탑문 부조 ▲탑문 부조 ▲탑문 부조 <2015. 1. 18> ◈인도아대륙문화순례◈/인도문화권 2015.04.26
인도 불탑의 전형 - 산치 대탑 탑문 '빔비사라왕의 행차' 부조 인도 불탑의 전형 - 산치 대탑 탑문 '빔비사라왕의 행차' 부조 빔비사라왕이 부처의 법문을 듣고자 말을 타고 가는 모습 ▲'빔비사라왕의 행차' 부조 <2015. 1. 18> ◈인도아대륙문화순례◈/인도문화권 2015.04.25
인도 불탑의 전형 - 산치 대탑 탑문 '기원정사' 부조 인도 불탑의 전형 - 산치 대탑 탑문 '기원정사' 부조 기원정사는 붓다가 26안거를 한 곳으로 오른쪽 위가 수닷타장자, 세 건물은 간디쿠티, 코삼바쿠티, 카롤리쿠티라는 세 승방을 나타내고 있다. 아래쪽은 황금을 보시하는 모습이다. ▲'기원정사' 부조 <2015. 1. 18> ◈인도아대륙문화순례◈/인도문화권 2015.04.25
인도 불탑의 전형 - 산치 대탑 탑문 '라자그라하의 죽림원' 부조 인도 불탑의 전형 - 산치 대탑 탑문 '라자그라하의 죽림원' 부조 라자그리하의 죽림원을 표현하였는데 부조의 양옆은 대나무숲을 표현한 것이다. ▲'라자그라하의 죽림원' 부조 <2015. 1. 18> ◈인도아대륙문화순례◈/인도문화권 2015.04.25
인도 불탑의 전형 - 산치 대탑 탑문 '망고원에서의 설법' 부조 인도 불탑의 전형 - 산치 대탑 탑문 '망고원에서의 설법' 부조 코살라국의 쉬라바스티(사위성) 망고원에서 푸라세나짓트왕에게 설법하는 모습을 묘사하였다. 부처를 보리수로 표현했다. ▲'망고원에서의 설법' 부조 <2015. 1. 18> ◈인도아대륙문화순례◈/인도문화권 2015.04.24
인도 불탑의 전형 - 산치 대탑 탑문 '원왕봉밀' 부조 인도 불탑의 전형 - 산치 대탑 탑문 '원왕봉밀' 부조 왼쪽의 보리수와 네모난 금강보좌는 부처님의 상징이다. 발우를 손에 들고 있는 원숭이는 꿀을 바치는 원숭이이고, 두 손을 위로 올리고 있는 원숭이는 기뻐 춤을추는 원숭이로, 같은 원숭이를 시간차를 두고 두 번 반복해서 나타내고 .. ◈인도아대륙문화순례◈/인도문화권 2015.04.24
인도 불탑의 전형 - 산치 대탑 탑문 '빔비사라왕의 방불' 부조 인도 불탑의 전형 - 산치 대탑 탑문 '빔비사라왕의 방불' 부조 ▲'빔비사라왕의 방불' 부조 <2015. 1. 18> ◈인도아대륙문화순례◈/인도문화권 2015.04.24
인도 불탑의 전형 - 산치 대탑 탑문 '가섭형제의 교화' 부조 인도 불탑의 전형 - 산치 대탑 탑문 '가섭형제의 교화' 부조 물위를 걷는 기적을 보이시어 우루벨라 마을의 배화교도인 가섭3형제를 교화시킨 내용을 묘사한 부조이다. 가섭3형제가 배를타고 부처님을 찿는 모습과 아래 보리수나무(부처님께)에 귀의하는 모습을 담고있다. 여러번의 기.. ◈인도아대륙문화순례◈/인도문화권 2015.04.23
인도 불탑의 전형 - 산치 대탑 탑문 '상카샤' 부조 인도 불탑의 전형 - 산치 대탑 탑문 '상카샤' 부조 이 부조는 부처님께서 도솔천의 남자 천신으로 태어나신 어머니 마야부인에게 설법을 하시고 다시 인간세계로 내려오는 장면을 묘사한 것이다. 부처님의 어머니이신 마야왕비는 아들을 낳고 7일만에 죽음을 맞이하여 도리천 내의 도솔천.. ◈인도아대륙문화순례◈/인도문화권 2015.04.23
인도 불탑의 전형 - 산치 대탑 북탑문 약시상 인도 불탑의 전형 - 산치 대탑 북탑문 약시상 산치 대탑에 있는 약시(야크니쉬), "야크쉬니"는 지모신(地母神)으로서 집이나 토지의 수호신적 성격을 갖는다. 깨달음과 윤리성을 그 본래의 뜻으로 삼고 있는 불교는 이같은 민간신앙을 흡수함으로써 생생한 활력을 얻어 민중 사이에 정착했.. ◈인도아대륙문화순례◈/인도문화권 2015.0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