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크로드문화순례◈/낙양문화권

중국 등봉 숭산 중악묘(中岳庙, Zhōngyuèmiào)

蔥叟 2010. 11. 4. 06:22

중국 등봉 숭산 중악묘(中岳庙, Zhōngyuèmiào)

 

   중악묘는 역대 봉건통치자들이 보호하고 제를 올리는 '山神'의 장소이다. 숭산의 타이쉬샨(太室山) 기슭에 세워진 도교사원인 중악묘(중웨이먀오)의 규모는 대단히 방대한데 2,000여년을 거치면서 역대의 끊임없는 증축을 거쳐 지금까지 보존해왔다. 중악묘는 진(秦)대에 시작하였는데 원명은 태실사로서 태실산신에게 제사를 드리는 곳이였다.  묘 안으로는 중화먼(中華門)서부터 북쪽방향 일적선으로 야오찬팅(遙參亭), 쥔지띠엔(峻極殿), 구석의 위슈뤄(御書樓)까지 1.3㎞에 걸친 다수의 불각·전·문 등이 즐비하며, 샤오꾸궁(小故宮)이라고 할 정도이다. 묘 앞에는 높이 3m의 철인상(鐵人像) 4개가 서 있다. 그 중 가장 오래된 것은 북송 때 치평(治平) 원년(1064년)에 만들어 진 것이다. 사원내의 청록색은 하늘을 덮을 듯 하며, 고대의 건축 군림과 더불어 그 장관이 눈부시고 화려하다.

 

中岳庙至迟在汉武帝时(公元前156~87年) 已经存在, 现存建筑格局可上溯至金代, 现存建筑多复建于明淸, 为官式建筑的代表, 也是国內现存规模最大, 规格最高, 保存最完整的一组道敎古建筑群. 庙內的秦汉古柏, 北魏石刻, 宋代铁人等眞实反映了道敎文化发展的悠久历程和丰富內涵. 自公元前110年至公元1908年, 有史可査的就有65位皇帝近200次亲至或遣使到中岳庙进行祭祀, 是古代官方祭祀中岳的圣地. 登封 “天地之中” 和 “中华文明的发源地”的理念也日渐被历代皇权所推崇.

 

峻极门又名将军门,是中岳庙的中心院落的大门,重修于清乾隆 年间。面阔5间,进深6架,歇山式屋顶,琉璃瓦盖顶,系清代典型的 宫式建筑。中门两侧,塑有两尊高5米,腰围4.8米的手执金瓜斧的 威武守门将军神像,故又称将军门。 拜台即填台,砖石砌造,边长10.97米,高1.32米。俗称填台 为奠台或拜台。建于中岳大殿前的中轴线上。 寝殿位于中岳大殿之后,是天中王及天灵妃的寝宫,建制七间, 歇山式建筑,黄色琉璃瓦盖顶,庄丽雄伟,仅次于大殿。正中供天 中王与天灵妃塑像,侍女分立左右,两端的神龛内,雕刻精致的龙 凤榻上,天中王睡着,天灵妃陪坐榻旁,人称“睡爷爷,坐奶奶”。 神龛外有太监塑像。殿前月台上有日月碑分列左右。 黄盖亭位于黄盖峰上,峰顶原为中岳庙庙址,岳庙下迁后改作 中岳行宫。黄盖峰原名神盖山。后因汉武帝刘彻游嵩岳时,曾登此 峰,武帝当时身穿大红袍,撑起黄罗伞,如天上黄云盖顶,故改名 为黄盖峰。峰上现有一座重檐八角亭,黄色琉璃瓦盖顶,三重石栏, 环抱亭脚,几棵翠柏,陪衬其旁,是夏日登山避暑的好地方。

 

▲명산제일(名山第一)

 

▲명산제일(名山第一)

 

▲정자

 

▲정자

 

▲정자

  

▲천중각(天中閣)

 

▲천중각(天中閣)

 

▲석사

 

▲석사

 

▲배천작진(配天作鎭)

 

▲배천작진(配天作鎭)

 

▲배천작진(配天作鎭)

 

▲장원비(壯元碑)

 

▲장원비(壯元碑)

 

▲장원비(壯元碑)

 

▲장원비(壯元碑)

 

▲장원비(壯元碑)

 

▲장원비(壯元碑)

  

▲탑

 

▲탑 조정(藻井)

 

▲탑 조정(藻井)

 

▲정원

 

▲정원

 

▲고목

  

▲담장

 

▲비

 

▲비

  

▲준극문(峻極門)

 

▲준극문(峻極門)

 

▲신장상

 

▲신장상

 

▲숭고준극(崧高埈極)

 

▲숭고준극(崧高埈極)

 

▲숭고준극(崧高埈極)

 

▲숭고준극(崧高埈極)

 

▲숭고준극(崧高埈極) 문주

  

▲정자

 

▲정자

 

▲태산동악전(泰山東岳殿)

 

▲동악전비

 

▲화산서악전(華山西岳殿)

  

▲서악전비

 

▲형산남악전(衡山南岳殿)

 

▲남악전비

 

▲항산북악전(恒山北岳殿)

 

▲북악전비

 

▲정원

   

▲비

  

▲비

 

▲비이수

  

▲준극전(峻極殿)

  

▲준극전(峻極殿)

 

▲준극전(峻極殿)

   

▲준극전(峻極殿) 계단 문양

 

▲준극전(峻極殿) 계단 문양

 

▲준극전(峻極殿) 계단 문양

 

▲중악신천중왕신상(中嶽神天中王神像)

 

▲중악신천중왕신상(中嶽神天中王神像)

 

▲우신장상

  

▲좌신장상

   

 

 

<2010. 8.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