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수궁 - 서울 덕수궁 유현문
석어당에서 동편의 덕흥전으로 넘어가는 담장 가운데 있는 반월문이 유현문이다. 유현문은, 벽돌로 쌓고 통로를 아치형으로 연 단문(團門)의 구조이다. 좌우로 꽃담이 이어진 유현문은 벽돌로 쌓아 아치형으로 문을 내고, 그 위에 기와를 얹는 만큼 전통과 근현대의 조화를 고스란히 담은 명품이다. '유현문(惟賢門)'은 오직 어진 사람이 출입하는 문이란 의미이다. 고종이 60세에 얻은 막내딸이 덕혜옹주다. 고종은 옹주가 이동할 때면 반드시 유현문을 통과하게 했다고 한다.
유현문은 안과 밖의 모습이 서로 다르다. 바깥쪽에는 유현문이라는 글귀가 진서체로, 좌우에는 불로초를 입에 물고 창공을 날으는 학 문양이 장식되어 있고, 안쪽으로는 같은 위치에 운룡이 각각 새겨져 있다. 담을 사이에 두고 있는 편전과 침전을 감안하여 무늬를 의도적으로 설정한 것이다. 전돌을 아치형으로 쌓고 글씨의 좌우에 봉황을 새겨 배치하는 등 조형적 감각이 뛰어나다. 유현문은 땅의 높낮이에 따라 담장의 높이에 변화를 주고 있다. 이곳의 꽃담 형태는 화려함이나 탐스러움이 깊이 배어나지 않으며, 소박하고 단아하며 야하지 않아 한국인의 점잖은 품위를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 색은 배경과의 조화를 추구하되, 흙색에 근접해 다른 궁궐의 꽃담에 비해 강약이 적은 편이다.
▲유현문
▲유현문
<2014. 2. 22>
'◈한국문화순례◈ > 한양문화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덕수궁 - 서울 덕수궁 석어당 (0) | 2014.03.07 |
---|---|
덕수궁 - 서울 덕수궁 정관헌 (0) | 2014.03.07 |
덕수궁 - 서울 덕수궁 덕홍전 (0) | 2014.03.05 |
덕수궁 - 서울 덕수궁 함녕전 (0) | 2014.03.04 |
덕수궁 - 서울 덕수궁 대한문 (0) | 2014.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