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화 북지리 마애여래좌상
북지리 마애여래좌상은 바위면에 조각된 독존의 거상으로 원각상에 가까운 고부조로 조각되어 있으나 보존상태가 좋지 않다. 자연암벽을 파서 불상이 들어앉을 거대한 방모양의 공간을 만들고, 그 안에 높이 4.3m의 마애불을 매우 도드라지게 새긴 것이다. 수인은 오른손이 파손되었으나 흔적으로 보아 시무외여원인을 취했던 것으로 보인다. 오른손을 가슴에 들고 왼손은 무릎에 내리고 있는 모습으로 큼직하게 표현되어 불상의 장중한 멋을 더해주고 있다. 머리는 소발이며, 양감이 있는 각이 진 큰 얼굴에 눈은 부은 듯이 둥근 윤곽 만이 표현되어 있다. 전면에 미소를 머금고 있어서 박진감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불신은 당당하고 위엄이 있어 7세기 전반 고신라불의 전통이 강하게 보인다.
▲마애여래좌상
▲마애여래좌상
▲마애여래좌상
법의는 통견인데 가슴에서 U자형의 굵직한 주름을 이루면서 양 팔을 거쳐 길게 늘어져 불상이 앉아 있는 대좌(臺座)까지 덮고 있다. 불상 표면에 깨진 부분이 많아서 옷주름의 구체적인 파악은 어렵지만 부분적으로 굵은 층단식 옷주름이 보인다. 광배는 두광이 있는 거신광으로, 두광과 신광에 모두 큼직한 화불이 연이어 조각되어 있는 것이 특이하다. 화불은 선정인 형태의 좌상으로 각기 보주형의 두광을 갖고 있다. 대좌는 앙련의 연화좌로 삼국시대 초기 불상에 보이는 상현좌보다는 다소 후기적인 형식이다. 고신라불의 조각 전통을 많이 간직하고 있지만 광배와 대좌에 새로운 형식이 반영되어 있어서 삼국시대말이나 통일신라 초기 정도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마애여래좌상
▲마애여래좌상
▲마애여래좌상
북지리 마애여래좌상은 영주의 가흥동 마애삼존불 그리고 충주 봉황리 햇골산 마애불과 함께 우리나라에서 3기밖에 없는 시무외여원인의 좌상이다. 신라에 불교가 전래된 이래로 서기 650년을 전후한 시기까지, 즉 삼국시대에는 시무외여원의 입상이 주로 제작되었다. 경주의 배리삼존석불입상이나 서산 마애삼존불이 그 대표적인 예가 된다. 그리고 통일 직후인 650년부터 700년 사이에는 시무외여원인의 좌상이 제작되는데 그것이 바로 봉화 북지리 마애여래좌상, 영주 가흥동 마애삼존불과 그리고 충주 봉황리 햇골산 마애불이다. 그리고 700년이후에는 항마촉지인과 설법인 등의 불상이 만들어지고 연화대좌가 등장하며 750년 이후에는 석굴암 본존을 모방한 삼단대좌가 갖추어진 불상이 주로 만들어진다.
▲상호와 광배
▲상호
▲광배
그런데 일반적으로 선진 문물이 전래되면 일단 수도(首都)에서 먼저 꽃을 피우면서 서서히 지방으로 확산되는 것이 문화 전파의 원리일 것임에도 불구하고 왜 신라의 변방 지역인 이곳 태백산 주변에서 이 같은 형태의 불상이 제작되었는가 하는 점이다. 이점은 신라뿐 아니라 백제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백제의 수도인 부여나 공주 인근에서 백제의 불상은 없다. 아니 있긴 있으나 소규모의 금동불은 있지만 서산 마애불을 비롯한 태안 마애불이나 예산 사면석불 같은 대형의 작품들이 없는 것은 무슨 까닭일까?
▲화불
▲화불
▲시무외인
지금까지의 연구결과로는 불상이 제작되던 시기에 이곳은 선진문화가 수도로 전해지는 교통로상의 중요한 위치일 것이라는 설만이 제기되었을 뿐이다. 백제의 석불들도 수도인 공주나 부여에서 당나라로 가는 길목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곳 북지리 마애불이나 영주 가흥동과 중원 봉황리 마애불은 신라에서 고구려로 통하던 중요한 지점이라는 것이다. 그렇게 해석을 하여도 의문은 남는다. 그러면 왜 이와 같은 양식의 불상이 수도에는 없는 것일까? 문화가 전파되면서 변행된 것일까? 의문을 풀려지지 않는다. 본존불은 두툼한 옷자락이 온몸을 덮고 앞가슴의 옷자락은 U자 모양으로 흘러내리고 있는 삼국시대 불상이 지닌 간다라적인 특징을 모두 갖추고 있다.
▲여원인
<2012. 5. 26>
'◈한국문화순례◈ > 영가문화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봉화 축서사 비로자나불좌상 (0) | 2012.06.16 |
---|---|
봉화 북지리 마애불상군ㆍ마애탑 (0) | 2012.06.16 |
봉화 닭실마을 청암정 (0) | 2012.06.14 |
봉화 닭실마을 충재 (0) | 2012.06.14 |
봉화 닭실마을 권충재 종택 (0) | 2012.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