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낙양 광무제릉 28수관(二十八宿馆, Ershíbāxiùguǎn)
한고조(漢高朝) 유방(劉邦)이 세운 한제국(漢帝國)은 말기에 이르러 외척의 손에 정권을 빼앗겨 혼란스러운 지경에 빠지게 된다. 한제국의 왕족이었던 유수(劉秀)는 형과 함께 군사를 일으켜 차례로 숙적을 무찌르고 후한(後韓)을 건국하게 되니 이가 곧 후한의 창시자 세조(世祖) 광무제이다. 유수는 성품이 어질고 겸손하여 모든 사람들에게 존경을 받았으며, 왕이 된 후에도 사치하지 않았으며 나라를 다스리는 데에 심혈을 기울인 명군(明君)으로 위명(偉名)이 후세에 길이 전해내려온다. 광무제가 성군이니 그의 휘하에는 자연히 수많은 명신과 명장이 모여들어 광무제를 잘 보좌하니 오랫동안의 전란의 아픈 상처는 서서히 아물어 가고 후한의 위대한 새역사가 힘차게 태동하기에는 조금의 부족함도 없었다. 광무제는 서기 57년에 63세를 마지막으로 후한제국을 건설한 후 조용히 운명하였다.
그 후에 후비인 음여화에게서 태어난 왕자 유장(劉莊)이 즉위하니 이가 후한의 2번째 왕인 효명왕(孝明王)이고 연호는 영평이었다. 효명왕 영평 3년에 건국에 공이 컸던 공신 28명의 공적을 길이 기념하기 위해서 이들의 초상화를 제작하여 남궁(南宮)의 운대(雲臺)에 걸어 놓았다. 그 순서를 보면 첫째가 역시 가장 많이 광무제를 섬기고 보필한 등우(鄧禹)이고, 두 번째는 마성(馬性)이었고, 세 번째는 공손술의 격파에 큰 공을 세운 장군 오한(吳漢) 등의 순서였다. 28장(二十八將)은 등우, 마성, 오한, 왕량, 가복, 진준, 경감, 두무, 구순, 부준, 잠팽, 견심, 풍이, 왕패, 주우, 임광, 채준, 이충, 경단, 만수, 개연, 비융, 조기, 유식, 경순, 장궁, 마무, 유융이다. 28수관은 바로 28장의 초상을 모신 곳이다.
二十八宿馆为馆堂式风格, 重檐硬山式建筑, 分列于祠院东西兩侧馆內塑有辅佐刘秀打天下的云台二十八将 整体塑像严整端列刑神兼备, 气势威武, 栩栩如生.
▲28수관(二十八宿馆)
▲태전고밀후 등우(太傳高密侯 鄧禹)
(?~58年) 字仲華, 南陽新野人, 年十三能誦詩, 受業長安, 時光武亦遊學京師, 禹年雖幼, 而見光武知非常人, 遂相親附, 數年歸家. 卽策枝投奔世祖, 禹斬將破軍, 平定山西, 河北等地, 功效尤著, 封爲鄼侯, 食邑萬戶. 建武十年, 天下平定, 定封爲高密侯.
▲대사마광평후 오한(大司馬廣平侯 吳漢)
(?~44年) 字子顔, 南陽宛人小時家貧, 給事縣爲亭長, 更始立, 繼爲安樂令, 後歸劉秀, 因漢勇鷙有智謀, 諸將鮮能及者, 乃拜爲大將軍及河北平, 光武卽位, 拜爲大司馬, 定封廣平侯.
▲좌장군교동후 가복(左將軍膠東侯 賈復)
(?~55年) 字君文, 南陽冠軍人. 少好學, 習<尙書>, 爲人剛毅方直, 多大節. 王莽末, 爲縣掾, 後投劉秀. 復從征伐, 未嘗喪敗, 數與諸將潰圍解急. 建武十三年, 定封膠東侯, 食邑六縣.
▲건위대장군호치후 경엄(建威大將軍好畤侯 耿弇)
(?~58年) 字伯昭, 扶風茂陵人. 少好學, 習父業, 旦好將飾征伐之事. 更始時, 從光武擊破銅馬, 高湖, 赤眉, 淸犢, 又追尤來, 大槍, 五幡於元氏. 光武卽位, 拜爲建威大將軍, 更封好畤侯.
▲낭사태수축아후 진준(琅邪太守祝阿侯 陳焌)
(?~47年) 字子昭, 南陽西鄂人. 少爲郡吏. 光武徇河北, 或薦爲安集掾. 從擊銅馬於淸陽, 進至蒲陽拜强弩將軍. 建武一年攻王匡下, 更封新處侯. 歷任太山, 琅太守. 建武十三年增邑, 定封祝阿侯.
