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위 인각사 삼층석탑
오랫동안의 복원작업 끝에 인각사 삼층석탑이 복원되었다. 해체하기 전 기단부 상대갑석 아랫 부분이 지하에 뭍힌 상태였다. 부터인데, 탑의 양식은 전형적인 신라탑의 양식을 이어 받은 삼층석탑으로 보기 드물게 상륜부 일부가 남아 있다. 상층기단의 갑석은 2매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두툼한 부채꼴 모양의 받침에 얕은 사각형의 받침이 겹쳐져 있는 이중의 탑신 괴임대가 있다. 옥개석(屋蓋石)은 옥신의 체감비율과 어울리게 줄어들고 있다. 옥개석의 층급받침은 전체가 4단으로 되어 있으며, 모서리의 선은 많이 둥글려져 있다.
3층의 옥개석 위에는 노반(露盤)과 복발(覆鉢), 앙화(仰花) 등이 차례로 놓여 있다. 그 위에 보륜(寶輪)이 얹혀져 있는데 앙화와 마찬가지로 문양이 많이 마멸되어 있다. 보륜의 위에는 불꽃 모양의 장식물이 이어져 있는데, 상륜부의 다른 부재에 비해서 석질이 달라 원래 탑재가 아닌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기단의 우주하단에 있는 재목을 서로 이을 때 쓰는 나뭇조각 자국이나 갑석과 면석이 이완되면서 보이는 적심석을 볼 때 한번 해체되었다가 조립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탑의 양식은 전형적인 신라탑 양식을 이어받은 삼층석탑으로 보기 드물게 상륜부가 남아 있어 양식과 구조연구에 중요하다. 또한 이 탑의 제1탑신석이 제2탑신석보다 높이의 비례가 크고, 옥개석의 옥개받침이 4단인 점 등을 볼 때 고려전기의 양식을 따르는 것으로 생각되어 나말선초 석탑의 편년 연구에 있어 좋은 자료로 평가된다.
▲삼층석탑
▲삼층석탑
▲삼층석탑
▲삼층석탑
▲삼층석탑
▲탑신부
▲상륜부
<2014. 8. 24>
'◈한국문화순례◈ > 영가문화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정조지탑 (0) | 2014.10.21 |
---|---|
군위 인각사 재현 보각국사정조지탑비 (0) | 2014.10.21 |
군위 인각사 석조여래좌상 (0) | 2014.10.21 |
군위 인각사 법환대사탑 (0) | 2014.10.20 |
군위 인각사 계훈대사탑 (0) | 2014.1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