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누라다푸라 마하세나 궁전 문스톤
Moon Stone
라트나 프라사다에서 동쪽으로 이어진 길을 따라 300m 정도 떨어진 곳에 돌기둥과 돌문 따위가 남아 있는 궁전의 흔적이 있다. 성스러운 보리 수 사원 북쪽 입구에 보이는 수백 개의 돌기둥은 고대 왕궁터이다. 이 궁전은 기원전 2세기 이곳을 다스리던 도투게무누 왕에 의해 건립된 궁전인데 이후에도 수없이 많은 증축이 이루어졌다고 한다. 지금의 모습은 12세기 ‘파라쿠라마 바후’왕이 폴론나루와로 수도를 옮기기 전에 재건축한 것이지만 현재는 기둥만 남아있고, 윗부분의 흔적은 찾아볼 수 없게 되었다. 본래 이 건축물은 1,600개의 기둥에 1,000개의 방이 있었으며, 총 9층으로 된 거대한 건축물이었다고 한다. 지붕을 돔으로 덮어서 ‘브레이즌 팔레스’Brazen Palace로도 불린다. 한 때 이곳에는 많은 승려들이 머물렀다고 전해지지만 현재는 기둥만이 남아서 쓸쓸함만 전할 뿐이다.
이곳의 돌문 계단 입구에는 멋진 문스톤이 있다. 이 문스톤에는 다음과 같은 의미가 있다. 우선 가장 바깥쪽에는 불의 테두리가 있다. 이것은 인간 세계와 그 세계에 소용돌이치는 욕망을 의미한다고 한다. 그 안쪽에 있는 네 종류 동물의 테두리는 생명의 힘과 활력을 나타낸다.
문스톤도 세월이 감에 따라 변하게 된다. 폴론나루와로 수도를 옮겼을 때는 문스톤의 형태가 반원형 그대로지만 조각된 무늬들이 크게 변하게 된다. 네 번째 수도였던 야파후와에 가까운 라장가야나(Rajanganaya)의 하타꾸치 비하라(Hattikuchchi Vihara) 절터에 있는 문스톤에는 아예 조각문양이 없다. 가운데 띠만 돋을새김한 채 있거나 아예 아무런 조각도 없이 반달모양을 한 게 문스톤이다. 그러다가 캔디시대에 제작된 문스톤은 이름과 다르게 삼각형 모양과 비슷하게 변한다. 또 오리를 비롯해서 네 가지 동물들도 사라진다. 캔디시절에 제작된 문스톤에는 식물이 주를 이루며 맨 안쪽에 조각되었던 연꽃이 문스톤 중앙에 원형으로 조각된다. 이렇게 세월 따라 문스톤의 조각도 형태도 변해간다.
▲문스톤
▲문스톤
▲문스톤
▲문스톤
▲문스톤
▲문스톤
▲문스톤
▲문스톤
▲문스톤
▲문스톤
▲문스톤
▲문스톤
▲문스톤
▲문스톤
▲문스톤
▲문스톤
▲문스톤
▲문스톤
▲문스톤
▲문스톤
▲문스톤
▲문스톤
▲문스톤
▲문스톤
<2018. 1. 16>
'◈인도아대륙문화순례◈ > 스리랑카문화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누라다푸라 마하세나 궁전 신수상 (0) | 2018.03.24 |
---|---|
아누라다푸라 마하세나 궁전 신장상 (0) | 2018.03.23 |
아누라다푸라 라트나 프라사다 가드스톤 (0) | 2018.03.21 |
아누라다푸라 라트나 프라사다 (0) | 2018.03.20 |
아누라다푸라 보리수사원 (0) | 2018.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