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산신성 순례 - 경주 남산신성
남산에는 불교유적이 많기도 하지만 국방관계유적도 상당히 많다. 도당산에 있는 도당산토성이나 남산에 있는 남산토성, 남산신성, 고허성 이렇게 네개 소에 궁성인 월성을 방위하기 위하여 산성이 포진되어 있다. 남산은 국방적인 성격도 아주 강하게 띄고 있다는 것이다. 그 네개의 소의 성곽 가운데서 가장 대표적인 성을 꼽으라면 남산신성을 들 수 있다. 남산신성은 진평왕(眞平王) 13년(591)에 축성되었다고 「삼국사기(三國史記)」 권4 신라본기(新羅本紀) 제4 진평왕 13년조에 나오고 있다. 이 축성년대는 이 성에서 발견된 남산신성비의 내용과도 부합된다. 남산신성비에 의하면 신해년에 남산신성을 쌓은 것으로 기록되어 있는데, 신해년은 바로 진평왕 13년인 591년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十三年, 秋七月, 築<南山城>, 周二千八百五十四步.
가을 7월, 남산성을 쌓았다. 그 둘레가 2천8백5십4보였다.
<삼국사기 신라본기 진평왕조>
○三年 春正月 作長倉於南山新城
3년 봄 정월에 남산신성에 장창을 지었다.
○十九年 秋八月, 增築<南山城>.
19년 가을 8월, 남산성을 증축하였다.
<삼국사기 신라본기 문무왕조>
진평왕 13년에 크게 산성을 쌓은 다음 문무왕 3년(663)에 이르러 장창을 만들었으며 같은 왕 19년(679)에 성벽을 크게 증축하였다는 것은 좁은 월성의 기능을 보조하는데 사용하기 위함이었던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남산신성이 지니는 중요한 의의는 궁성(宮城)인 월성(月城)과의 관계에 있다. 왕경 주위의 서형산성(西兄山城), 고허성(古墟城), 남산토성(南山土城) 등이 통일신라가 되면서 폐성(廢城)이 되었으나 이 산성은 정궁(正宮)이던 월성과 가까이 있으면서 신라가 망할 때 까지 사용되었다.
이 남산신성 안에서 가장 높고 전망이 좋은 주봉(主峰)인 해목령(蟹目嶺)을 중심으로 하여 계곡을 둘러 싼 포곡식(包谷式) 산성으로서 성벽 길이가 약 3.7km되는 석성(石城)이다. 성벽은 대략 가로 50cm, 세로 30cm되는 비교적 잘 다듬은 무사석(武砂石)으로 외면(外面)을 쌓고 그 내부에 잡석을 채웠다. 높이 2m 정도로 정연히 쌓아 올려진 곳이 있어서 축성 수법을 짐작할 수 있다.
지금까지 연구자들의 조사의견에 따르면 성벽 약 3.7km, 병사지(兵舍址)로 비정되는 건물지 2개소와 성문지 6개소, 망루지(望樓址) 22개소, 창고지 3개소, 건물지 5개소, 수구 8개소 등이 있었다 . 이 성에서는 또 남산신성의 축조에 관한 주요한 기록을 담고 있는 비석들이 나왔다. 이 남산신성비는 당시의 신라 사회상과 부역 동원체계 및 금석문 연구에 많은 도움이 되는 귀중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이 남산신성은 서기 591년 진평왕 13년 2월 26일날 완공이 된 것으로 되어있다. 남산신성 비의 내용에 의하면은 2월 26일날 공사가 완료되었다는 그런 시점을 말해주고 있고 지금까지 발견된 남산신성 비 10개 가운데 그 내용들을 종합해 보면은 진평왕 13년 당시의 신라 영토내에 있는 사람들을 동원해서 쌓았다. 그렇게해서 전국적인 규모로 쌓았다는 것을 보았을 때에도 경주 남산신성이 차지하고 있는 비중은 상당히 높다고 할 수 있다.
처음에는 신라 왕경의 남쪽을 방어하기 위해서 쌓긴 했지만 통일신라가 되면서부터는 수도의 경비사령부와 같은 그런 역할을 하던 중요한 성곽이었다. 지금은 대부분 허물어져있기는 하지만 군데군데 옛모습을 찾아볼 수 있고 더더욱 그 산성안에는 남산 장창이라는 큰 창고터가 세군데 남아있다. 그 큰 창고터는 한가운데 있는 창고는 곡식을 저장하던 창고이고 양쪽 좌우에 있던 좌창, 우창은 기물들, 병기들을 보관하고있던 굉장히 중요한 창고라고 할 수 있다. 신라에서는 663년에 그런 장창을 만들었다고 하는데 그것은 통일신라가 되면서부터도 신라가 망할때까지 계속적인 그런 수도경비 사령부 역할을 하던 그런 성곽이었다.
▲남산신성 성벽
▲남산신성 성벽
▲남산신성 성벽
▲남산신성 성벽
▲남산신성 성벽
▲남산신성 성벽
▲남산신성 성벽
▲남산신성 성벽
▲남산신성 성벽
<2012. 11. 18>
'◈한국문화순례◈ > 서라벌문화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운 최치원 - 경주 남산 상서장 (0) | 2013.01.11 |
---|---|
고운 최치원 사산비명 - 경주 숭복사비편 (0) | 2013.01.04 |
남산순례 - 경주 남산 왕정골 절터 (0) | 2012.12.30 |
남산순례 - 경주 남산 천관사터 출토 팔부신중상 (0) | 2012.12.29 |
남산순례 - 경주 남산 창림사터 출토 팔부신중상 (0) | 2012.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