▲정서대장군양하후 풍이(征西大將軍陽夏侯 馮異)
(?~34年) 字公孫, 穎川父城人. 好讀書, 通 <左氏春秋>, <孫子兵法>, 新莽時任郡掾, 後歸劉秀, 拜爲 "孟津將軍", 屯兵孟津以拒洛陽朱鮪. 後任征西大將軍封陽夏侯. 建武九年, 功落門未拔, 病殁於軍中. 異從軍屢樹功勳旦爲人謙退不伐故有 "大樹將軍" 之譽.
▲정남대장군무양후 잠팽(征南大將軍舞陽侯 岑彭)
(?~35年) 字君然, 南陽棘陽人. 王莽時, 守本縣長, 繼降緣林軍再歸劉秀, 任刺姦大將軍, 從其轉戰河北, 劉秀卽位後行大將軍事, 封舞陽侯. 建武十一年, 伐蜀, 駐於成都郊, 蜀刺客夜刺而身亡.
▲위위안성후 요기(衛尉安成侯 銚期)
(?~34年) 字況, 潁川郲人. 長八尺二寸, 容貌絶異, 矜嚴有威. 光武畧潁川, 署期爲曹掾. 後從帝征河北擊破王郞任虎牙大將軍. 期重於信義, 自爲將, 有所降下, 未嘗虜掠. 及在朝廷, 憂國愛主其有不得於心, 必犯顏諫諍. 光武卽位, 封安成侯, 食邑五千戶.
▲상곡태수준릉후 왕패(上谷太守准陵侯 王霸)
(?~59年) 字元伯, 穎川穎陽人. 小爲獄吏, 漢兵起, 光武過穎陽, 王霸賓客願充行伍, 遂從擊破王尋, 王邑於昆陽, 追斬王郞, 得其璽綬, 封王鄕侯, 建武十三年, 北坑匈奴, 烏桓, 頗軾邊事數上書宣與和親, 後南單于, 烏桓降服. 建武三十年定封准陵侯.
▲신도태수아릉후 왕패(信都太守阿陵侯 任光)
(0~29年) 字伯卿, 南陽宛人小忠厚, 爲鄕里所愛, 初署薔夫, 郡縣吏, 後投漢軍, 爲安集掾, 與世祖破王진尋, 王邑. 及帝平河北王郞, 拜光在大將軍. 世祖卽位, 更封阿陵侯, 食邑萬戶. 五年, 卒.
▲예장태수중수후 이충(豫章太守中水侯 李忠)
(?~58年) 字仲都, 東萊黃人好禮脩整. 王荞時爲新博屬長, 後隋任光同奉世祖, 爲右大將軍. 建武二年更封水侯, 食邑三千戶. 建武十四年, 三公泰課爲天下第一, 遷豫章太守, 病去官, 徵詣京都.
▲우장군괴리후 만수(右將軍槐里侯 萬脩)
(?~26年) 字君游, 扶風茂陵人. 更始時, 爲信都令, 後與任光, 李忠共迎世祖, 封爲偏將軍, 封造義侯. 反破邯鄲, 拜右將軍, 從平河北建武二年, 更封槐里侯, 與楊化將軍堅鐔俱擊南陽, 未剋以病卒於軍.
▲태상령수후 비동(太常靈壽侯 邳彤)
(?~30年) 字偉君, 信都人. 初爲王荞正, 世祖徇河北, 至下曲陽, 彤擧城降, 復以爲太守, 及拔邯鄲, 封武義侯, 建武元年, 更封靈壽侯, 行大司空事. 後歷任太常, 少府, 左侍中. 六年, 卒.
▲효기장군창성후 유식(騎騎將軍昌城侯 劉植)
(?~26年) 字伯先, 鉅鹿昌城人. 初王郞起, 植與弟喜, 從兄歆率宗族賓客聚兵數千人據昌城, 世祖從薊還, 開門迎世祖, 以植偉驍騎將軍喜, 歆爲偏將軍. 建武二年, 更封植爲昌城侯. 討密縣賊, 戰殁.
<2010. 8. 1>
'◈실크로드문화순례◈ > 낙양문화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낙양 북위 선무제 경릉(北魏 宣武帝景陵, Jǐnglíng) (0) | 2010.10.25 |
---|---|
중국 낙양 북위 효문제 장릉(北魏 孝文帝长陵, Chánglíng) (0) | 2010.10.25 |
중국 낙양 광무제릉 옥황전(玉皇殿, Yùhuángdiàn) (0) | 2010.10.24 |
중국 낙양 광무제릉 광무전(光武殿, Guāngwǔdiàn) (0) | 2010.10.23 |
중국 낙양 동한 광무제릉(东汉 光武帝陵, Guāngwǔdìlíng) (0) | 2010.10.23 |