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한단 북향당산석굴 대불동(大佛洞) 중국 한단 북향당산석굴 대불동(大佛洞) 又名北堂, 创建东魏末年, 主体工程完成于北齐. 是响堂山最为的宏伟精美的一个洞窟, 为中心方柱式塔形窟. 中心方柱三面开龛造像, 其坛雕刻神王形象. 窟內四壁刻塔形列龛, 壁脚则用物象外滅地浮雕的技法勾勒出供养成天人. 窟室前壁也用同祥技法刻出上下兩.. ◈극동문화순례◈/중화문화권 2010.12.10
중국 한단 북향당산석굴 석가동(释迦洞) 중국 한단 북향당산석굴 석가동(释迦洞) 사각형의 굴중앙에 기둥이 올라간 중심방주식 탑묘굴 형식이다. 굴외부는 보호각이 설치되어 있는데 전각 위쪽은 복발식의 탑정상과 탑찰이 세겨져 있다. 향당산석굴에만 있는 도특한 양식이라고 한다. 전각안쪽으로 들어서면 석굴 앞쪽으로 기둥을 세워 회랑.. ◈극동문화순례◈/중화문화권 2010.12.09
중국 한단 북향당산석굴 명동(明洞) 중국 한단 북향당산석굴 명동(明洞) 又称文官洞. 创建于大明弘治十七年, 窟室平面呈长方形, 正壁开大龛, 龛內雕释迦像, 左右侧为骑狮, 像的文殊, 菩贤菩萨. 左右壁各雕一立像, 俗称文官. 문관동이라고도 한다. 명나라 홍치 17년(1504)에 창건했다. 굴실은 평면의 장방형이다. 가운데 벽에 큰 감실을 만들.. ◈극동문화순례◈/중화문화권 2010.12.08
중국 한단 북향당산석굴 송동(宋洞) 중국 한단 북향당산석굴 송동(宋洞) ▲송동(宋洞) ▲송동(宋洞) ▲송동(宋洞) ▲송동(宋洞) ▲송동(宋洞) ▲송동(宋洞) <2010. 8. 4> ◈극동문화순례◈/중화문화권 2010.12.08
중국 한단 북향당산석굴 관제동(关帝洞) 중국 한단 북향당산석굴 관제동(关帝洞) 该窟平面呈长方形, 创建于大明嘉靖元年. 后壁开龛, 龛內雕关羽坐像. 关羽兩侧原有关平, 周仓雕像, 现己失. 窟壁上侧雕千佛, 左壁有“嘉靖三年造三十五佛观音菩萨” 铭记. 右壁为开窟造像碑. 이 굴은 평면의 장방형이다. 명나라 가정 원년(1522)에 창건되었다. .. ◈극동문화순례◈/중화문화권 2010.12.07
중국 한단 북향당산석굴(北响堂山石窟) 중국 한단 북향당산석굴(北响堂山石窟) 北响堂山石窟位于峰峰矿区和村镇东鼓山西麓天宮峰半山处. 主要洞窟完成于北齐时期(公元550~577年) 隋, 唐, 宋, 明及民国时期均有续凿和䃼刻. 石窟群坐东朝西, 从南向北依次为释迦多宝双佛洞. 大业洞, 刻经洞, 释迦洞, 关帝洞, 宋洞, 大佛洞, 明洞, 唐洞, 造像总.. ◈극동문화순례◈/중화문화권 2010.12.07
중국 한단 남향당산 전탑(砖塔) 중국 한단 남향당산 전탑(砖塔) 남향당산 석굴사원 입구에 세워진 전탑이다. 송대(宋代)에 건립된 것이라고 한다. ▲전탑 ▲전탑 ▲전탑 ▲전탑 ▲전탑 ▲전탑 <2010. 8. 4> ◈극동문화순례◈/중화문화권 2010.12.06
중국 한단 남향당산석굴 천불동(千佛洞) 중국 한단 남향당산석굴 천불동(千佛洞) 北齐窟, 窟平面近方形, 穹窿顶, 为三壁三龛窟. 正面龛为一佛二弟子二菩萨五身像, 三壁基坛上雕刻有 “十神王”形象. 窟顶中心为莲花. 四周围绕八身飞天伎乐. 窟外为四柱三开间形式. 窟顶雕出仿木构建筑形式, 是响堂山石窟保存最好, 最典型的塔形窟. 북제의 .. ◈극동문화순례◈/중화문화권 2010.12.05
중국 한단 남향당산석굴 석가동(释迦洞) 중국 한단 남향당산석굴 석가동(释迦洞) 北齐窟, 窟平面近方形, 平顶. 三壁三龛窟. 龛內均为一铺三尊像. 地面浮雕大莲花, 窟顶为飞天莲花藻井. 正壁门上方有涅槃龛. 북제굴이다. 굴 평면은 방형(사각형)에 가깝고, 평평한 천정이다. 삼벽 삼감굴로, 감실 안에는 모두 삼존상이 하나같이 펼쳐있다. 지면.. ◈극동문화순례◈/중화문화권 2010.12.04
중국 한단 남향당산석굴 반야동(般若洞) 중국 한단 남향당산석굴 반야동(般若洞) ▲반야동(般若洞) ▲반야동(般若洞) 본존 ▲반야동(般若洞) 본존광배 ▲반야동(般若洞) 본존광배 ▲반야동(般若洞) 불감 ▲반야동(般若洞) 불감 ▲반야동(般若洞) 불감 ▲반야동(般若洞) 불감 ▲반야동(般若洞) 불감 ▲반야동(般若洞) 불감 ▲반야동(般若洞) 불.. ◈극동문화순례◈/중화문화권 2010.1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