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중 석굴사원 - 뿌네 렌야드리 석굴(Lenyadri) 산중 석굴사원 - 뿌네 렌야드리 석굴(Lenyadri) 최근의 이름인 '렌야드리(Lenyadri)'의 사전적 의미는 '산의 동굴'이다. 렌야드리는 동굴이라는 뜻의 마라티어(Marathi)의 'Lena'와 산스크리트어의 '산' 또는 '돌'의 의미인 'Adri'에서 유래되었다.렌야드리라는 이름은 힌두교 경전인 'Ganesha Purana'와 함.. ◈인도아대륙문화순례◈/인도문화권 2015.02.18
뿌네 렌야드리 석굴 사하촌 뿌네 렌야드리 석굴 사하촌 ▲렌야드리 석굴 사하촌 ▲렌야드리 석굴 사하촌 ▲렌야드리 석굴 사하촌 <2015. 1. 16> ◈인도아대륙문화순례◈/인도문화권 2015.02.18
인도 데칸고원의 일출 인도 데칸고원의 일출 첫날 일정이 끝났다. 하룻 동안 칸헤리 석굴과 카를라 석굴 그리고 바자 석굴까지 둘러보았다. 어젯밤 인도까지 날아오느라 새벽 5시가 되어서야 호텔에 투숙하여 8시에 출발하였으니 모두 피곤하였지만 장엄한 석굴에 매료되어 피곤함은 사라져버렸다. 다음날도 .. ◈인도아대륙문화순례◈/인도문화권 2015.02.18
바자 비사푸르 포트 바자 비사푸르 포트 VISAPUR FORT 1713~1720 건립 마라타 제국 마라타 왕국 또는 마라타 동맹은 무굴 제국에 반대하는 힌두교도들이 인도 중남부에서 결성한 나라이다. 마라타 왕국은 1674년에서 1818년까지 존재하였다. 마라타란 고대의 마하라시트라가 전와(轉訛)된 것이다. 17세기 전반 시바지.. ◈인도아대륙문화순례◈/인도문화권 2015.02.12
인도 最古의 차이티아 - 바자 석굴 제18굴 수리아ㆍ인드라 인도 最古의 차이티아 - 바자 석굴 제18굴 수리아ㆍ인드라 무엇보다 바자 석굴을 유명하게 만들고 또 초기 석굴이라 규정짓게 된 것은 18굴 전실의 독방 입구 벽면 좌우의 조각이다. 당시 인도 재래 바라문의 태양신 수리야와 번개우레신 인드라가 정교하게 조각되어있는 것이다. 왼쪽 수.. ◈인도아대륙문화순례◈/인도문화권 2015.02.12
인도 最古의 차이티아 - 바자 석굴 제18굴 인도 最古의 차이티아 - 바자 석굴 제18굴 마지막에 들른 제18굴 비하라 굴은 베란다를 갖추었는데 이 베란다의 벽면에 여러가지 부조가 새겨졌다. 대표적인 것이 불교미술사에 단골로 등장하는 인드라와 수리아 상이다. 조각은 저부조로 솜씨가 조악한데다 오후의 강한 햇빛에 얼룩이 져.. ◈인도아대륙문화순례◈/인도문화권 2015.02.12
인도 最古의 차이티아 - 바자 석굴 탑원 인도 最古의 차이티아 - 바자 석굴 탑원 제12호굴 차이티아 굴에서 좀더 남쪽으로 향하자 승려들을 위한 탑묘가 즐비하다. 한 두기가 아니고 10여기의 승탑이 서 있다. 이 스투파들이 만들어질 대는 스투파가 더이상 석가모니의 전유물이 아니었던 것 같다. 이 승탑들이 우리나라 승탑의 시.. ◈인도아대륙문화순례◈/인도문화권 2015.02.11
인도 最古의 차이티아 - 바자 석굴 제13굴 인도 最古의 차이티아 - 바자 석굴 제13굴 제13굴은 차이티아인 12굴 옆에 붙어있는 비하라굴이다. 규모가 작은 굴로서 12호 굴 차이티아의 양쪽에 같은 규모의 비하라굴을 갖춘 셈이다. ▲제13굴 ▲제13굴 ▲제13굴 ▲제13굴 ▲제13굴에서 내다본 모습 ▲제13굴에서 내다본 모습 ▲제13굴에서 .. ◈인도아대륙문화순례◈/인도문화권 2015.02.11
인도 最古의 차이티아 - 바자 석굴 제12굴 스투파 인도 最古의 차이티아 - 바자 석굴 제12굴 스투파 차이티아 굴 안쪽의 스투파는 드럼과 반구만 갖추었고 상륜은 평두만 설치된 단순한 모양이다. 원통 모양의 드럼위에 약간 폭을 줄인 반구의 복발을 얹었고 그 위에 이층으로된 직육면체의 평두가 얹혀있다. 스투파 모양은 산치 스투파와 .. ◈인도아대륙문화순례◈/인도문화권 2015.02.11
인도 最古의 차이티아 - 바자 석굴 제12굴 인도 最古의 차이티아 - 바자 석굴 제12굴 오늘의 마지막 일정으로 바자석굴로 향했다. 바자석굴은 인도에서 가장 오래된 차이티아 석굴에 해당한다. 칸헤리나 카를라 석굴보다 약 200년 앞서 개착된 석굴로 규모와 완성도 면에서 높게 평가된다. 석굴 앞에 당도했을 때 그 장대함이 몸으로.. ◈인도아대륙문화순례◈/인도문화권 2015.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